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중국국제학생 자오밍의 수학학습과정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Zh$\grave{a}$om$\acute{i}$ng's Learning Process, Using Technology in a University Class of Korea

  • 투고 : 2015.02.23
  • 심사 : 2015.03.28
  • 발행 : 2015.03.30

초록

다문화권 학생인 중국인 국제학생 자오밍의 대학 수학수업에서 학습의 방해요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방해요소를 극복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를 정성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를 위해 2014년 2학기에 개설된 교수 학습을 위한 강좌에서 학습조력자에 의해 자오밍의 활동이 관찰되었고 학습과정의 자료들이 수집되었다. 방해요소로는 한국어 문장이해력 부족, 한국어수학어휘력 부족, 수학개념이해력 부족, 공학도구충실도의 부족으로 나타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이중언어 효과, 자기주도적 시각화표상활동, 반복활동, 조별활동을 통해 학습의 성취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자오밍의 학습의 성취는 학습조력자의 역할에 의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영어가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자국어로 학습할 수 있는 이중언어강화 환경구성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arning process of Chines international student within a technology environment, who was studying in Korea to be well equipped as a math teacher in future. Her activities were observed and guided in a class for pre-service teachers in one university, Kyunggido,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4. She experienced obstacles such as the lacks of comprehending Korean sentences, Korean math terminologies, mathematical concepts, and fidelities of technology in her learning. She was recovered by bilingual effect, visualization activities, repetition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There was a learning helper who made her learning possible in a bilingual way. Thus, the bilingual education is crucial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상숙(2003). 수학적 탐구력 신장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활용의 효과. 수학교육, 42(4), 647-672.
  2. 고상숙(2009). 다양성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학습현장에서 수학교육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389-409.
  3. 고상숙(2013). 수학 학습 성취도에서 나타난 다문화, 탈북,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습부진 특성. 학습장애연구, 10(2), 1-26.
  4. 고상숙(2014).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이차곡선에서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인지적, 교수적 충실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45-71.
  5. 권순희(2009). 이중언어 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연구, 34, 57-115.
  6. 권오현(2013). 다문화 교육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7. 김병조(2011).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8. 박영순(1996). 미국의 이중언어 교육이론 및 현황조사연구. 이중언어학, 13, 289-354.
  9. 신동선.류희찬(1999). 수학교육과 컴퓨터. 서울: 경문사.
  10. 주미경, 송륜진(2014). 다문화수학교사교육모델 개발연구 : 수학교육 현장 상황분석 기반 예비모델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4(2), 227-251.
  11. 장인실(2003). 다문화 교육이 한국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21(3). 409-431.
  12. 장윤영, 고상숙 (2009). 다문화권 학생들의 초등수학 학습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 48(4). 419-442.
  13. 황진영(2012).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Cunningham, S. (1991). The visualization environment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W. Zimmermann, & S. Cunningham(Eds.), Visualiz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pp. 67-76).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5. Eisenberg, T., & Dreyfus, T. (1991). On the reluctance to visualize in mathematics. In W. Zimmermann, & S. Cunningham(Eds.), Visualiz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pp. 25-38).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6. Jackiw, N. (1991). The Geometer's Sketchpad: Pre-beta Version. The Visual Geometry Project. Swarthmore, PA: Swarthmore College.
  1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9). Mathematics Assessment: The Practical Handbook for 9-12 Grades. Reston, VA: The Author.
  1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19. Scher, D., Steketee, S., Kunkel, P., & Lyublinskaya, I. (2005). Exploring Precalculus with the Geometer's Sketchpad. Emeryville, CA: Key Curriculum Press.
  20.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34
  21. http://en.wikipedia.org/wiki/Expl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