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i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1초

Paraquat 유독성에 대한 Flavonoid류의 독성경감효과 (Scavenging Effects of Flavonoids on Paraquat Induced Toxicity)

  • 최병기;조내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0권1_2호
    • /
    • pp.47-54
    • /
    • 1995
  • To investigate and evaluated the scavenging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various flavonoids on paraquat induced toxicity, in vivo and vitro tests of eight flavonoids (catechin, epocatechin, flavone, chrysin, apigenin, quercetin, morin and biochanin A) were carried out.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ubstances(ROS) in PMS-NADH system $H_2O_2$ induced hemolysis and lipidperoxidation to blood, NADPH dependent lipidperoxidation to liver and lung microsome by paraquat were studied.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In the concentration ranges from 3.3 to 9.8$\mu$M of catechin,epicatechin, quercetin and biochanin A removed the 50% of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2) In the concentration ranges from 0.60 to 1.86 mM of catechin, epicatechin, quercetin and biochanin A showed th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n superoxide anion which gernerated in PMA-NADH system. 3) In the concentration ranges from 0.12 to 0.49mM of catechin, epicatechin, quercetin and biochanin A showed th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n H202 which generated in PMA-NADH system. 4) In the concentration ranges from 0.6 x10$^{-5}$ to 6.3 x 10$^{-5}$mM of catechin, epicatechin, flavone, chrysin, quercetin and morin showed th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n $H_2O_2$ induced hemolysis to blood 5) All flavonoids tested exhibited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n paraquat induced liver and tung microsomal lipidperoxidation. Therefore, all flavonoids evaluated showed the useful compounds for scavenger and antioxidant on paraquat induced toxicity.

  • PDF

천연물인 플라보노이드와 이소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 효과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Common Natural Flavonoids and Isoflavonoids)

  • 판데이 라메스 프리사드;코이라라 니런전;이주호;이희찬;송재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67-371
    • /
    • 2013
  • 2,2'-diphenylpicrylhydrazyl ($DPPH^{\cdot}$) assay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decolorization assay는 자연상태의 플라보노이드와 이소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억제중간값(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values)과 트롤록스당량 항산화능값(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values)은 $DPPH^{\cdot}$ assay와 $ABTS^+$ assay로 계산되었다. DPPH assay 결과, 쿼세틴(quercetin)은 가장 강한 항산화 능력을 가졌고 뒤이어 피세틴(fisetin), 7,8-디하이드록시플라본(7,8-dihydroxyflavone), 모린(morin), 캠퍼롤(kaempferol) 순이었다. 쿼세틴, 피세틴, 7,8-디하이드록시플라본은 부틸하이드록시 아니솔(butyl hydroxyl anisole)보다 더 높은 항산화 능력을 가졌다. 쿼세틴은 플라보노이드와 이소플로보노이드 중에서 TEAC 값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3-하이드록시플로본(3-hydroxyflavone), 피세틴, 7,8-디하이드록시플라본과 모린 순이었다. 다른 나머지 플라보노이드와 이소플라보노이드는 트롤록스 보다 더 약한 $ABTS^+$ 분해능력(scavenging potential)을 가졌다. 테스트된 13개 플라보노이드/이소플라보노이드에서 이소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보다 매우 약한 항산화 능력을 보였다.

퍼스낼리티 배우의 '인물창조' 연구 -배우 '정우성-캐릭터'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 Creation' of Personality Actor - Focusing on Actor Jung Woo-sung and the Characters He Played -)

  • 오윤홍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41-152
    • /
    • 2020
  • 본 논문은 스티븐 프린스(S. Prince)의 '스타 페르소나' 개념 중에서 '퍼스낼리티 배우(personality actor)의 인물창조(characterization)에 관한 연구다. 이를 한국 영화계의 대표적 퍼스낼리티 배우인 정우성의 대표 영화 7편을 선택해서 '정우성-캐릭터'가 어떻게 영화에서 구현되고 있는가를 다이어(R.Dyer)가 제시한 캐릭터 구성요소로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의미에서 배우의 연기는 캐릭터 창조에 있어서 '변형(transformation)', '탈개성화(impersonation)'를 높게평가했는데, 첨단 테크놀로지와 통합되어 구현되는 영화연기에서 배우의 연기만을 중점으로 인물창조 방법을 논의한다는 것은 영화연기 연구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고 본다. 영화배우와 스타 연구를 한 리처드 다이어(R.Dyer)나 에드가 모랭(E.Morin) 등의 이론가들 역시 '(영화 매체에 의해서) 영화배우는 연극배우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퍼스낼리티 배우의 연기행위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분석을 지양하였다. 역할의 유형을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의 이미지와 유형을 통해서 영화 속 캐릭터를 구현한다는 모랭의 지적대로, 정우성이라는 배우와 그의 캐릭터를 분석하면서 퍼스낼리티 배우의 인물창조 방법의 의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시험관 및 생체조건하에서 니트로소프로린 생성에 미치는 수종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영향 (Influence of Some Flavonoids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 Lee, Ji-Hyeon;Park, Jae-Su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6-272
    • /
    • 1993
  • 우리들의 식이중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이 니트로소화합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체내에서 일어나는 니트로소화 과정을 아질산염, 프로린과 시료를 동시에 투여하여 생성된 니트로소프로린 함량을 시험관 및 생체조건하에서 HPLC로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잘 알려진 ascorbic acid, KSCN과 더불어 catechin, chlorogenic acid, morin, luteolin, luteolin-7-O-glucoside, naringenin 등은 아질산염 소거에는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니트로소프로린 생성에 대해서는 ascorbic acid와 chlorogen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화합물들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오히려 그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결정${(Fe,In,Eu)}_2O_3$계의 자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Polycrystailine${(Fe,In,Eu)}_2O_3$)

  • 김정기;서정철;한은주;홍양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
    • /
    • 1991
  • 다결정${(Fe_{2}O_{3})}_{1-x-y}{(In_{2}O_{3})}_{x}{(Eu_{2}O_{3})}_{y}$(x=0.01, y=0.02과 x=0.02, y=0.03)의 자기적 성질을 X선 회절, $M\"{o}ssbauer$ 효과 방법과 자기이력 측정에 의해서 연구하였다. X선 회절결과는 이들 시료의 결정구조는 $\alpha-Fe_{2}O_{3}$와 같음을 보인다. 사중극자 분열과 평균 반폭치 분석으로부터 x=0.01과 y=0.02인 시료는 Morin 전이를 보이며, x=0.02와 y=0.03시료에서 반 강자성 벡타와 결정축[111]사이의 각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 약 $35^{\circ}$로부터 (111) 평면에 놓이기 까지 변한다. 초미세 자기장의 온도 의존성은 스핀파 이론을 써서 분석하였다. 상온에서의 이성질체 이동값은 약 0.35mm/s로 이는 시료내의 철의 이온값은 $3^{+}$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성질체 이동의 온도의존성은 Delbye모형을 써서 분석하였다.

  • PDF

이소플라본의 항산화능에 대한 마늘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Garlic Extract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Isoflavones)

  • 강진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51-8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시판하는 naringin, rutin 및 morin 등의 이소플라본을 시료로 하여 환원력,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 등의 항산화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행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마늘 추출물의 영향을 함께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을 측정한 모든 실험항목에서 대조군으로서 사용한 합성항산화제인 BHA보다 훨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소플라본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도 다소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특히 마늘을 첨가하였을 때는 그 효능이 더욱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마늘의 첨가량을 늘릴수록 그 효능은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소플라본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항목 별로 특별한 경향은 찾아볼 수 없었는데 환원력에서는 naringin이, hydroxyl radical 소거효과 및 SOD 유사활성에서는 rutin이, 그리고 전자공여능에서는 morin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소플라본의 항산화적 특성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작용은 합성항산화제인 BHA보다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가공을 위한 주요 소재로서도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마늘의 섭취가 이소플라본의 항산화적 특성에 상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식생활의 올바른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바이다.

How to Manage Business Process as Knowledge Assets based on Ontological Approach: Focusing on Sales Order Process

  • Joo, Jae-Woo;Kim, Gun-Woo;Morin, Jean-Henry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4-269
    • /
    • 2008
  • Considering our increasingly interconnected organizations heavily relying on business processes and the growing need for timely accurate knowledge to achieve greater agility in the enterprise, the idea of looking at business processes as a knowledge object is gaining momentum. Business process information is knowledge and should consequently be managed as a valuable organizational asset, particularly because organizations need to react in near real tim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event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situation in this field arguing for a better definition of the intersections between knowledge and business process management. When business process is seen as knowledge, it should be managed as such. We assess and discuss some of the resulting benefits and considering the need for greater dynam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domains, we look at ontologies as an interesting technical approach to bridging this gap showing an example for an ontology based sales order process.

  • PDF

Inhibition of T-cell-Dependent Antibody Production by Quercetin in Mice

  • Kim, Hyun-Py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1호
    • /
    • pp.43-46
    • /
    • 2009
  • The immunosuppressive properties of flavonoids were examined for the first time by testing their effects on T-cell-mediated antibody production, using a classical plague-forming cell (PFC) assay in mice. Among the tested flavonoids including naringenin, chrysin, flavonol, galangin, quercetin, morin, myricetin and biochanin A, only quercetin, orally administered at 25 mg/kg, significantly inhibited the number of IgMproducing PFCs induced by sheep red blood cells (SRBC). Interestingly, biochanin A (isoflavone) increased the number of PFCs, suggesting an immunostimulatory effect. The other flavonoids tested did not inhibit or enhance PFC response significantly. Quercetin was also found to show thymus atrophy dose-dependently at 5-500 mg/kg. 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quercetin inhibits in vivo antibody production probably by inhibiting T-cell function.

감자 역병균 생리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Races of Phytophthera Infestans on Patatoes)

  • 강응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4-26
    • /
    • 1965
  • In July, 1963, a virulent outbreak of late blight in the potato field of Daekwanlyung area was studied and it was known as epidemics. Two stocks are $T_1$ and $T_1$ of Phytophthora infestans (Mont.) De Bary which isolated from Irish Cobbler were inoculated at field and green house respectively by cutted leaves method. Two strains have been distinguished in reactions to leaves: $T_1$: Irish Cobbler (r), Morin No. 1 (r) have shown infectivity of disease and Kennebec ($R_1$), 1512-C(16) ($R_2$), Pentland Ace ($R_3$) and Hokkai No. 17 ($R_4$) have not shown infectivity of disease; $T_1$: Irish Cobbler (r), Norin No. I (r) and Kennebec ($R_1$) have shown infectivity of disease and 1512-C (16) ($R_2$), Pentland Ace ($R_3$) and Hokkai No. 17($R_4$) have not shown infectivity of disease. Both are the first record of race O and race 1 of Phytophthora infestans (Mont.) De Bary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