•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shoots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8초

자가수정 스테비아의 선발과 배축절편체를 이용한 대량증식 방법 개발 (Selection of Self-Fertilization Stevia and Development of Multiple Propagation Method using Hypocotyl Explants)

  • 서승민;배신철;김경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42-447
    • /
    • 2011
  • 고감미 다수성 계통인 자가수정 스테비아의 hypocotyl 절편체를 이용하여 대량증식방법 개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발된 자가수정개체는 초장이 72.0~120.7 cm로 분포되어 있었고, 분지수는 4.9~56.6개로 분포되어 있었다. HPLC 분석을 통하여 rebaudioside-A(RA)성분이 평균함량 55.2%이상 함유된 자가수정 개체를 선발하였다. 스테비아의 hypocotyl 절편체를 이용하여 MS배지에 1.5 mg/L BA와 0.5 mg/L Kinetin를 혼용 첨가하였을 때 가장 많은 식물체가 재분화되었다. 이는 1개의 절편체가 30개의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나타내었다. 재분화된 신초로부터 발근배지는 0.1 mg/L IBA가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효과가 좋았다. 발근된 신초는 기외 이식 후 순화과정을 통하여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육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명된 대량번식방법은 Rebaudioside A 생산성 향상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Direct Organogenesis in Geophila reniformis D. Don., an Important Medicinal Herb

  • Nisha, A.;Narasimhan, S.;Manjula, S.;Nair, G.M.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189-192
    • /
    • 2004
  • Adventitious multiple shoots were developed from leaf, petiole and internode explants of Geophila reniformis D. Don.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N^6$-benzylaminopurine (BAP) or Kinetin (KI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indole-3-acetic acid (IAA). Leaf showed maximum organogenetic potential, followed by petiole and internode.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2.22 $\mu{M}$ BAP and 4.57 $\mu{M}$ IAA induced maximum shoot buds from leaf explants. Internodal segments showed low potential of direct organogenesis. The regenerated shoots rooted the best in presence of 10.75 - 13.44 $\mu{M}$ $\alpha$-naphthalene acetic acid (NAA) along with 2.22 $\mu{M}$ BAP, and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field with a survival rate of 89.11%.

In vitro Micropropagation of Rosa hybrid L.

  • Kim Chang-Kil;Oh Jung-Youl;Jee Sun-Ok;Chung Jae-Do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115-119
    • /
    • 2003
  •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nd growth regulators for shoot proliferation and root initiation, several rose hybrid tea cultivars were cultured. Cultured shoot tips and lateral buds from different cultivars proliferated multiple shoots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 to 4 mg/L BA and 0 to 0.05 mg/L NAA. The ability of the explants to proliferate shoots and initiate roots was affected by genotype, the nodal position of explant, the strength of MS basal medium and growth regulators used. The buds nearest the apex exhibited the slowest rate of development. Most cultivars had the highest shoot proliferation when cultured on MS medium with 2 mg/L BA and 0.01 mg/L NAA, but the degree varied by cultivars. Root development was enhanced by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MS salts.

미류나무 성숙 절간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증식 (Shoot Regeneration of Mature Nodal Segments in Poplar (Populus deltoides))

  • 양희선;강호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03-409
    • /
    • 2005
  • 미류나무 절간조직(2년생)을 이용하여 식물생장조절물질이 함유된 MS배지에서 대량의 식물체를 증식시켰다. 대부분의 식물체는 BA 1.0 + TDZ 0.1 mg/L가 함유한 배지에서 줄기의 형성층 부분에서 절편당 $24.6\;{\pm}\;4.6$개의 줄기가 유기되었으며, 몇몇 줄기는 피목 부분의 조직에서 유기되었다. 신장된 줄기는 NAA 0.01 mg/L가 포함된 배지에서 $94.6\%$의 발근이 이루어졌다. 신장된 줄기의 발근은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차이를 보여 NAA와 IBA에서 $90\%$ 이상의 발근이 촉진되었으나, cytokinin류를 처리한 시료에서는 $50\%$ 이하의 낮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발근된 유식 물체는 Cell-tray의 인공상토(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 = 1 : 1 : 1)에 이식하여 8주간 생육후 $98\%$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2년생 미루나무류의 줄기에서 직접 대량의 줄기를 유도하여 대량증식과정을 단순화 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직배양묘 경화시 multi-cap을 이용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클라멘 (Cyclamen persicum Mill.)의 조직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let Regeneration by Tissue Cultures of Cyclamen persicum Mill.)

  • 은종선;김영선;한상권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79-484
    • /
    • 2000
  • 시클라멘의 급속증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발아 후 자엽이 전개된 어린 식물체의 괴경, 자엽, 엽병 등의 절편을 분리하여 절편부위별로 캘러스 및 기관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식물체의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절편부위별 캘러스 형성 및 shoot분화에 있어서 auxin류 단용처리의 경우 괴경절편의 NAA처리구에서 절편으로부터 캘러스 없이 shoot가 직접 발생하여 가장 양호하였으며, 1개의 절편체에서 10개 이상의 다아체가 분화되었다. 자엽이나 엽병절편은 캘러스만 유도되었고 대부분 치상당시의 상태로 shoot 발생에 auxin류의 처리는 부적합하였다. Cytokinin류 단용처리는 1.0 mg/L TDZ처리구에서 괴경의 경우 100% shoot 분화율을 보였고, 자엽절편 역시 배양 40일경부터 다수의 shoot가 발생되어 양호하였다. NAA와 BA혼용처리는 0.5 mg/L NAA와 0.5 mg/L BA 혼용첨가된 배지에서 괴경. 자엽, 엽병절편 모두 shoot 분화가 양호하였으며, auxin류와 cytokinin 류 단용처리보다 NAA와 BA 혼용처리가 모들 절편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뿌리발생을 유도하기 위해 NAA와 IBA 단용처리에 shoot를 배양한 결과 배양 15일경부터 0.5 mg/L IBA처리구에서 뿌리가 발생되기 시작하여 배양 30일 후에는 Pot이식이 가능할 정도로 뿌리가 발생되어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PDF

Plant Regeneration from Turnip (Brassica rapa ssp. rapifera) Organs

  • Gendaram Sarantuya;Bae Chang-Hyu
    • Plant Resources
    • /
    • 제8권3호
    • /
    • pp.286-292
    • /
    • 2005
  • Shoot induction system was developed in the recalcitrant plant species, Brassica rapa ssp. rapifera by using optimum selection of profit organ, phytohormone combination, seedling age and kind of culture container. Out of in vitro cultured leaf segment, petiole, hypocotyl, and cotyledon with petiole, only cotyledon with petiole derived from 4 day-old seedlings induced multiple shoot. The optimum combination of auxin and cytokinin for the multiple shoot induction was MS medium containing 5mg/L BA and 0.5mg/L NAA. The major factors for multiple shoot propagation were part of plant organ, age of seedling, and ratio of auxin and cytokinin. In addition, shoot regeneration was promoted in the 100ml Erlenmeyer flask compared with the $90mm{\times}20mm$ Petri-dish. The induced shoots formed roots easy on MS medium containing 0.1mg/L IBA and the whole plants were successfully cultivated in soil.

  • PDF

까마중(Solanum nigrum L.)의 유식물 절편체에서 부정아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Explants of Solanum nigrum L.)

  • 오순자;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7-284
    • /
    • 2012
  • 본 연구는 기내에서 발아된 까마중 유식물체의 조직별로 신초 및 뿌리 유도를 통해 효율적인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신초 형성은 식물체 부위별로 서로 달랐으며, 잎에서의 신초 형성빈도가 자엽이나 하백축 그리고 상배축보다 높았다. 절편체당 신초의 수는 잎과 자엽에서 다소 많았으며, 신초의 길이도 다른 부위에 비해 잎과 자엽에서 빠른 증식과 신장을 나타내었다. 특히, 2.0 mg $L^{-1}$ BAP가 첨가된 배지에서 재분화율, 신초의 수와 길이가 증가하여 2.0 mg $L^{-1}$ BAP가 고빈도 신초의 유도 및 생장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뿌리분화는 IBA와 IAA가 NAA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0.05 mg $L^{-1}$ I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뿌리 형성율이 90%이며, 뿌리의 갯수와 길이도 각각 평균 4.0개와 7.82 cm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더욱이 배양토에 이식한 재분화체는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2.0 mg $L^{-1}$ BAP 조건에서의 잎 절편에서 다발성 신초 유도, 그리고 0.05 mg $L^{-1}$ IAA 조건에서의 뿌리형성 유도가 까마중의 대량번식을 위한 최적의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L.)의 맹아절편체로부터 다경유도를 통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via Multiple Shoots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of Rubus fruticosus L.)

  • 신정순;심옥경;이종천;조한직;김이엽;이강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56-461
    • /
    • 2005
  • 블랙베리의 다경유도를 통한 식물체 재생을 위하여, 노지에서 생육되고 있는 맹아를 채취하여 $1.2\%$ NaOCl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한 후, kinetin과 BA가 각각 포함된 MS 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여 절편당 형성된 신초의 수를 조사하여 BA가 효과적임을 밝혔다. 동일방식으로 맹아를 IBA와 BA를 첨가한 MS 고체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여 신초를 유도하였는데 1.0 mg/L BA가 첨가된 배지에서 신초유도는 $100\%$ 이루어졌다. 기내배양한 신초의 절편체를 1.0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 치상하여 형성된 신초의 수는 절편체당 5.3개로 최고를 나타내었다. 약 10주 정도 배양을 더 오래하였을 때, 다경 형성율이 더 높아질 뿐 아니라 절편체당 신초 수도 많아졌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뿌리 발생을 위하여 glycine의 농도를 달리한 $(0\~2.0\;mg/L)$ MS 기본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였을 때, 0.5 mg/L glyc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고빈도 $(85\%)$의 뿌리발생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재생된 식물체는 모래 : 토양 : 버뮤큘라이트 (1:1:1, vol.) 혼합토양에서 순화시켜, 토양에 이식하였을 때 $95\%$의 식물체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술패랭이꽃(Dianthus superbus)의 엽육원형질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Mesophyll Protoplasts of Dianthus superbus)

  • Lee, Eun-Ae;Kim, Joon-Chul;Kim, Won-Bae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6
    • /
    • 1995
  • 술패랭이꽃의 엽육원형질체를 2.0mg/L NAA, 0.5 mg/L BAP 및 9%의 mannitol이 포함된 MSPI 9M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7$^{\circ}C$, 암조건에서 배양 3-4주일 후 활발한 분열과정을 거쳐 원형질체로부터 colony가 형성되었으며 이들colony는 연속광 (21.5 $\mu$Eㆍ $m^{-2}$ ㆍse $c^{-1}$)하에서 배양 2주일 후 직경 약 3 mm의 녹색 microcallus로 생장하였다. 녹색 microcallus는 2.0 mg/L 2,4-D가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배양30일 후 배발생 캘러스를 형성하였으며 이들 배발생 캘러스는 0.1 mg/L 2,4-D, 2.0 mg/L kinetin 및 2.0 g/L casein hydrolysate가 포함된 $N_{6-}$2 배지에서 캘러스당 10-15개의 multiple shoot의 분화가 이루어졌다. 재분화된 shoot는 2.0mg/L NAA가 포함된 MS 배지에서 뿌리가 유도되었으며 이들을 pot로 이식하여 재분화 개체를 획득할 수 있었다.

  • PDF

Peace 포플러(Populus koreana X P. trichocarpa)의 줄기형성에 미치는 Thidiazuron 효과 (Effect of TDZ (Thidiazuron) on Shoot Proliferation of Peace Poplar)

  • 강호덕;문흥규;박인선;이민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49-53
    • /
    • 2004
  • 기공이 잎의 앞뒤 양면에 존재하는 생리ㆍ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외래 교잡종인 Peace (Populus koreana ${\times}$ P. trichocarpa)포플러의 효율적인 기내증식법을 개발하고자 액아와 엽육 절편을 이용하여 기내배양을 실시하였다. 몇 종류의 배지 시험을 통해 1/2MS배지를 적정배지로 선정할 수 있었고, 이 배지에 TDZ를 처리하여 multiple shoot 및 adventitious shoot유도 효과를 조사하였다. 절간액아 및 엽육을 절편으로 TDZ의 농도별 처리로 배양 2주 후부터 multiple shoot 및 adventitious shoot가 유도되었으며 절편 및 TDZ처리 농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액아로부터는 TDZ 처리로 절편당 5-7개의 multiple shoot가 유도된 반면 엽육 절편에서는 2-5개의 adventitious shoot가 유도되었다. 한편 부정아로부터 정상적 인 줄기의 성장에 있어서도 절편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저농도의 TDZ의 처리로 peace포플러의 액아 혹은 엽육 절편의 기내배양을 통해 대량증식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