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media contents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7초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Media Use by Digital Natives)

  • 고흥석;신중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10
    • /
    • 2018
  • 이 연구는 초고속 인터넷 환경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세대를 형성하고 있는 한국적 현실에서 이들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시작됐으며, 미디어 동시이용행태에 대한 한국적 디지털 네이티브의 속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5년도 <한국미디어패널>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해당하는 10대 청소년들의 시간대에 따른 공간적 속성과 이용매체, 동시이용 형태 등에 대해 다중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라고 할 수 있는 10대 청소년의 경우, 시간적, 공간적 매체이용은 매우 균질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미디어 동시이용비율도 제한된 형태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추후 다양한 세대 간 비교 연구를 통해 보다 총체적인 미디어 이용행태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유비쿼터스와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콘텐츠 수급방안 (Effective Way of Providing Digital Contents Under Ubiquitous and Changing Media Environment)

  • 이제명;유승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23-132
    • /
    • 2007
  • IT기술의 발달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콘텐츠 수급방안은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물리적 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이 선행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콘텐츠라는 인식을 가지고, 과거와 현재 그리고 변화하고 있는 미래 미디어 환경에서의 콘텐츠의 현황과 특성, 그리고 콘텐츠제작과 유통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콘텐츠 수급을 위해서는 어떤 방안이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가를 중점적으로 알아보았다. 앞으로 유비쿼터스와 미디어융합 환경의 핵심 자원은 콘텐츠이며, 효과적인 콘텐츠 생산과 유통을 위한 저작권 관행 개선과 외주제작프로덕션 지원을 통한 지상파 방송과의 관계 조정, 유통시장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게임이나 오락물 보다는 그 동안 소홀했던 쌍방향성 정보와 문화예술 콘텐츠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육성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건축모델의 영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ideo Reflection of a Construction Model with Digital Media)

  • 강동규;이철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9-183
    • /
    • 2008
  • A variety of design processes from 2D graphic to 3D models are meeting improved consumers' confidence of modern clients. However, the current design methods are limited to meet consumers' needs and express a design concept what a designer wants to show. Therefore the study here tries a test of hybrid space simulation combined with previous models and digital media technology, which can be used for multiple contents. The study can contribute to suggesting virtual space simulation that can help clients' spatial understanding in this media era and deliver emotional language of designers as well by utilizing the strong point of multi-sensible media.

  • PDF

MPEG-2 TS로부터 MMTP 스트림으로의 변환기 개발 (A Development of MPEG-2 TS-to-MMTP Stream Converter)

  • 박민규;김용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52-264
    • /
    • 2020
  • 2017년 5월 31일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지상파 UHD 방송이 상용화되었다. 기존 HDTV 방송은 압축된 미디어와 부가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달하기 위해 MPEG-2 TS(Transport Stream) 표준을 사용하였으나, 지상파 UHD 방송 규격에서는 차세대 표준인 MMT(MPEG Media Transport)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UHD 콘텐츠 제작 비용이 고가이므로, 현재 전체 방송시간 중 일부만 UHD로 방송되고 있으며 점차로 그 시간을 증가시켜 가고 있는 중이다. 한편 MMT가 채택된 ATSC 3.0 표준의 경우에도 북미에서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MMT 방송 장비는 아직도 고가의 초기 단계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MPEG-2 TS 다중화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MMTP(MMT Protocol) 패킷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저렴한 장비를 개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다중 쓰레드(multi-thread) 기반으로 일반 PC 상에서 구현하고 그 기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OTT 서비스의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User's Satisfaction of OTT Service)

  • 이희성;김해연;황하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3-100
    • /
    • 2017
  • 다매체, 다채널 시대, 기존의 방송망이 아닌 인터넷 망을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한 동영상 시청이 새로운 방송 시청 행태로 급부상 하고 있다. 이러한 시청 행태 변화의 주요 서비스로 OTT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 OTT 서비스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곳이면 끊어짐 없이(seamless)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다양한 단말기(any time, any device, any contents)로 이용 할 수 있는 동영상 서비스를 말한다. 본 연구는 OTT 서비스의 확산에 발맞춰 OTT 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술 수용 모델이론을 적용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OTT 서비스 초기 이용자 303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사회적 압력, 인지된 대중성, 인지된 비용, 이용자 평판, 개인의 혁신성, 심미성 등이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희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용성, 용이성, 유희성은 각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언하였다.

멀티 해상도 스크린 기반의 컨퍼런스 중계방송 기술 연구 (A Study on Multi-resolution Screen based Conference Broadcasting Technology)

  • 김영애;양지희;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53-260
    • /
    • 2018
  • 1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는 기존의 방송 서비스와 다르게 고가의 장비 없이 제작자의 영상과 음성을 획득하는 디바이스와 전송 플랫폼만 있으면 제작자가 원하는 독창적 주제로 자신만의 방송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인 방송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세미나 또는 학회와 같은 컨퍼런스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중계방송 시스템을 개발 및 구현하였다. 각 컨퍼런스 행사장마다 영상과 음성 획득 장치를 설치하고,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이들을 통합하여 중계방송 함으로써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노트북, 태블릿 PC와 같은 멀티 해상도 스크린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원하는 스크린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및 VOD 서비스뿐만 아니라 컨퍼런스 관련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컨퍼런스 참석자들에게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고 컨퍼런스 참여도 향상의 효과와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oT를 위한 음성신호 기반의 톤, 템포 특징벡터를 이용한 감정인식 (Emotion Recognition Using Tone and Tempo Based on Voice for IoT)

  • 변성우;이석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1호
    • /
    • pp.116-121
    • /
    • 2016
  • In Internet of things (IoT) area, researches on recognizing human emotion are increasing recently. Generally, multi-modal features like facial images, bio-signals and voice signals are used for the emotion recognition. Among the multi-modal features, voice signals are the most convenient for acquisition. This paper proposes an emo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tone and tempo based on voice. For this, we make voice databases from broadcasting media contents. Emotion recognition tests are carried out by extracted tone and tempo features from the voice databases. The result shows noticeable improvement of accuracy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methods using only pitch.

시점 추적 기반 Foveated Rendering을 지원하는 360 VR Tiled Video Player 구현 (Implementation of 360 VR Tiled Video Player with Eye Tacking based Foveated Rendering)

  • 김현욱;양성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795-801
    • /
    • 2018
  • In these days, various technologies to provide a service of high quality of 360 VR media contents is being studied and developed. However, rendering high-quality of media images is very difficult with the limited resources of HMD (Head Mount Display).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360 VR Player for high quality 360 tiled video image render to HMD. Furthermore, we developed multi-resolution-based Foveated Rendering technology. By conducting several experiments, We have confirmed that it improved the performance of video rendering far more than existing tiled video rendering technology.

Realistic Visualization of Car Configurator Based On Unreal Engine 4(UE4)

  • Zhong, Yiming;Yun, Tae Soo;Lee, Byung C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105-115
    • /
    • 2022
  • The platform for displaying cars has been changing with the times. From the popularity of paper media to the rise of computer graphics,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has brought more space and possibilities to the automotive industry. Yiming Zhong proposed the workflow of car configurator through Unreal Engine 4 to implement the basic functions of configuration in 2021, according to Yiming Zhong's final presentation, there is still room to improve the realism of graphics and functionality of the car configurator.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o upgrade the car shaders and light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real-world physics and add multi-scenes switching function to car configurator. However the multi-scenes switching function also brings a large amount of data, which leads to the problem of display lag. At the end of the paper, we use the level of details(LOD) process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for real-time computing in Unreal Engine 4 and the increase of frames per second(FPS) values verifies the feasibility of our optimization solution.

실감영상 구현을 위한 다면영상 정합보정 및 화면구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gistration Correction and Layout for Multi-view Videos Implementation)

  • 문대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531-541
    • /
    • 2017
  • 다면영상을 이용한 실감영상은 스크린이나 다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에서 펼쳐지는 내용이 사실적으로 보여지게 제작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면영상은 전시를 위한 기획영상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Screen X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영화와 같은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는 포맷으로 재조명 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3대의 줌렌즈가 장착된 HD급 방송용 디지털 비디오를 이용해 Screen X와 같은 방법으로 인물을 중심으로 한 전경 장면부터 클로즈업 장면까지 촬영한 후 다면 영상 정합보정을 통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분석 파악하였다. 촬영 방법과 장비를 보완하면 다면영상이란 포맷이 스토리와 정보 전달이 가능한 매체임을 제시하였고 향후 방송용 줌렌즈를 이용한 촬영보다 표준렌즈 기반의 시네마급 카메라를 이용한 양질의 다면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기술적 연구와 보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