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mer mixtur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5초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강인성에 비닐계 단량체가 미치는 효과 (Effect of Vinylic Monomers on Toughness of Unsaturated Polyester)

  • 이동호;정용균;최관영;김호겸;민경은;서관호;임정철;전일련
    • 폴리머
    • /
    • 제25권3호
    • /
    • pp.375-384
    • /
    • 2001
  •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 UP)의 희석제로 많이 사용되는 스티렌 단량체 (SM)대신에 단일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비닐 아세테이트(VAc), 메틸 아크릴레이트(MA)를 SM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혼합초성에 따른 UP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SM/MA 혼합계는 MA함량 증가에 따라 전체적으로 강인성의 향상이 나타난 반면, SM/VAc 혼합계의 경우에는 VAc 단량체치 함량 증가에 마른 강인성의 향상을 기대하기가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전체 계의 유리전이온도의 저하 효과와 상분리에 의한 응력 완화 효과에 미치는 각 단량체의 영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Holographic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s and Polymeric Photonic Crystals Formed by Holographic Photolithography

  • Kyu Thein;Meng Scott;Duran Hatice;Nanjundiah Kumar;Yandek Gregory R.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55-165
    • /
    • 2006
  • The present article describes th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observations on the formation of holographic,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s and electrically switchable, photonic crystals. A phase diagram of the starting mixture of nematic liquid crystal and photo-reactive triacrylate monomer was established by means o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cloud point measurement. Photolithographic patterns were imprinted on the starting mixture of LC/triacrylate via multi-beam interference. A similar study was extended to a dendrimer/photocurative mixture as well as to a single component system (tetra-acrylate). Theoretical modeling and numerical simulation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combination of Flory-Huggins free energy of mixing and Maier-Saupe free energy of nematic ordering. The combined free energy densiti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time-dependent Ginzburg-Landau (Model C) equations coupled with the photopolymerization rate equation to elucidate the spatio-temporal structure growth. The 2-D photonic structures thus simulated were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Furthermore, 3-D simulation was performed to guide the fabrication of assorted photonic crystals under various beam-geometries. Electro-optical performance such as diffraction efficiency was evaluated during the pattern photopolymerization process and also as a function of driving voltage.

매크로 다공성 Poly[Methacrylic Acid-co-Ethylene Glycol Dimenthacrylate] 막대에서 Caffeine과 Tryptophan의 체류 메카니즘 (Retention Mechanism of Caffeine and Tryptophan in Macroporous Poly[Methacrylic Acid-co-Ethylene Glycol Dimenthacrylate] Rods)

  • 김룡매;염홍원;정금주;노경호
    • KSBB Journal
    • /
    • 제21권5호
    • /
    • pp.401-404
    • /
    • 2006
  • MAA와 EGDMA를 단량체 및 가교제로 한 일체형 컬럼은 친수성의 구조표면을 하고 있어 쉽게 시료와 수소결합 등 강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카페인과 트립토판을 분리물질로 선택하였으나 완전한 분리도를 얻을 수가 없었다. 이는 일체형 컬럼의 제조 시 여러 요인에 기인하다. 중합혼합반응물질의 양의 조성과 반응조건이 적절하지 못하는 등 원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일체형 컬럼의 분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실험이 요구된다.

전자비드를 이용한 패시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제작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brication and Estimation Passive Matrix Display Using Electronic Bead)

  • 오유미;박선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224-228
    • /
    • 2012
  • We have developed new materials that lead to methyl meth acrylate monomer and styrene monomer to using polymerization method. The materials have a powder form and show liquid behavior. We call the "Electronic Bead". An our experiment, a positive-charged particle has $TiO_2$, polymer and CCA(-), while a negative-charged particle consists of carbon black, polymer and CCA(+). The charged particles have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white -10 uC/g and black 10 uC/g, respectively. Also, these particles have good fluidity by additive of nano-sized silica. Using these materials, we demonstrated prototype displays that have $320{\times}320$ array of pixels and 6-in-diagonal viewable image size, driven by passive-matrix addressing. The reflectivity shows about 30% even though our experiment is at the beginning point. Also, the panel has contrast ratio 6:1. We think there are many chances to improve reflectivity through modifying components of particle resin, mixture ratio of each particle, panel structure and so on.

Formation of hydrophilic polymer films by DC-plasma of monomer and reactive gases

  • Kim, Ki-Hwan;Park, Sung-Chang;doo-Jin choi;Jung, Hyung-Jin;Koh, Seok-Keu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61-161
    • /
    • 1999
  • In the field of material science, the interests and efforts to modify the surface of materials in agreement with the need of usage have been extensively increasing. he modification to improve the wettability of surface is very important is terms of adhesion, printing, etc. It is very difficult to modify metal surface into hydrophilic one. therefore, surfactant coating has been generally used in many cases. However, surfactant has disadvantages such as environmental problem, soluble in water. in this study, hydrophilic polymer films as alternative of surfactant were deposited on metal substrate by DC plasma polymerization. Hydrophilic polymer films deposited by DC plasma show many merits such as good wettability, stone adhesion to substrate, high resistance to most chemicals. Monomer gas and reactive gas were used as source plasma polymerization. Plasma polymerized films were fabricated with process parameters of deposition time, ratio of gas mixture, current, pressure, etc.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wettability of plasma polymer films will be discussed. With XPS and FT-IR analyses of plasma polymeric films, the relation between wettability and chemical state of polymer films by DC plasma was investigated.

  • PDF

광학용 무용제 실리카-아크릴 모노머 하이브리드 졸 기반의 코팅액 제조 및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n-Solvent Silica-Acryl Monomer Hybrid Sol for Optical Device)

  • 강우규;장건익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246-251
    • /
    • 2019
  • A solvent free, highly concentrated silica-acryl monomer hybrid sol was synthesized using aqueous colloidal silica as a precursor. The effects of the silica particle size, type of surface treatment agent employed, and silica content on the formation of the hybrid sol were systematically studied. The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solution prepared using the hybrid sol were also characterized. The viscosity of the hybrid sol tended to decrease as the particle size of the silica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surface treatment agent increased. The PET substrate coated with MPTMS-Mix (mixture, 70 wt%) solution showed the highest surface hardness (6 H) and low surface roughness ($Ra=0.044{\mu}m$),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packing density caused by the infiltration of small particles into the pores formed between larger particles.

아크릴계 단량체 2-HEA와 EGPA의 조성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의 전기광학적 특성 평가 (Effect of 2-HEA and EGPA Composition on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 최종선;김영대;김소연
    • 공업화학
    • /
    • 제30권2호
    • /
    • pp.205-211
    • /
    • 2019
  • 지난 수십 년 동안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은 전기광학적으로 전환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빛의 투과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smart window를 개발하는 물질로서 주목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구동전압과 낮은 명암비 등의 PDLC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크릴계 단량체 2-hydroxyethyl acrylate (2-HEA)와 ethylene glycol phenyl ether acrylate (EGPA)의 조성이 PDLC의 전기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상온에서 10 cps 이하의 낮은 점도를 나타내는 2-HEA와 EGPA 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 보다 쉽게 capillary action에 의해서 indium tin oxide (ITO) glass 사이에 주입하는 공정이 가능하였다. Phenyl group를 포함한 EGPA 단량체가 대부분으로 이루어진 1 : 9인 단량체 혼합물로 만들어진 PDLC cell의 경우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불투명한 상태가 관측되지 않았고 인가 전압에 따라 매우 불안정한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Cell gap thickness가 증가함에 따라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V_{th}$)과 포화전압(saturation voltage, $V_{sat}$)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0{\mu}m$의 cell gap thickness를 갖는 PDLC cell이 10과 $40{\mu}m$의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명암비를 나타내었다. 특히, 7 : 3 비율의 2-HEA : EGPA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PDLC cell의 경우가 낮은 구동전압과 높은 명암비의 가장 우수한 전기광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수용액 매체에서 젤-케스팅 공정을 이용한 세라믹 코어 제조에 관한 연구(I) : 다성분계 분산 세라믹 슬립의 젤화 거동 (Study on the Fabrication of Ceramic Core using a Gel-casting Process in Aqueous medium(I) : Gelation Behavior of Polydispered Ceramic Slip)

  • 김재원;김두현;김인수;유영수;김재철;조창용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5
    • /
    • 2001
  • 수용액 매체에서 젤케스팅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의 세라믹스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공정을 연구하였다 용융실리카 분말과 첨가제로서 지르콘과 코디어라이트 조성으로 혼합된 현탁액을 electrosteric 방법으로 안정화시켰다. 슬립은 다성분계 세라믹 현탁액에 단량체, 이량체 그러고 분산제를 혼합하고, 볼밀하여 준비하였다. 슬립의 유동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 낮은 점도를 갖는 50vo1%의 고농도 다성분계 세라믹 슬립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슬립의 점도는 고분자 분산제의 함량과 단량체 및 이량체의 혼합비에 크게 의존하였다. 성형체는 안정화시킨 슬립을 몰드에 부어 상온에서 젤화시킨 후 $25^{\circ}C$, 80~85% 상대습도 분위기 하에서 48시간동안 건조시켜 제조하였으며 건조된 성형체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

  • PDF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 II.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복합체 입자의 합성 (Suspension Polymerization with Hydrophobic Silica as a Stabilizer II. Preparation of Polystyrene Composite Particles Containing Carbon Black)

  • 박문수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05-511
    • /
    • 2006
  • 물을 반응매체로 하고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복합체를 현탁중합법을 이용하여 입자형태로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안정제로는 소수성 실리카를, 개시제로는 지용성 안정제인 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선택하였다. 반응은 $75^{\circ}C$로 고정하였다. 안정제의 농도를 물에 대하여 $0.17{\sim}3.33wt%$까지 변화시킨 결과 1.67 wt%에서 최소 평균입경인 $7.96{\mu}m$의 입자가 형성되었다. 가교제인 divinylbenzene(DVB)은 단량체에 대하여 $0.1{\sim}1.0wt%$까지 변화시킨 결과 가교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간의 응집이 발생하며 평균입경이 크게 증가하였다. 카본블랙의 농도가 단량체에 대하여 1.0 wt%에서는 단량체만으로 구하여진 입자의 입경에 비하여 평균입경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혼합물이 분산에 필요한 최소점도에 미치지 못하며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단량체 대비 3.0 wt% 카본블랙 혼합물의 경우에는 혼합물의 점도 증가로 인한 분산의 향상으로 평균입경이 감소하였다. 이 두 농도의 경우 중합반응 이전의 혼합물의 예비입자 및 중합반응 후의 고분자복합체 입자의 입경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카본블랙의 농도가 단량체 대비 5.0 및 7.5 wt%에서는 혼합물의 점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그 결과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며 예비입자의 평균입경은 감소하였으나, 중합반응 과정에서 입자응집 현상이 발생하며 고분자 복합체의 평균입경은 다시 증가하였다.

Aspergillus itaconicus 유래 itaconic acid의 ester-monomer를 이용한 새로운 soft contact lens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New Soft Contact Lens Materials Using Ester-Monomers of Itaconic Acid from Aspergillus itaconicus)

  • 유영현;남주형;김병길;김순복;문익재;김종필;서영배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38-542
    • /
    • 2009
  • 본 연구는 itaconic acid로부터 합성한 새로운 soft contact lens 소재의 함수율과 산소투과도를 확인 하였다. Soft contact lens의 새로운 polymer소재 개발을 위하여 기본 monomer인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가교제로서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그리고 A. itaconicus의 발효에 의해 생산된 itaconic acid로부터 얻어진 mono-ester 1과 di-ester 2를 새로운 첨가제로 사용하여 중합반응을 시도하였다. Soft contact lens의 새로운 폴리머 소재들은 HEMA와 mono-ester 1 또는 di-ester 2를 서로 다른 비율로 합성하여 함수율(water content)과 산소투과도(oxygen permeability)를 분석하였다. Polymer 형성을 위한 HEMA와 additive의 혼합에서 HEMA/mono-ester 1의 혼합물은 HEMA/di-ester 2 보다 함수율과 산소투과도가 뛰어 났으며 HEMA와 첨가제 mono-ester 1 (15%)를 이용한 중합의 경우, 제작된 soft contact lens의 함수율과 산소투과도는 각각 57.7%와 28.6 Dk로 좋은 값을 나타냈다. 새로운 소재를 사용하여 만든 soft contact lens의 함수율과 산소투과도는 우수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