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sett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다문화가정 한국인남편의 적응역량 강화 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 (Study of empowerment Factors of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 based on Grounded theory -)

  • 박정윤;안진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81-997
    • /
    • 2014
  •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adaptation capabilities of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further identify strengths to maintain a healthy multicultural family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For those objectives, the investigator had an ongoing interview with ten husbands that had a child in the setting of multicultural family and were judged to maintain a healthy family. Question analysis through the method of Strauss & Cobin and the abstraction and categorization process among similar concepts identified total 89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In a paradigm model according to the axial coding results, the causal condition was "having an international marriage with the spouse";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crisis i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y" and "general family conflicts"; the mediating condition was "positive self-rationalization"; and the central phenomena were "family-oriented value" and "cultural tolerance." The opera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for them were "forming communicative couple relationships," "cultivating cultural sensibility," and "utilizing unofficial external resources." The adaptation capabilities were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nd "pride in building a healthy multicultural family."

Effects of Software Education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on Resilience,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65-271
    • /
    • 2019
  • In this paper, the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developed so that Multicultural students can adapt to national, school, peer, and teacher. The effects of Resili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op were investigated. The developed Software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target students became more intimate with each other and adapted to Korean culture, peers, and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s. Resilience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a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interaction, teacher's interest and support, self - identity, and cultural acceptance. Communication ability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ability, self presentation ability, goal setting ability, and message conversion abilit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ople's orientation toward people, facing people, and away from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has effects on adaptive flexi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with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various software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students.

다문화장병 정책 연구동향 분석 -2010년~2022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ulticultural Soldiers Policy Research Trends -Focused on academic papers from 2010 to 2022-)

  • 임소정;이정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87-92
    • /
    • 2022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연구된 다문화장병 정책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대상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 가정의 청년들의 입대를 허용한 병역법 개정을 기점으로 이후부터 연구가 진행되어 오늘에 이르렀으나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점을 확인했다. 연구 분야 또한 최초 다문화 장병의 입대를 앞두고 환경조성과 준비방향부터 정책적인 방안 제시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었으나 여전히 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 연구대상면에서는 간부에서 용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으나 대부분이 다문화 장병 대상보다는 수용자 중심의 연구인점이 그 한계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현재도 여전히 진행중인 다문화 장병에 대한 향후 연구방향설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Home-Visit Instructors)

  • 채진영;김헤라;황혜신;권기남;강복정;서주현
    • 아동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3-94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education levels, majors, and teaching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y home-visit instructors an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job involvement. Methods: 668 home-visit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from 140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6 metropolitan cities, 9 provinces, and other cities and counti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s, one-way ANOVA, $Scheff{\acute{e}}$ post-hoc test,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using SPSS 21.0.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structors who were high school gradua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leadership than the other group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ward of self-leadership based on their maj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education level and major. The greater their home-visit teaching experiences, the higher their scores in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Seco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self-expectation, self-goal setting, constructive thinking, and rehearsal of self-leadership explained 49% of the total variance in job involvement. Conclusion: Even though the high school gradua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expectation, rehearsal, and constructive thinking of self-leadership than the other groups, over-generalization should be avoided because the sample size was relatively small. Based on the finding that greater home-visit teaching experienc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to prevent instructors from changing jobs. These findings stres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home-visit instructors to develop leadership, thus improving job involvement.

SIOP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학습자의 수학 학습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s Using SIOP Model for KLLs)

  • 최희훈;장혜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5-321
    • /
    • 2019
  • 국제결혼 및 이민으로 인한 급격한 인구학적 변화로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 이미 이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문화 학생을 위한 교육적 관심의 필요성이 야기되었다. 특히, 모국어가 타언어이면서 한국어로 학습하는 한국어학습자(Korean Language Learners)를 위한 교과학습 지원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영어학습자(English Language Learners)를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SIOP 모델 중 우리나라의 교실 상황에 적합한 전략을 선택하고 이를 한국어학습자에게 적용하여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과 수학적 오류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5학년 2학기 합동과 대칭 단원의 7차시에 걸쳐 SIOP 모델을 적용한 후에 나타나는 한국어학습자의 수학적 의사소통 양상과 수학적 오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교과 학습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아동·청소년 대상 한국어능력시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등급 및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Proficiency Test Targeted for Young & Adolescent Learners -Based on setting standard levels and sections-)

  • 이정희;이경;박혜경;김정숙
    • 한국어교육
    • /
    • 제28권1호
    • /
    • pp.221-250
    • /
    • 2017
  •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basic foundations to set levels and language skills for developing a Korean Proficiency Test for young and adolescent learners.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demand regarding young and adolescent learners from multicultural and overseas backgrounds. However, the current Korean Proficiency Test lacks the appropriate means to determine the Korean proficiency of young and adolescent learners with general purposes of language learning.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developing a specialized and new form of language assessment for young and adolescent learners who are exposed to a foreign language or a secon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examines and analyzes cases of foreign language examinations for young & adolescent learners; furthermore, the objectives and target were set based on the results of a needs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among teachers and education officials in overseas Korean Hangeul Schools, international school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inally, the levels and language skills appropriate for the objectives of a proficiency test and target learners have been suggested.

결혼이주여성 전통식문화 인식 및 교육방안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mong Immigrant Housewives to Design Educational Plans)

  • 강윤주;정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6-260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mong immigrant housewive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im of introducing educational plans suitably designed for them. Our survey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holidays most well-known to the immigrant housewives are New Year's Day and Chusuk. Sambok and Chusuk are at the top in terms of preference. Samgyetang, Ddukguk, and Ogokbab are among the best known festive food to immigrant housewives for holidays such as New Year's Day, Jeongwol Daeboreum, Sambok, Chusuk, and Dongji; Samgyetang is the most preferred food, followed by Ddukguk and Patjuk. In addition, a vast majority of immigrant housewives who have ever attended Korean traditional cuisine education programs found the need for such an experience, with the score of 4.16 out of 5. In addition, the survey shows the order in which the immigrant housewives want to learn: the recipe of Korean food (53.5%), followed by table setting and manners (16.5%) and then nutrition (15%). The recipe of interest for most respondents is the one concerning daily food (69.5%).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 cooking practice as a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The difficulties that they have when attending such an educational course are usually inability to understand the language,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ingredients (seasonal), and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is direct lecture (71.5%), followed by written materials such as books and newspaper (10.5%) and the Internet (9.5%). Finally, strategies for promoting traditional food culture are suggested as following: developing educational resources (31.5%), mak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more available (25%), narrowing the cultural gap (22%),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21.5%).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diffuse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irst, and then provide many immigrant housewives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ese efforts will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in the early stage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harmony in multicultural families.

정책의제형성에 있어서 참여자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족지원법 중심으로 - (A Study on Participants in Policy Agenda Setting -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

  • 배선식;김승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6-127
    • /
    • 2015
  • 본 연구는 1980년 이후부터 국제이주의 현상이 세계화, 다변화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노동시장의 유입과 여성결혼이민자 증가로 인해 '다문화가족지원법'을 탄생시키게 된다. 다문화가족이라는 사회문제가 공공의제로 부각하여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제정으로 연결될 때 참여자들은 누구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문제 중에서 정부의 공식의제로 확정하여 추진하는 과정에는 동원형, 외부주도형, 내부접근형의 3유형에서 동원형을 선택하여 설명할 것이다. 사례의 특성을 염두에 두고 기존 이론과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할 것이며, 연구논문과 서적, 신문, 일간지, 선거공약, 시민단체, 인터넷, 세미나자료 등을 사용하는 사례분석방법을 택하여 연구할 것이며, 시간적범위는 2003년 11월 21일 "이주노동자 추방반대 재외동포법 개정하라" 한 시점에서 '다문화가족지원법안(대안)'을 제271회 임시국회 제7차 본회의에서 재석 165인 중 165인 찬성으로 입법되는 2008년 2월 19일까지로 한정짓는다.

신종교의 영상 콘텐츠 활용 현황과 과제, 그리고 제언 -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물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Utilizing Daesoon Jinrihoe's Video Content: Focusing on the Film, The Road of Peace and Harmony, and the Videos of the Museum of Daesoon Jinrihoe)

  • 박종수
    • 대순사상논총
    • /
    • 제48집
    • /
    • pp.239-268
    • /
    • 2024
  • 영상 콘텐츠는 매체적 특성인 재현과 정보 전달, 몰입과 경험 등으로 교육의 수단으로 자주 활용되곤 한다. 특히, 종교영화의 경우, 종립학교나 신앙공동체에서 신앙의 이해와 고취를 위해서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가 영상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 콘텐츠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과제와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제2장에서는 대순진리회 영상 콘텐츠를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 콘텐츠의 현황을 살펴보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대순진리회의 영상콘텐츠가 현재 종단 내부의 종교교육 자료로만 기능하고 있다는 한계를 장르영화로서의 '예수 영화'를 통해서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제4장에서는 대순진리회의 영상 콘텐츠가 종교교육을 넘어선 다문화 종교교육의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안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대순진리회가 영상 콘텐츠를 활용할 때 좀 더 시의성 있는, 지역 종교를 넘어서 세계 종교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월엄범오위'의 사례에 나타난 전통적 천문관에 관한 판단 유형: 4개 집단간 비교 연구 (Patterns of Reasoning Regarding the Korean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Planet Occultation by the Moon: A Comparative Study among Four Groups)

  • 오필석;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8-407
    • /
    • 2000
  • 월엄범오위(月掩犯五緯)의 사례에 나타난 전통적인 천문관(天文觀)에 관하여 중학생(164명), 고등학생(157명), 대학생(172명) 및 일반인(139명)의 판단 유형과 판단 이유를 조사,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월엄범오위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 방식에 동의하는 응답자들이 15.7%,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들이 38.1%, 분명히 말할 수 없다는 응답자들이 46.2%이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전통적인 천문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하여 과학적으로 옳은 판단을 내린 반면, 그와 같이 판단한 중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적었다. 둘째 ,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데에는, 응답자들의 집단이나 판단 유형과는 관계없이, 자연관과 과학관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판단 이유가 되었다. 특히,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유사한 관념을 지니고 있는 응답자들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다수의 경험적 자료와 실험을 통한 증명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자연관이나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반면, 중학생들과 일반인들은 자신들의 개인적 경험을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넷째, 응답자들의 사회적 경험과 과학 지식 또한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응답자들의 과학 지식의 차이가 판단 과정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들은 개인의 사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며, 그들이 속한 집단이 공유하고 있는 사고의 방식 또한 서로 다르다는 것을 잘 말해 준다. 따라서, 다문화적인 환경을 고려한 과학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학생들의 자연관과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