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itoring

검색결과 26,256건 처리시간 0.047초

개방형 협업을 통한 서비스 혁신 방법론 (Open Collaboration Innovation Methodology (OCIM) : A Methodology for New Service Development)

  • 이준기;이민혜;추요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70
    • /
    • 2011
  • 신서비스 개발이 업계와 학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음에 비해 신서비스 개발을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외부자원을 이용한 개방형 협업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자원을 이용한 신서비스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는 인터넷과 모바일 등의 정보통신기술 발달을 바탕으로 외부자원을 내부자원과 결합하여 신서비스 개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신서비스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른바 "개방형 협업을 통한 혁신 방법론"은 최근 주목 받고 있는 개방형 혁신 모델의 이론과 사회심리학에서의 인간의 협력 의지에 관한 연구에 이론적 근거를 둔다. 이 방법론을 통해 서비스 개발의 목적에 따라 적정한 외부 참여자를 식별하여 동기를 부여하고 통제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디자인하여 신서비스 모델을 창출해 나가는 과정을 제안한다. 끝으로 우리는 사례를 통하여 어떻게 이 모델이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사업을 기획하는 기업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동시에, 집단지성, 웹 2.0, 크라우드소싱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 개방형 협업 모델에 관한 이해를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경관메트릭스를 이용한 금호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공간적 변화탐지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Forest Landscape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using Landscape Metrics)

  • 오정학;박경훈;정성관;이종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9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각종 환경적 교란이 야기되고 있는 금호강 유역의 경관구조를 정량화, 모니터링하기 위한 경관메트릭스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경관메트릭스는 토지피복지도(1985년, 1999년)의 산림패취만을 대상으로 계산하였다. 최초 사용된 12개 메트릭스는 인자분석을 통해서 전체 변량의 91% 이상 설명하는 3개의 공통인자로 축소되었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토지개발이 산림경관구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산림패치에서 도시지역과 농경지로의 전환은 파편화의 증가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지역으로의 전환은 패치면적과 패치크기를 감소시키고, 패치밀도는 증가시켰다($R^2=0.696$, p<0.01). 패치크기의 이질성과 패치모양의 복잡성은 농경지로의 전환에 의해서 감소하였다($R^2=0.405$, p<0.01). 핵심구역과 가장자리의 밀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산림의 도시지역과 농경지로의 전환과는 뚜렷한 상호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향후에는 경관구조와 특정한 환경적, 사회경제적 경관기능 사이의 상호관계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Tonle Sap호의 홍수량 평가 (Assessment of the Inundation Area and Volume of Tonle Sap Lake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 채효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6-106
    • /
    • 2005
  • 원격탐사와 GIS 기법는 시공간 측면에서 매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홍수와 같은 재해 발생시 홍수발생 지역에 대한 매핑, 모니터링 빚 재해지역 관리 등에 있어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난 2000년 메콩강 유역의 Tonle Sap호에서 발생한 홍수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7월과 10월 사이에 두 차례의 홍수 피크가 기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피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ISODATA와 세크멘테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Landsat ETM+와 RADARSAT 영상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범람면적이 구름과 복잡한 지표피복물 등으로 인해 실제 홍수피해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GIS 기능 중 비용-거리 (cost-distance) 기법을 이용하여 홍수범람 면적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수치표고자료(DEM)와 중첩하여 홍수량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홍수량은 수리모형인 MIKE 11의 모델링 결과와 비교하였다. 계산결과 영상 내에 많은 구름이 존재하는 Landsat ETM+ 영상의 경우와 복잡한 지표피복이나 시스템 변수 등의 영향으로 홍수피해 지역을 정확히 분류하기 어려운 RADARSAT 영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실시간 어장정보 생산 부이시스템 개발 및 활용연구 (Development on Real Time Application System for Fisheries Oceanography Information)

  • 이주;서영상;황재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2-149
    • /
    • 2005
  • 동해중북부 연안역의 해황 변화에 따른 연안 양식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연안 어장에서 관측한 해양자료를 실시간으로 일반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실시간 어장정보 제공시스템을 개발 및 운용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 하였다. 실시간 어장정보 제공시스템은 크게 어장정보 생산 부이시스템, 해양자료 수집서버, 해양자료 저장데이터베이스 서버, 인터넷을 통한 자료제공을 위한 웹 서버로 구성하였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최종 이용자들에게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사용자에 대해 휴대전화서비스 빚 문자서비스(SMS)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실시간 어장정보 제공시스템에서 관측한 수온, 유향 유속자료를 이용하여 연안역 저층에서 수 일 이하의 단주기적인 해황변동이 발생함을 정량화 할 수 있었다. 수일 이내 단주기적 해황변동은 어장환경에 영향을 미쳐 어장의 폐사를 유발시키는 원인 중에 하나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실시간 자료에 의해 이상 해황이 발생하면 수하식 양식시설을 적수온대로 이동 시켜 대량폐사를 막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수층별 장기적인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활용하여 수평 및 연직의 양식장 적격지 공간을 과학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 PDF

강교량의 손상감지를 위한 주파수 영역 패턴인식 기법 (Frequency Domain Pattern Recognition Method for Damage Detection of a Steel Bridge)

  • 이정휘;김성곤;장승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통권74호
    • /
    • pp.1-11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동적응답을 입력으로 하고, 패턴인식을 위해 신경망기법(Neural Network, NN)을 사용하는 손상감지기법을 제시하였다. 입력된 동적응답, 즉 주파수응답함수(FRF) 또는 변형률 주파수응답함수(SFRF)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신호변형지수(Signal Anomaly Index, SAI)를 고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이 신호변형지수는 손상 전 및 손상 후의 구조물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또는 동적 변형률 신호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2단계로 구성되며, 1단계에서는 신호변형지수 값의 크기 변화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손상발생 유무를 판별하고, 여기서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2단계에서 신경망기법을 사용한 패턴인식을 통해 손상의 위치를 찾아낸다. 이 방법의 타당성 및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강교량 축소모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신경망의 학습에는 수치해석을 통해 생성한 가상 신호를 사용하였으며,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과 실험을 통해 측정한 실제 신호를 사용하여 손상발견을 수행하였다. 모형 교량에 대한 적용 결과로부터 이 알고리즘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향후 실 교량에 대한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Not All Children with Cystic Fibrosis Have Abnormal Esophageal Neutralization during Chemical Clearance of Acid Reflux

  • Woodley, Frederick W.;Moore-Clingenpeel, Melissa;Machado, Rodrigo Strehl;Nemastil, Christopher J.;Jadcherla, Sudarshan R.;Hayes, Don Jr;Kopp, Benjamin T.;Kaul, Ajay;Di Lorenzo, Carlo;Mousa, Hayat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0권3호
    • /
    • pp.153-159
    • /
    • 2017
  • Purpose: Acid neutralization during chemical clearance is significantly prolonged in children with cystic fibrosis, compared to symptomatic children without cystic fibrosis. The absence of available reference values impeded identification of abnormal findings within individual patients with and without cystic fibrosis. The present study aim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significantly more children with cystic fibrosis have acid neutralization durations during chemical clearance that fall outside the physiological range. Methods: Published reference value for acid neutralization duration during chemical clearance (determined using combined impedance/pH monitoring) was used to assess esophageal acid neutralization efficiency during chemical clearance in 16 children with cystic fibrosis (3 to < 18 years) and 16 age-matched children without cystic fibrosis. Results: Duration of acid neutralization during chemical clearance exceeded the upper end of the physiological range in 9 of 16 (56.3%) children with and in 3 of 16 (18.8%) children without cystic fibrosis (p=0.0412). The likelihood ratio for duration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cystic fibrosis are 2.1-times more likely to have abnormal acid neutralization during chemical clearance, and children with abnormal acid neutralization during chemical clearance are 1.5-times more likely to have cystic fibrosis. Conclusion: Significantly more (but not all) children with cystic fibrosis have abnormally prolonged esophageal clearance of acid. Children with cystic fibrosis are more likely to have abnormal acid neutralization during chemical clearance. Additional studies involving larger sample sizes are needed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genotype, esophageal motility, composition and volume of saliva, and gastric acidity on acid neutralization efficiency in cystic fibrosis children.

고속도로(高速道路) 절토(切土)비탈면의 식생천이과정(植生遷移過程)에 관(關)한 연구(硏究) - 중부고속도로(中部高速道路)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Plant Succession Stages of Highway Cut-slope - In case study on Joongbu-highway -)

  • 우보명;김남춘;김경훈;전기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47-359
    • /
    • 1996
  • 이 연구(硏究)는 고속도로(高速道路) 절토(切土)비탈면에 1차적으로 도입된 식생의 생육상황(生育狀況)과 자연상태로 방치된 절토(切土)비탈면의 2차식생천이상황(次植生遷移狀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9년과 1995년에 중부고속도로(中部高速道路)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절토(切土)비탈면에 자연 침입하여 생육이 왕성한 초본류(草本類)는 참억새, 쑥, 솔새 등이었으며, 목본류(木本類)로는 산딸기, 아까시나무, 칡, 소나무 등이었다. 또한 녹화공법 적용 단계에서 파종된 식생중 외래목초류로는 Weeping lovegrass의 생육이 우세하였다. 절토(切土)비탈면에 평떼붙이기공법에 의해 적용된 잔디(Zoysia japonica)의 생육비율은 비탈면 조성후 유지관리(維持管理)가 수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거나, 침입식생에 의해 피압 소멸되었으며, 주변식생의 영향으로 천이가 진행되어 초본류(다년생초본(多年生草本), 1년생초본(年生草本))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목본류(관목류(灌木類), 교목류(喬木類))의 출현비율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비탈면에 적용된 식생은 계속적인 유지관리(維持管理)가 수반되어야 하며, 녹화공법(綠化工法) 적용시 생활력(生活力)이 강한 초본류(草本類)(야생초화류(野生草花類) 포함) 및 목본류(木本類)의 도입이 요망된다.

  • PDF

초·중·고등학교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환기량 평가 (Evalua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and Ventilation Rat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최영태;허정;박진현;김은채;류현수;김동준;조만수;이채관;이종대;양원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44-352
    • /
    • 2020
  • Objective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indoor air quality. Ventilation within schools is important because of indoor air quality and its effect on health and learning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arbon dioxide (CO2) concentrations and ventilation rates in schools. Methods: This study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CO2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s over six months. The seasons during the study were summer, fall, and winter. Sensor-based monitoring was used 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were investigated. The body surface area of the students was used to calculate the CO2 generation rate, and the air change per hour (ACH) was evaluated using mass balance modeling. Results: The average CO2 concentration measured in most schools exceeded 1000 ppm. The ventilation rates varied from season to season. Compared to the recommended ventilation rate of 4.9 ACH, the roughly 3 ACH calculate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most schools possessed insufficient ventilation.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CO2 in school classrooms could be an indicator of indoor air quality and can affect students' learning ability. In this study, CO2 concentrations exceeding the standard indicate a lack of ventilation along with problems with indoor air quality. Therefore, appropriate improvements are need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강원도 유통 발효주 중 바이오제닉 아민류 함량 조사 및 위해도 평가 (Monitoring of Biogenic Amines Content in Commercial Fermented Alcoholic Beverages in Gangwon-do and Risk Assessment)

  • 배철민;신인철;이완;이혁화;최여은;김영주;이가희;정경진;최승봉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4-334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related health risk by investigating the content of biogenic amines (BAs) in commercial fermented alcoholic beverages. Methods: Ninety-seven samples, including takjus (34), fruit wines (26), distilled liquors (20) and beers (17) were purchased in Gangwon-do (Province) in 2019. The eight BAs (putrescine, cadaverine, spermine, spermidine, tyramine, β-phenylethylamine, histamine, and tryptamine)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 after extraction (0.4 M HClO4), pigment removal (carbon cartridge) and derivatization (1% dansylchloride). The health risk of exposure to BAs due to ingestion of commercial fermented alcoholic beverages was estimated as the margin of exposure (MOE). Results: Various BAs were detected in takju, fruit wine, distilled liquor and beer. Putrescine (not detected (ND)-12.60 mg/L), cadaverine (ND-5.45 mg/L), tyramine (ND-8.34 mg/L), β-phenylethylamine (ND-13.73 mg/L), histamine (ND-7.96 mg/L), and tryptamine (ND-19.00 mg/L) were found in takju. Putrescine (ND-15.34 mg/L), cadaverine (ND-7.90 mg/L), β-phenylethylamine (ND-3.06 mg/L), histamine (ND-9.68 mg/L), and tryptamine (ND-14.06 mg/L) were identified in fruit wine. Putrescine (less than limit of detection (

2015 개정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의 2차 년도 적용 현황 추이 분석 (Trend Analysis of Curriculum Application Status of 2015 Revised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Laboratory Experiment Curriculum)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63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도에 적용 2년차를 맞이한 고등학교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2차 년도 적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과학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244개의 과학중점고와 일반고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018년도 1차 년도 조사결과와 양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을 구성하는 9명의 과학교사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2차 년도 적용현황에 대한 심층 답변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차 년도와 마찬가지로 적용 2년차에도 통합과학은 대부분 6~8단위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학급당 통합과학을 담당하는 교사는 3~4명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초점집단 면담에서 현장교사들은 통합과학이 통합적 지도를 필요로 하며 학생의 흥미와 관심 유발에도 좋지만, 평가공정성 확보 등의 문제로 과정중심 평가 등을 구현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과학탐구실험의 경우 대부분 학기당 1단위로 2개 학기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가르치는 사람이 달라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을 거의 연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도부터 과학탐구실험의 학교생활기록 기재 방식이 절대평가로 변경되어서 상대평가로 성적산출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학생들의 만족도나 수업의 흐름이 기대한 것보다 훨씬 좋고, 부담없이 가르칠 수 있다고 교사들은 말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개선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