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education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2초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경험, 학부모의 고정관념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xperience, Parents' Stereotype on Multicultural a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미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749-2757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학부모의 고정관념과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양주시 학부모와 초등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응답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은 5점 만점에 2.84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다문화 인식 중 개방성, 수용성, 존중성 모두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경험은 직접경험과 간접경험만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초등학생의 다양한 다문화 경험과 인식을 위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 한국의 다문화현상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응답 (Towards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A Christian Educational Response to Multicultural Phenomenon in the South Korean Context)

  • 최희진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263-294
    • /
    • 2020
  • 다문화사회가 된 한국사회 속에서, 여전히 많은 인종적 및 문화적 타자들은 그들을 향한 차별과 사회로부터의 고립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한국의 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은 한국인과 문화적 타자 사이의 상호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지 않은 채 문화적 타자들을 사회적으로 동화시키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본고는 신앙 공동체가 사회에서 교육적 역할을 감당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을 제안한다.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토대는 상호문화교육, 상호문화신학, 미로슬라브 볼프의 포옹의 드라마, 그리고 박상진의 기독교교육 생태계 이론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기틀을 발판으로 본고는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의 정의와 목표를 논하고,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이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자신과 타자, 그리고 공동체를 바라보며 자기성찰, 포용, 그리고 생태계적 변혁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주장한다.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은 기독교인들이 문화적 타자들을 향한 존경과 환대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며, 이를 통해 신앙 공동체가 다양한 색깔을 가진 하나님 나라를 추구하도록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시민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 운영 효과 조사 연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 및 교수효능감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Effects of a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정주연;신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47-74
    • /
    • 2023
  • 본 연구는 A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15명의 예비 음악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강좌를 개발 및 실현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강좌는 세계시민교육의 여러 주제 중 다양성과 포용을 바탕으로 한 다문화 교육에 중점을 두고, 관련 이론 탐색을 통해 음악의 사회·문화적 산물로서의 본질을 이해하고, 참여자 주도로 중학생을 위한 수업 방안을 개발 및 실현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 강좌 전후로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태도가 향상되었고, 특별히 교사의 역할에 대한 태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강좌가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다양성 및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인식과 편견을 반성하고 음악 교사로서의 역할을 고민하도록 도왔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둘째, 다문화 교수 효능감의 향상 중 다문화 상황에서의 교육 및 다문화 교육 교수 효능감 향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성찰지를 통해 본 강좌가 음악의 사회·문화적 산물로서와 상징적 표현 가능성의 가치를 깨닫도록 한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좌는 실질적인 삶의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변혁적 교수법의 필요성 인식과 실천, 음악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와 탐색을 바탕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여러 주제들의 접근을 도와 예비음악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문화가정청소년과 일반가정청소년의 음주행태와 성경험과의 관련성 (Correlate of the Drinking Behavior and Sexual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 이순희;유재현;윤미은;천성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5-57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a multicultural families and households youth targeting adolescents drinking behavior and sexual status, and alcohol problems and gender analyzes and the relevance of the cup and behavior. Methods: This study analysed drinking problem and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ies which is based on the primitive data from the Ninth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3. Al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18. Results: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lifetime's drinking experience, beginning age of drinking, binge drinking, CRAFFT and sex experience than general family adolescents. Conclusion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ies, schools and society should perceive and solve the problem concerning the drinking behavior and sex experience of the multicultural familiy adolescents.

다문화가족과 일반가족 청소년의 구강건강행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oral health behavior in adolescents between multicultural and ordinary Korean families)

  • 박지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05-512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ral health behavior in adolescents between multicultural and ordinary Korean families. Methods: The subjects were 66,797 adolescents who were derived from the web-based survey of the National 2014 Korean Youth Risk Behavior of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 self-reported web-base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ne 1 to 30, 2013. A multicultural family is defined as the immigrant mother and child in the study. The variable included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oral health related behavi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ed sex, age, residence area,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type of family, education of parents,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nationality before marriage. Data were analyzed by PASW statistics 18.0. Results: Tooth brushing frequency was closely related to family type, age, residence area, academic achievement, residential type,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and economic statu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support oral health services and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s and Proble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Libraries)

  • 한윤옥;조미아;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5-160
    • /
    • 2009
  • 본 연구는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국도서관과 우리나라의 다문화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였다. 외국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현황은 다문화주의 모델, 동화주의 모델, 배제주의 모델로 구분하여 다문화 가정 대상 교육프로그램과 도서관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현황은 공공도서관의 다문화 프로그램 담당 사서, 다문화프로그램 강사, 다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주민들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Adolescents in Korea: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 이택호;이석영;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1호
    • /
    • pp.65-85
    • /
    • 2016
  • 본 연구는 교우관계와 다문화수용성, 그리고 교사관계와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데이터 중 2011~2013년에 조사한 중1패널 2차년도 데이터(중학교 2학년), 중1패널 3차년도 데이터(중학교 3학년), 중1패널 4차년도 데이터(고등학교 1학년)를 사용하였다(N=2,178). 종속변수를 다문화수용성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교우관계와 교사관계로 설정한 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다문화수용성의 수준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종단적 관계에서 교우관계는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친구와의 관계가 원활할수록 다문화수용성의 수준도 높아졌다. 셋째, 종단적 관계에서 교사관계는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교사와의 관계가 좋아질수록 다문화수용성의 수준도 높아졌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횡단적 분석이 주를 이뤘던 이전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었고, 다문화수용성의 함양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Openness, Preoccupati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김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11-21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B, Y시의 간호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26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다문화 효능감은 평균 $3.92{\pm}0.54$점 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은 연령(F=4.516, p=.012), 다문화 학생과의 수업경험(t=2.131, p=.034), 외국어 수강경험(t=2.133, p=.034), 외국인 친구(t=2.759, p=.006)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 효능감은 다문화 개방성(r=.396, p<.001), 다문화 수용성(r=.471,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고정관념(r=-.464, p<.001)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국인 친구(t=2.021, p=.048), 고정관념(t=-6.363, p<.001), 다문화 수용성(t=6.122, p<.001)으로 나타났고, 다문화 효능감을 35.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속한 다문화가정의 식생활 관련 행태, 인식 및 선호음식 양상 분석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 소지선;한성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89-602
    • /
    • 2012
  • The Korean society has gone through a dramatic change in its population, with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since 1990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Korean families in three areas related to dietary behaviors: diet-related behaviors and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in 500 Koreans from Korean families and 104 couple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More subjec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rew up in the countryside, received less education and also had lower income than the subjects from Korean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te traditional Korean meals more often at home and dined out less often than Korean families. The multicultural families focused more attention on nutritional aspects of their diets than Korean families. The Vietnamese wives in multicultural families favored Vietnamese foods but they rarely ate those foods in Korea despite an easy accessibility to Vietnamese ingredients. In conclusi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d more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s than Korean families, which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socioeconomic factors. Further research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is needed in future studie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ietary patterns on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ies.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교육의 근본 과제에 관한 연구 - 정서, 문화,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Fundamental Tasks of Ethics Educ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focused on the conceptions of emotion, culture and moral likeness-)

  • 송선영
    • 윤리연구
    • /
    • 제84호
    • /
    • pp.217-242
    • /
    • 2012
  • 2011년도 교과부의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들 가운데 다문화 관련 반영 사항은 다음과 같다. 즉, 다문화 사회와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국가 정체성 확립과 우리 사회의 공통적인 도덕적 가치 기반의 공고화이다. 이는 다양성과 세계화 속에서 우리 국가·사회를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이 정체성과 도덕적 가치에 있다는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인식이 다문화 사회에 맞는 윤리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이 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가령, 국가 정체성을 너무 강조할 경우, 이는 오히려 다양성을 배척하면서, 다문화구성원들을 억압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교육은 배타적인 국가 정체성만을 강조하는 국가 이념 교육의 무기로 변질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므로 앞으로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교육의 근본 과제는 2011개정 도덕과 교육의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들인 국가 정체성과 사회의 공통된 도덕 기반 확립과 다문화교육의 성별, 계층, 민족, 인종, 문화 등의 배경과는 상관없는 자존감, 평등과 정의 등의 가치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서와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 개념에 주목한다. 우리가 정서들을 갖고 있다는 것은 개별적인 느낌이 아니라 감성을 통한 사회적 의미에서 윤리적 주체임을 보여준다. 이는 우리가 어떤 도덕 가치의 기반을 마련할 것인지의 토대가 된다. 동시에 우리가 이러한 가치를 인식하고 행할 수 있다는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을 갖고 있다. 이 정서들을 갖는 것, 그리고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에서 윤리적이고 문화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이 한국 다문화 사회의 윤리문화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 지속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무엇보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은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을 토대로 한국인임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도덕적 정서들을 갖게 되는 윤리적 주체들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