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er temperament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남아와 여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Disparity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Demand Level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전은하;박주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47-166
    • /
    • 2015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남아와 여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와 경남지역의 세 개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221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유아의 문제행동은 담임교사가 보고하였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는 어머니가 보고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치를 산출하고,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활발한 기질에 있어서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클수록 남아와 여아 모두 외현적 문제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현적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내재적 문제행동은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그리고 적응적 기질에 있어서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클수록 많이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여아의 내재적 문제행동의 경우에는 이러한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유아기질이 유아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hat infant temperament has on the infant's sense of self-respect and peer competence)

  • 장경자;김종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705-715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기질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질의 적응성, 활동성, 자아존중감의 인지적능력, 동료수용의 경우 어린이집의 평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기질의 반응성, 자아존중감의 어머니수용, 동료관계, 또래유능성의 사교성은 유치원의 평점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남아의 '생리적규칙성'이 여아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기질,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기질의 '반응성'의 경우 만 5세가 a그룹으로 만 3세, 만4세가 b그룹으로 나뉘어 차이를 보였으며 '생리적규칙성'의 경우 만3세의 규칙성이 가장 컸으며 만5세의 규칙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차이를 보였다.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감에서는 만4, 5세가 만3세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어머니의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Variables Affecting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Focus on Maternal Employment Status)

  • 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7-69
    • /
    • 2009
  •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eer Competence Scale(Park & Rhee, 2001),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Chun, 1993), Emotional Intelligence Quotient Scale(Kim & Kim, 1998), Maternal Parenting Scale(Park & Lee, 1990) Parental Involvement Checklist(Cohen, 1989),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Pianta, 1991). Subjects were 400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 children of employed mothers had higher peer competence than children of unemployed mothers. (b) Closenes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peer competence of children of employed mothers; maternal strategies promoting peer relationship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peer competence of children of unemployed mothers.

  • PDF

만 4세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An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Nocturnal Sleep Duration in 4-year-olds)

  • 유연지;김진욱
    • 육아정책연구
    • /
    • 제12권3호
    • /
    • pp.55-76
    • /
    • 2018
  • 본 연구는 2012년 전국 규모로 실시된 5차 한국아동패널의 자료를 활용하여 만 4세 유아의 개인적 특성요인(기질), 가족특성변인(모 취업여부), 생활시간변인(육아지원기관 이용시간, 기관에서의 낮잠시간, 전자매체 사용시간)이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개인적 특성변인, 가족특성변인, 생활시간변인이 야간수면시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설명력은 생활시간변인, 가족특성변인 순으로 높았으며 개인적 특성변인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유아가 가정에서 충분한 야간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부모는 적절한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어야하며 자녀의 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가정과 기관의 연계 강화, 부모의 근무시간 유연제 등의 제도 확산과 시행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어머니 변인 연구 (Variables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Behavior)

  • 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1-26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남아와 여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이해를 높이고,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00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행동, 기질과 정서지능,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설문도구로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차이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행동에서 더 긍정적이었으며, 둘째, 남아와 여아 모두 유아의 정서적 지능이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어머니 변인 외 아버지 변인과 관련하여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다각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어머니의 영유아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유아와 어머니의 특성, 사회적 지지, 모아상호작용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Attachment to Infant-Toddler -Focusing on Infant-Toddler and Matern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 황영희;박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31-23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모아상호작용이 모아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3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였다. 영유아기의 자녀가 있는 어머니 215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사회적 지지, 모아상호작용 그리고 애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집단간 평균비교, 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의 특성 중 성별(t=3.200, p<.002), 연령(t=4.037, p<.001)과 기질(F=4.614, p<.011)에 따라, 어머니의 특성 중 연령(F=18.028, p<.001)과 학력(F=4.241, p<.016)에 따라 애착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애착은 사회적 지지(r=.507, p<.001) 및 모아상호작용(r=.57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아상호작용(${\beta}=0.361$, p<.001), 사회적 지지(${\beta}=0.309$, p<.001), 연령(30세미만)(${\beta}=-0.370$, p<.001) 그리고 결혼 기간(10년 미만)(${\beta}=-0.179$, p<.033)이었다. 애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모아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과 자녀가치관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Value of Children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박수빈;김희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79-8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value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is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value of children to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37 mothers, who had young childre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value of childre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ild's factors (gender and number of children in the family, etc.), the mother's factors (age and education, etc), and the family's factors (household income and cost of bringing up the child). Second, familism is related to emotional value and instrumental value, parenting efficacy is related to emo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children's temperament is related to emotional value, and the value of children from mother's reference group is related to emotional value and instrumental value, social value, and burdensome value. As for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value of children from mother's reference groups is important for changing the value of children of th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한국 영아어머니의 산후우울 변화와 양육 관련 체계변인간의 관계 분석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nges in Postpartum Depression and Child-rearing System Variables in Korean Mothers)

  • 천희영;옥경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6호
    • /
    • pp.153-167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from one month after childbirth to the first year using panel data collected overtime,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change and child-rearing system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097 mothers who belonged to both the lower and upper $30^{th}$ percentile groups in the depression change distribution of the 2008 Korean Children Panel Study (PSKC),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care and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s, $x^2$ test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ostpartum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during the first year as opposed to the first month after birth.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al variables of the mothers, the changes related to depress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aring stress, and the child's emotional temperament, but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s self-esteem, the child's birth order, and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activities. Third,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changes in postpartum depression were the mother's self-esteem and child-rearing stress, the child's age in months,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pertaining to the mother's characteristics variables had a more powerful effect than other child-rearing system variable categories.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to develop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or a mother-child health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mothers, as determined in this study, in an effort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타인양육 영아의 정서조절: 격리 및 타인양육 특성과 어머니 및 영아 특성의 영향 (Emotion Regulation Among Nonmaternal Care Infants: The Effect of Separation/Nonmaternal Care Experiences and Child/Mother Variables)

  • 양연숙;조복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67-8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whether early child-care experienc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other/child factors, was associated with emotion regulation. Participants were forty 12-18 month-old infants, their mothers and their caregivers. Infants were observed in the Strange Situation to assess the pattern of emotion regulation. Mothers were interviewed, given Questionnaires, and observed in play. Caregivers were observed in child care to assess the caregiv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ood quality child care on open emotion expression and heightening emotion expression.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revealed that infants were more likely to be open emotion expression when high maternal sensitivity /responsiveness was combined with good quality child care, or nonmaterial care initiated prior to six month of age. Infants were more likely to be minimizing emotion expression when low maternal sensitivity/responsiveness was combined with nonmaternal care initiated after six month of age, or more than one care arrangement. Difficult temperament infants received nonrelative care were somewhat more likely to be minimizing emotion expression. Infants were more Likely to be heightening emotion expression when high maternal sensitivity/responsiveness was combined with relative care. Boys experiencing nonrelative care were more Likely to be heightening emotion expression.

  • PDF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부적응 행동 : 유아의 개인적 변인과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변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arental Variables on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Levels and Maladjustment Behaviors)

  • 이숙;김수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elative influences of individual variables (sex, age, temperament) and mother's psychosocial variables (maternal attitude, parenting stress, marriage satisfaction) on daily stress levels and maladjustment of young children attending at daycare centers. Subjects were 224 pair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18 teachers from 5 child-care centers in Gwangju City. Children were tested individually using 22-item daily stress inventory with illustrations which described certain stressful situations. Questionnaires were also administered to mothers and teachers.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ronbach's $\alph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4.0)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Overall average score of children's daily stress was equivalent with the median. 'Blame and attack situation' and 'anxiety and frustrated situation' were perceived as more stressful for children than 'lose self-respect situation'. Overall average score of children's maladjustment was lower than the median. 'Overactivity' was highest among subscores of maladjustment. Age was the only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 on children's daily stress level. Sex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overactivity', 'aggression', and 'regression' of young children. Activity and maternal stress we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on 'overactivity' and 'aggression',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