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racter Creation' of Personality Actor - Focusing on Actor Jung Woo-sung and the Characters He Played -

퍼스낼리티 배우의 '인물창조' 연구 -배우 '정우성-캐릭터'들을 중심으로-

  • Oh, Youn-Hong (Department of Theatre & Media Performance, College of Art, Dongyang University)
  • 오윤홍 (동양대학교 공연영상학부)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reation of characters of "personality actors and character actors" among the concepts of "star persona" of S. Prince. This study selected 7 representative films of Jung Woo-sung, a representative personality actor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nd analyzed how 'Jung Woo-sung-character' is embodied in the film as a character component suggested by R. Dyer.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actor's acting has been highly valued for transformation and impersonation in character creation, but discussing the method of creating a character focusing only on the actor's acting in a movie acting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advanced technology I don't think it's suitable for movie acting research. Theorists such as R.Dyer and Edgar Morin, who studied film actors and stars, also emphasize that 'movie actors are different from theater actors' (by the film medium). Therefore, in this thesis, a detailed analysis of the acting of a personality actor was avoided. As Morin pointed out that the character in the movie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actor's image and type, not playing the type of role. I tried to propose the significance of this character creation method of the personality actor by analyzing actor Jung Woo-sung and his character.

본 논문은 스티븐 프린스(S. Prince)의 '스타 페르소나' 개념 중에서 '퍼스낼리티 배우(personality actor)의 인물창조(characterization)에 관한 연구다. 이를 한국 영화계의 대표적 퍼스낼리티 배우인 정우성의 대표 영화 7편을 선택해서 '정우성-캐릭터'가 어떻게 영화에서 구현되고 있는가를 다이어(R.Dyer)가 제시한 캐릭터 구성요소로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의미에서 배우의 연기는 캐릭터 창조에 있어서 '변형(transformation)', '탈개성화(impersonation)'를 높게평가했는데, 첨단 테크놀로지와 통합되어 구현되는 영화연기에서 배우의 연기만을 중점으로 인물창조 방법을 논의한다는 것은 영화연기 연구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고 본다. 영화배우와 스타 연구를 한 리처드 다이어(R.Dyer)나 에드가 모랭(E.Morin) 등의 이론가들 역시 '(영화 매체에 의해서) 영화배우는 연극배우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퍼스낼리티 배우의 연기행위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분석을 지양하였다. 역할의 유형을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의 이미지와 유형을 통해서 영화 속 캐릭터를 구현한다는 모랭의 지적대로, 정우성이라는 배우와 그의 캐릭터를 분석하면서 퍼스낼리티 배우의 인물창조 방법의 의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8학년도 동양대학교의 교내연구과제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자크 오몽(2006). 영화 속의 얼굴, 마음산책, p. 144.
  2. Stephen Prince(1997). Movies and Meaning: AN INTRODUCTION TO FILM, Allyn & Bacon, p. 88.
  3. 김시무(2018). 스타 페르소나, 아모르문디.
  4. 김시무(2018). 스타 페르소나, 아모르문디. pp.88~91.
  5. 수잔 헤이워드(1997). 영화사전, 한나래, pp. 180-190.
  6. 김정섭(2018). 배우 정우성과 강동원의 이미지 재구축 시나리오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p. 99.
  7. OSEN, "73년생 친구"...'음악캠프' 정우성X전도연, 데뷔 후 첫 연인 호흡, 2020.01.22.
  8. 배리 킹, 스타덤의 이론화, 스타덤: 욕망의 산업2 (2000), 시각과 언어, p. 32.
  9. 데이비드 보드웰(1993). 영화예술, 현장문학, p. 150.
  10. 김정섭(2018). 배우 정우성과 강동원의 이미지 재구축 시나리오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0쪽.
  11. 김시무(2018). 스타 페르소나, 아모르문디. p. 69.
  12. 김시무(2018). 스타 페르소나, 아모르문디. pp. 32-40.
  13. 아서 마윅(2009). 미모의 역사, 채은진 역, 말글빛냄, p. 245.
  14. 김시무(2018). 스타 페르소나, 아모르문디. pp. 70~74.
  15. 리처드 다이어(1995). 스타_이미지와 기호들, 한나래, pp. 165-166
  16. 데이비드 보드웰(1993). 영화예술, 현장문학. p. 150.
  17. 오윤홍(2013). 영화연기의 사실성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58호, pp. 240-242.
  18. 리처드 다이어(1995). 스타_이미지와 기호들, 한나래. pp. 198-213.
  19. 리처드 다이어(1995). 스타_이미지와 기호들, 한나래. p. 202.
  20. 리처드 다이어(1995). 스타_이미지와 기호들, 한나래. p. 206.
  21. 리처드 다이어(1995). 스타_이미지와 기호들, 한나래. p. 206.
  22. 리처드 다이어(1995). 스타_이미지와 기호들, 한나래. p. 207.
  23. 리처드 다이어(1995). 스타_이미지와 기호들, 한나래. p. 212.
  24. 자클린 나카시(2007).영화배우, 동문선, p. 178.
  25. 자클린 나카시(2007).영화배우, 동문선. p. 37
  26. 오윤홍(2015). 홍상수 영화의 '사실적 영화연기'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논문, p. 26
  27. 메리 엘렌 오브라이언(2003). 영화연기, 연극과 인간, pp. 159-161.
  28. 김수정, 노컷뉴스, '정우성, 규정된 이미지 깨려고 노력한 까닭', 2020.02.26.
  29. 김소연, 한경닷컴, 정우성 "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노메이크업 이유는..., 2020.02.19.
  30. 박정선, 일간스포츠, '지푸라기라도' 정우성, 애드리브로 완성된 생활연기, 2020.01.16.
  31. 신소원, 마이 데일리, "정우성, 힘 빼고 달라진 얼굴이 반갑다, 2019.02.12.
  32. 네이버 영화 '강철비' 기본정보 참고.
  33. 김연지, 일간스포츠, '더킹' 검사역, 잘생긴 조인성, 정우성이여만 했던 이유,2017.01.18.
  34. 김현록, 정우성 "청춘의 아이콘, 버릴 수 없는 타이틀",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04.10.25.
  35. 에드가 모랭(1997). 스타, 문예출판사, p. 69.
  36. 고재완, 스포츠조선, 정우성 '더킹' 권력설계자 변신...말투까지 고쳤다?, 2016.12.13.
  37. 박정선, 일간스포츠, '지푸라기라도' 정우성, 애드리브로 완성된 생활연기, 2020.01.16.
  38. 김현록, 정우성 "청춘의 아이콘, 버릴 수 없는 타이틀",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04.10.25.
  39. 신소원, 마이 데일리, "정우성, 힘빼고 달라진 얼굴이 반갑다, 2019.02.12.
  40. 에드가모랭(1997). 스타, 문예출판사, p. 158.
  41. OSEN, "73년생 친구"...'음악캠프' 정우성X전도연, 데뷔 후 첫 연인 호흡, 2020.01.22.
  42. 에드가 모랭(1997). 스타, 문예출판사, p.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