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vation to learn English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Reciprocal Peer Tutoring in EFL University Reading Instruction

  • Jeong, Kyeong-Ouk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75-9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group activity, reciprocal peer tutoring (RPT), in order to investigate advantages and challenges of RPT in promoting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EFL University reading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89 students taking an English reading course at a Korean university. RPT is a learning strategy whereby learners help each other and learn by teaching. This program was supported by a Vygotskyan perspective which assumes that learners gain mastery and develop cognitive skills through social interaction with more proficient others and their environment. This study relied particularly on participant perception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Anonymous Online class Report of the course. This study showed various advantages for tutors such as learning through teaching and becoming more autonomous and responsible for their own learning. Non-threatening and highly motivating learning atmosphere are parts of benefits for tutees. Other advantages for tutees included improved level of academic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several drawbacks associated with the problem of inaccuracy in students' production and students' demand for more direct teacher role. (182 words).

  • PDF

영미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English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English culture)

  • 한호;김현옥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4호
    • /
    • pp.271-29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English teachers think about what and how to teach culture, as a way of helping students build relevant background knowledge and enhance their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A total of 300 teachers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 four areas: (i) their understanding and liking of English-spoken countries, (ii) their use of materials and tools for teaching culture, (iii) their consciousness of teaching culture, and (iv) their needs for culture learning in the teacher-training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i) they think American culture is dominant in EFL but they are much interested in British culture; (ii) they rely on internet most for their cultural experience while they think students get much of the cultural information from textbooks; (iii) they are very much conscious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culture for improving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iv) they want to learn i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more about cultural practice, which can be subsumed under the so called 'small c'. The findings suggest that (i) textbooks need to include contents to promote students' cultural awareness and foster intercultural competence, (ii) teachers should use authentic materials with appropriate adaptation, and (iii) a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cover a wide range of contents and skills for teaching culture.

  • PDF

효율적인 초등학교 영어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Video Conference의 이용 방안 연구 (A Useful Method on Effective Primary English Education Based on Multimedia Contents and Video Conference)

  • 김용신;김정량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20-128
    • /
    • 2000
  • 초등영어교육이 듣기, 말하기 위주의 음성언어 중심 교육 원칙을 중요시하고 있으나 현재의 학습환경에서는 비디오나 오디오를 따라하는 수준에서 지도되고 있다. 음성언어 중심 영어학습은 ESL환경에서 배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교육에서 배운 영어를 웹에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화상회의 시스템이나 전자우편을 통하여 언제든지 다시 사용해 볼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영어학습에 대한 강화가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학습동기모델과 특수목적영어 융합 모듈 프로그램 평가연구: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An Evaluation Study of an ESP Module Program Combining with Keller's Learning Motivation Model for the 1st grade Nursing Students)

  • 안선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57-267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학과목 적응과 외국어 능력 향상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고안된 Keller의 학습동기 모델과 특수목적영어를 융합한 모듈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이다. 특수목적영어 융합 모듈 프로그램을 적용한 험군과, 전통적 강의방식을 적용한 대조군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실험설계를 통해 비교하고, 듈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주관적인 효과를 질적 자료를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동기의 총합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유의하였지만(t= 2.391, p=.019), 학업성취도에서는 두 그룹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t=0.116, =.098). 융합 모듈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 효과들로는 '흥미로움', '학습에 효과적임', '임상의 이해를 도움', '자신감과 만족감을 경험함' 등 4가지로 범주화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Keller의 학습동기 모델과 특수목적영어를 융합한 모듈 프로그램은 호학과 영어에 대한 부담을 가진 신입생들에게 흥미를 주고, 학습과 임상의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자신감과 만족감을 험하게 하는 등, 학습동기를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 기반의 글자교구재 디지털 앱 개발 사례와 교육효과 평가: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를 중심으로 (An Augmented Reality-Based Digital App as an Educational Too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the Evaluation of Its Learning Effect: Towards an Examination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 김새론;원은진;김형기;윤필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1-157
    • /
    • 2023
  • The present work aimed to present the development of 'Funt', the augmented reality-based digital app as an educational too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Our work further evaluated the learning efficacy of the tool by the assessment of the three dependent measures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volvement. With a learning app of 'Funt', students can use AR app to access recognition-based or location-based experiences such that any objects, artifacts, or media appear to be in the app. Students are then able to interact with the digital content by manipulating it to learn more about it. Students's engagement should also increase when they create their own experience in AR to demonstrate their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concept or words. Learning effects were evaluat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hundred respondents aging six to nine years. One-group design for pre-test and post-test was utiliz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efficacy by comparing the non-'Funt' group and the Funt group scores. A pairwise t-Test was performed for pairwise comparisons between two learning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unt'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Funt' group in the measures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volvement.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Funt' attracted the students' attention, provided them with a fun context to learn English vocabulary, and develop positiv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R technology.

특수목적 영어(ESP)로서의 스포츠 영어 교육: 스포츠관련 분야 학생들의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Sports English Education a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 김지은;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09-517
    • /
    • 2014
  • 본 연구는 스포츠 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영어와 스포츠 영어 수업에 대한 자기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스포츠 영어 수업에 대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포츠 관련 전공 4학년 학생 133명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포츠 전공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 정도는 비교적 낮았는데, 이 흥미도는 영어 실력이나 다른 항목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스포츠 전공 학생들의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영어 실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어 실력에 자신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흥미도와 관심도와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스포츠 전공자들에게 영어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그 이유로는 '운동선수나 지도자로서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많았고 '국제 스포츠 교류나 외교, 행정'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4. 일반적인 영어 수업과 차별화 된 스포츠에 초점을 둔 영어 수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그 이유로는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서'와 '향후 전공 직무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가 가장 많았다.

Learner-Generated Digital Listening Materials Using Text-to-Speech for Self-Directed Listening Practice

  • Moon, Do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4호
    • /
    • pp.148-155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learners' perceptions of using self-generated listening materials based on Text to Speech. After taking an online training session to learn how to make listening materials for extensive listening practice outside the classroom, the learners were engaged in practice with self-generated listening materials for 10 weeks in a self-directed way. The results show that a majority of the learners found the TTS-based listening materials helpful to reduce anxiety toward listening and enhance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with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ir listening ability. The learners' general satisfaction can be attributed to some beneficial features of TTS-based listening material, including freedom to choose what they want to learn, convenient accessibility to the material, availability of various native speakers' voices, and novelty of digital tools. This suggests that TTS-based digital listening materials can be a useful educational tool to support learners' self-directed listening practice outside the classroom in EFL settings.

영어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Developing English Proficiency by Using English Animation)

  • 정재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7호
    • /
    • pp.107-142
    • /
    • 2014
  • 지금 우리나라 대학은 심대한 교육환경의 변화에 직면에 있다. 교육 시장의 개방, 대학지원자의 감소, 학제 간 융합교육 연구의 필요성 증대, 정부의 대학 구조 개혁 정책추진, 실용적인 학문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 등으로 인해 과거 공급자 중심의 사고로서는 경쟁에서 생존할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세계화가 가속화됨에 따라서 세계 공용어인 영어교육은 필수적이지만, 현재 전문대학의 영어교육환경은 언어의 기능만 강조하는 한정된 영어수업으로 제한되어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기회를 갖기 어려운 환경이다. 지금까지의 영어교육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므로 현재의 상황과 교과서에 나타난 정보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진부한 학습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은 유연한 지식 정보의 시대이다. 산업시대의 행동주의에 근거한 교육은 고정된 지식의 주입으로 다양성, 창조성을 요구하는 정보화 시대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영어 교육에서도 우리가 배우고 가르쳐야 할 것은 '고정된 지식'이 아니라, 새로운 지식을 스스로 찾아내고 창조할 수 있는 '유연한 지식'이다. 졸업 후 대부분의 학생들은 호텔, 리조트, 관광여행사, 관광가이드 등으로 취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취업 후에도 지속적인 영어활용 기회 및 외국인들의 한국방문 1,000만 시대로의 진입, 지역사회로의 많은 외국인 관광객 유입 등으로 어느 때 보다도 뛰어난 영어능력의 요구가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영어 교육에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영어교육 방법론이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영어 학습의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시간과 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TV, 영화, 애니메이션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손안에서 시청하고 있는 추세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애니메이션 활용을 통하여 영어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라는 문제는 당면 과제라 할 수 있다. 언어교육은 다른 교육 적용의 방식이 함께 사용될 수 없다. 다른 교육과는 달리, 언어의 특성상 지식전달의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활용한 학생들의 기능적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자발적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모델 제시 및 애니메이션의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개정된 항공영어구술능력시험(EPTA)의 안면타당도 분석 - 조종사의 비행경력을 중심으로- (Face Validity Analysis of Revised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EPTA) - Based on the Pilot's Flying Experience -)

  • 최경호;김수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2-2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e validity of the revised EPTA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to see if the tests actuall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aviation safety and achieve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In order to reach the above objectives, 103 pilot test takers were surveyed, and nine in-depth interviewee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 addition, detailed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dividing the participants into the pilot's flight experience (31 captain pilots, 42 first officer pilots, and 30 general commercial pilots). As a result, pilot participants were generally aware that EPTA was more reasonable because the revised EPTA properly implemented the aviation situation and gave participants motivation to learn aviation English. It was also seen that first officer pilots had a higher face validity of EPTA than captain and general commercial pilots. The reason was that first officer pilots considered air traffic control job was more important than other pilots did.

Student Experiences in a Multimodal Composition Class

  • Park, Hyechong;Selfe, Cynthia L.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229-250
    • /
    • 2011
  • Despite the social turn in literacy studies, few empiric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practical applications and learning experiences of multimodal composition pedagogy.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examines undergraduates' experiences in producing multimodal texts. Findings report that students' experiences in a multimodal composition class epitomize enjoyable learning. Students enjoyed their learning process because (a) the multimodal literacy curriculum filled the pedagogical gap between the conventional school-sponsored alphabetic literacy pedagogy and widespread out-of-school multimodal literacy practices and (b) the usefulness of the curriculum helped students enhance their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and compose. By questioning fundamental assumptions about what counts as knowledge in the current ecology of literacies, the authors argue for a dynamic view of literacy into pract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