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8초

다문화권 학생들의 초등수학 학습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nstructional Dimensions in Teaching Mathematics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 장윤영;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4호
    • /
    • pp.419-442
    • /
    • 2009
  •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d in their mathematical learning and to identify the instructional dimensions a teacher provided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Since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process of students' learning, the qualitative method was chosen through clinical interviews with 2 students in a total of 11 units which played a role of compensating their learning of mathematics as an extra curriculum. The students solved the computational problems relying on formal procedure without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principles and solved the word problems based on own interpretation of certain words without semantic comprehension out of math sentences. As the instructional dimensions of teaching mathematics, tasks, a tool and classroom norm were found in the activities they performed. For the tasks, situated tasks, challenging tasks, tasks with lack of conditions, and open-ended exploratory tasks were used. As the tool, pictorial representations were very useful to describe their ideas. Finally, as the classroom norm, consider equity for everyone, and cooperate and encourage each other were found.

  • PDF

한국과 베트남 초등 수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평면도형과 넓이 측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Geometry and Area Measurement between the Korean and Vietnames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정유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7-53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들의 수학적 문화 배경에 대한 이해를 높여 그들의 수학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베트남의 초등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평면도형과 넓이 측정의 지도 내용, 전개 순서, 교수-학습 방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베트남 교과서는 한국 교과서에 비해 수학적 엄밀성과 논리를 강조하며, 수학적 관련성에 따라 여러 영역의 학습 내용을 통합적으로 다루지만 도형의 합동, 대칭, 포함 관계 등 수학적 연결성에 관한 내용은 다루지 않는다. 한국 교과서는 학생이 도형의 개념을 스스로 찾고 정의하는 활동을 바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수학적 생각을 경험도록 하는 반면 베트남 교과서는 도형에 관한 개념을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학생이 익히도록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 다문화 학생의 수학 학습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다양성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학습현장에서 수학교육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A Research Synthesis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versity Including Multicultural Education, Language Minority, and Social Economic Status)

  • 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89-409
    • /
    • 2009
  • 최근 이주민 100만인 시대의 도래라는 사회변화로 인해 우리 주위에 다문화, 다언어, 저소득층에서 오는 환경적 다양성을 지닌 학생들이 급증해가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이들 대상으로 그 동안 이뤄진 국내외 연구들을 분석하여 그 기초(framework)를 마련하는 문헌고찰이다. 이들에 대한 관심은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여 다양성의 배경을 지닌 학생을 위한 수학교육 연구로써 국내의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울지라도 이와 관련성 있는 소수의 국내연구와 이민자 사회로써 오랜 역사를 지닌 외국에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이들을 위한 학습자료 개발과 연구 등에 기초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들 학생들의 수학 학습현장에서 시대적 흐름은 무엇인지, 이들을 위해 그간 어떤 지원이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이들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수학교수학습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수학 교사를 포함한 수학교육자와 학교 행정가들에게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하였다.

  • PDF

수학교육의 기호학적 적용 (Some Semiotic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 정치봉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461-481
    • /
    • 2009
  • 최근 20여 년 동안 국제적으로 기호학의 관점에서 수학교육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멀티미디어는 표현 매체이며 기호로서 수학 및 수학교육과 다양한 관계를 가지고 상호 작용한다. 수학 및 수학교육의 활동은 기호학의 관점에서 기호적 활동으로 영향력, 역할 그리고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호학의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수학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개념, 표상, 사회적 구성주의, 문화와의 맥락에 관한 수학교육의 기존 연구와 기호학관점의 연구는 유사성을 갖는다. 기호학의 관점에서 산술학습, 연역법, 귀납법, 가추법과 퍼스의 기호-삼항틀 적용 사례, 기하의 명제들 사이의 퍼스-삼항틀 관계, 대칭과 증명을 다루는 기하학습 등을 제시하였다.

  • PDF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중국국제학생 자오밍의 수학학습과정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Zh$\grave{a}$om$\acute{i}$ng's Learning Process, Using Technology in a University Class of Korea)

  • 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61-82
    • /
    • 2015
  • 다문화권 학생인 중국인 국제학생 자오밍의 대학 수학수업에서 학습의 방해요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방해요소를 극복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를 정성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를 위해 2014년 2학기에 개설된 교수 학습을 위한 강좌에서 학습조력자에 의해 자오밍의 활동이 관찰되었고 학습과정의 자료들이 수집되었다. 방해요소로는 한국어 문장이해력 부족, 한국어수학어휘력 부족, 수학개념이해력 부족, 공학도구충실도의 부족으로 나타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이중언어 효과, 자기주도적 시각화표상활동, 반복활동, 조별활동을 통해 학습의 성취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자오밍의 학습의 성취는 학습조력자의 역할에 의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영어가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자국어로 학습할 수 있는 이중언어강화 환경구성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