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itoring

검색결과 26,256건 처리시간 0.045초

가계 재무건전성이 주택투자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ancial Strength of Households on House Investment Demand)

  • 노상윤;윤보현;최영민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31-39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llowing two issues. First, we attempt to find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housing investment and to identify their significance rank using survey panel data. Recently, the expansion of global uncertainty in the real estate market ha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Korean housing market; households demonstrate a sensitive reaction to changes in that mark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raw conclusions from understanding how the impact of financial strength of the household is related to house investment. Second, we attemp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iverse indices of financial strength such as DTI, LTV, and PIR as measures to monitor the housing market. In the continuous housing market recession after the global crisis, the government places top priority on residence stability. However, the government still imposes forceful restraints on indices of financial strength. We believe this study verifies the utility of these regulations when used in the housing marke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source for this study is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from 2007 (1st) to 2011 (5th)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Based on this survey data, we use panel data of 3,838 households that have been surveyed continuously for 5 years. We sort the base variables according to relevance of house investment criteria using the decision tree model (DTM), which is the standard decision-making model for data-mining techniques. The DTM method is known as a powerful methodology to identify contributory variables for predictive power. In addition, we analyze how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financial strength index of households affect housing investment with the binary logistic multi-regressive model. Based on the analyses, we conclude that the financial strength index has a significant role in house investment demand.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determinants of housing investment are age, consumption expenditures, income, total assets, rent deposit, housing price, habits satisfaction, housing scal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debt related to housing. 2) The impact power of these determinants has changed more or less annually due to economic situations and housing market conditions. The level of consumption expenditure and income are the main determinants before 2009; however, the determinants of housing investment changed to indices of the financial strength of households, i.e., DTI, LTV, and PIR, after 2009. 3) Most of all, since 2009, housing loans has been a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the level of consumption in making housing market decision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sound financing of households has a stronger effect on housing investment than reduced consumption expenditures. At the same time, the key indices that must be monitored by the government under economic emergency conditions differ from those requiring monitoring under normal market conditions; therefore, political indices to encourage and promote the housing market must be divided based on market conditions.

Role and Prognosis of Extracorporeal Life Support in Patients Who Develop Cardiac Arrest during or after Office-Based Cosmetic Surgery

  • Kwon, Seong Soon;Park, Byoung-Won;Lee, Min-Ho;Bang, Duk Won;Hyon, Min-Su;Chang, Won-Ho;Oh, Hong Chul;Park, Young W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5호
    • /
    • pp.277-284
    • /
    • 2020
  • Background: Cardiac arrest during or after office-based cosmetic surgery is rare, and little is known about its prognosis. We assessed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ho developed cardiac arrest during or after cosmetic surgery at office-based clinics. Methods: Between May 2009 and May 2016, 32 patients who developed cardiac arrest during or after treatment at cosmetic surgery clinics were consecutively enrolled. We compared clinical outcomes, including complications, between survivors (n=19) and non-survivors (n=13) and attempt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of mortality. Results: All 32 of the patients were female, with a mean age of 30.40±11.87 years. Of the 32 patients, 13 (41%) died. Extracorporeal life support (ECLS) was applied in a greater percentage of non-survivors than survivors (92.3% vs. 47.4%, respectively; p=0.009). The mean duration of in-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was longer for the non-survivors than the survivors (31.55±33 minutes vs. 7.59±9.07 minutes, respectively; p=0.01). The mean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score was also higher among non-survivors than survivors (23.85±6.68 vs. 16.79±7.44, respectively; p=0.01). No predictor of death was identified in the patients for whom ECLS was applied. Of the 19 survivors, 10 (52.6%) had hypoxic brain damage, and 1 (5.3%) had permanent lower leg ischemia.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was a predictor of mortality. Conclusion: Patients who developed cardiac arrest during or after cosmetic surgery at office-based clinics experienced poor prognoses, even though ECLS was applied in most cases. The survivors suffered serious complications. Careful monitoring of subjects and active CPR (when necessary) in cosmetic surgery clinics may be essential.

토종닭 종계의 난계대 전염병 항체 양성률 분석 (Analysis of antibody titer of transovarian transmitted diseases in Korean native breeder chickens)

  • 박기태;김연하;강보석;강환구;홍의철;김현수;전진주;손지선;김찬호;김상호;최창용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9-145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occurrence of transovarian transmitted diseases and antibody positive rates among Korean native breeder chickens. The infection rates with Salmonella pullorum and Salmonella gallinarum among 16-week-old, 36-week-old, and 56-week-old breeder chickens and the antibody positive rates to Egg Drop Syndrome '76, Mycoplasma gallisepticum and Mycoplasma synoviae among 16-week-old, 18-week-old, and 56-week-old breeder chickens were identified, and the antibody positive rates to seven major transovarian transmitted diseases among 1-day-old chick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no infection with Salmonella pullorum and Salmonella gallinarum was found among the investigated subjects of all ages. Vaccinated breeder chickens showed the 100% antibody positive rate to Egg Drop Syndrome '76, and unvaccinated breeder chickens showed the 100% antibody negative rate to Mycoplasma gallisepticum and Mycoplasma synoviae, confirming that there was no infection with Mycoplasma gallisepticum and Mycoplasma synoviae. As a result of the antibody tests of the 1-day-old chicks for transovarian transmitted diseases, it was found that vaccinated chicks showed good antibody positive rates to avian encephalomyelitis, chicken infectious anemia, and avian reovirus, confirming that they had power of defense against the relevant infectious diseases, and that unvaccinated chicks showed the 100% antibody negative rates to avian leukosis, chicken reticuloendotheliosis, and Mycoplasma synoviae, confirming that there was no infection with the relevant diseases. Given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mong the transovarian transmitted diseases of chickens, there was no history of infection with diseases against which vaccination was not administered and high antibody positive rates were found with diseases against which vaccination was administered, it is judged that chickens with good power of defense against diseases were bred, and it is deemed that constant monitoring and vaccination against transovarian transmitted diseases will be necessary for the control and prevention of the diseases.

UAV와 Echo Sounder 취득 자료의 비교를 통한 저수지 하상의 공간 보간별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Precision of Interpolation of Reservoir bed Through Comparison of Data Acquired by Using UAV and Echo Sounder)

  • 노태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85-99
    • /
    • 2020
  •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공업, 농업, 상수도, 수력발전 등의 다양한 이용과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저수지는 중요한 사회기반시설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저수지의 유지관리는 행정 및 기술적 방안들을 동원하여 관리주체별로 정기적으로 수행되며, 저수지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저수지 하상 파악이 우선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신뢰가 높은 Echo sounder를 이용한 방류전의 저수지 수심 측량과 방류후의 저수지 지형 측량을 UAV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심 측량 자료를 Inverse Distance Weighting 보간, Kriging 보간, Minimum curvature 보간, Radial basis function 보간 등의 공간 보간별로 저수지의 내용적을 산출하여 UAV에 의한 방류 후 내용적 및 단면적을 비교 분석함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첫째, UAV에 의한 지형 자료와 Echo sounder에 의한 수심 자료를 공간 보간 기법별 적용 결과 Kriging 보간이 약 97%의 저수지 내용적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저수지 하상의 형상 비교를 위하여 검토 단면 설정 후 지형 선형과 보간별 선형의 상이 면적차를 비교한 결과 Kriging 보간이 최소 단면적 차이를 보임으로 지형 선형과의 가장 유사 형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Echo sounder에 의해 취득된 수심 자료로 저수지 하상의 최적 모델링 구축시 저수지의 효율적 유지관리에 기초적 자료 제공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서화천 유역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부하지속곡선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Load Duration Curve for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Seohwacheon Basin)

  • 갈병석;문현생;홍선화;박천동;민경옥;박재범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4-19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에 있는 서화천 유역에서 부하지속곡선을 통한 소유역별 비점오염원 취약지역 및 관리 오염물질과 관리 시기를 분석하였다. 먼저 부하지속곡선을 만들기 위하여 장기 유출 모형인 SWAT를 구축하여 유량지속곡선(Flow Duration Curve)을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에 목표 수질을 곱하여 부하지속곡선(Load Duration Curve)을 작성하였다. 목표 수질은 서화천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지난 2017년 11월부터 측정한 모니터링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측정자료의 60분위에 해당하는 값을 목표 수질로 설정하였다. 이때 산정된 값이 하천 생활환경 기준의 "약간좋음"(II)을 초과할 경우 목표 수질을 "약간 좋음"(II)으로 제한하였다. 비점오염원 취약지역은 목표 수질을 초과하는 초과율을 이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초과 되는 오염물질을 관리 물질로 판단하고 계절별 평가를 통해 관리시기를 선정하였다.

SAR 위성 영상을 이용한 수계탐지의 최적 머신러닝 밴드 조합 연구 (Selection of Optimal Band Combination for Machine Learning-based Water Body Extraction using SAR Satellite Images)

  • 전현균;김덕진;김준우;수레시 크리쉬난;김재언;김택인;정승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0-131
    • /
    • 2020
  • 인공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한 기계판독(machine interpretation) 원격탐사 수계 탐지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가뭄 탐지, 홍수 모니터링 등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SAR 위성 영상 기반 수계 탐지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SAR 위성 영상만을 사용하였을 경우 음영 효과 또는 도로 등의 수계와 비슷한 산란특성을 가지는 물체로 인하여 비수계가 수계로 오탐지 될 수 있다. 이러한 오탐지를 줄이기 위하여 목포 지역을 촬영한 Cosmo-SkyMed SAR 위성 영상에 모폴로지(Morphology)의 open 연산을 거친 밴드와 DEM(수치표고모델) 밴드, Curvature(곡률) 밴드를 조합하여 중첩한 8가지 경우에 대하여 의미 분할 기법 머신러닝 모델을 학습시켰다. 8가지 머신러닝 모델에 대한 최종 테스트 결과인 Global Accuracy를 구하였으며, 목포 지역의 토지피복지도와의 일치율 역시 비교하였다. 그 결과 SAR 위성 영상과 모폴로지 open 필터를 적용한 밴드, DEM 밴드, Curvature 밴드를 모두 사용한 경우가 Global Accuracy뿐만 아니라 토지피복지도와의 일치율 역시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Global Accuracy는 95.07%였으며, 토지피복지도와의 일치율은 89.93%로 나타났다.

2012, 2014년 한강수계 하천수 중 잔류농약 검출 양상 (Occurrence of Pesticide Residues in Han River Basin in 2012 and 2014)

  • 김찬섭;이희동;손경애;이은영;오진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38-351
    • /
    • 2019
  • 우리나라에서 유역면적이 가장 큰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충주댐 상류지역까지 시료채취 지점을 확대하여 지천과 본류 유역별 유입 기여도를 평가하고 일별 수문자료를 입수하여 시기별 잔류농약의 유출량의 계량화를 시도하였다. 채수장소는 남한강수계 19, 북한강수계 3, 경안천 1 및 팔당댐 아래로 모두 24지점이었는데, 남한강수계 채수지점은 본류의 충주댐 상류 3개소, 하류 3개소와 지천으로는 동강과 서강, 달천, 섬강 등 13개소였다. 시료채취는 2012년과 2014년에 4회씩 실시하였고 대상농약은 하천 농약잔류량 조사 시에 국내에서 검출된 바 있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174 성분이었다. 밭농사용 농약으로는 diazinon, cadusafos, alachlor, metolachlor 및 dithiopyr 등이 검출되었고, 사용이 금지된 endosulfan sulfate도 검출되었다. Endosulfan sulfate의 검출은 주로 남한강 상류지역의 고랭지 경사지의 유출 때문이었고, diazinon의 경우는 고랭지 채소재배지 토양살충과 하류지역의 다양한 농업활동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되었는데, 강우에 의하여 유출 농도와 양이 영향을 받는다고 사료되었다. 벼 재배용 농약은달천, 섬강을 포함하여 주로 하류지역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살균제인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hexaconazole, 살충제 carbofuran, 제초제 oxadiazon이었는데 벼농사용 농약의 수계유출은 강우에 의한 것뿐 아니라 배수와 누수 등에 의해 재배기간 중에는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의 국가관리 간척지 토양의 화학성 변동: 4년 모니터링 결과 (Soil Chemical Properties of Reclaimed Tide Lands Under Government Management in Korea: Results of 4-years monitoring)

  • 류진희;이수환;오양열;이정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3-280
    • /
    • 2019
  • BACKGROUND: The reclaimed lands for agricultural use managed by the Korean government is consisted of 17,145 hectares of lands under construction and 13,384 hectares of completed lands. In order to utilize these reclaimed lands as competitive agricultural complexes, the government is preparing to develop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s for multiple purposes. For rational land-use planning and soil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is necessary. METHODS AND RESULTS: From 2013 to 2016,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85 representative sampling sites of the reclaimed lands and analyzed for soil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ic conductivity (EC), pH, soil organic matter (SOM), and nutrients. The annual mean soil EC ranged from 5.1 to 8.3 dS m-1 and have continued to decrease over the years (estimation equation with EC as dependent and year as independent variable was y =0.0736x2 - 1.4985x + 9.8305, R2 = 0.9753). The pH ranged from 7.3 to 7.6, which was higher than the optimum range (5.5~7.0) for agricultural soils. Soil organic matter (8 to 11 g kg-1) was lower level than the optimum range (20~30 kg-1). Available silicate (Av.SiO2) ranged from 169 to 229 mg kg-1, which was close to the minimum content (≥157 mg kg-1) for rice paddy field. Available phosphate (Av.P2O5) content (24~39 mg kg-1) was lower than the optimum range (80~120 mg kg-1) for rice paddy field. CONCLUSION: For efficient agricultural use of reclaimed lands under government management,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and supplying deficient nutrients as well as desalinization is required.

봄 가뭄 평가를 위한 다중시기 MODIS 영상의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of Multi-Temporal MODIS Images for Drought Assessment in South Korea)

  • 박정술;김경탁;이진희;이규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76-192
    • /
    • 2006
  • 지난 2001년 발생한 전국적인 봄 가뭄을 계기로 체계적인 가뭄관리의 필요성이 증대 되었으며 가뭄 대책 수립 및 가뭄방재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Terra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MODIS 영상은 임의의 지역의 시 공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주기해상도와 공간 해상도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적절한 자료처리 과정을 거쳐 제공되는 MODIS data product는 영상전처리 및 기하보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간에 대한 합성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로 활용 가능성이 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심화되고 있는 봄 가뭄을 탐지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안성천 유역과 남한강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다중시기 MODIS 영상과 누가 강우량을 활용하였으며 가뭄발생년도와 평년의 식생의 변화탐지 결과를 다양한 지형 공간 자료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남한의 봄 가뭄 평가를 위한 도구로 지표면복사온도(LST) 보다는 정규식생지수(NDVI)와 지표면수분지수(LSWI)를 활용하는 것이 적절했으며 MODIS NDVI 및 LSWI는 약 2개월의 누가강수량과 일정한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지피복 및 고도에 따라 가뭄에 대한 영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MODIS 영상을 이용한 효과적인 가뭄분석을 위해서는 동일시기 및 동일공간을 대상으로 한 영상자료의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SODATA 기법을 이용한 RapidEye 영상으로부터 하천의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a River from the RapidEye Image Using ISODATA Algorithm)

  • 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14
    • /
    • 2012
  • 하천은 육지 표면에서 일정한 물길을 따라 흐르는 물줄기를 의미하며, 하천 매핑 작업은 하천유역의 지형 변화 연구 및 하천 유역의 홍수 모니터링 연구 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하천의 수위변화로 인한 유역 내 지표면의 수위 및 유량의 불균일성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지반조사 기술은 하천 매핑 작업에 효과적이지 않다. 공간 정보 자료는 해당 지역에 접근하지 않고도 해당 지역에 관한 지형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서, 하천 지형 조사 및 하천 측량 등 하천 유역의 지형연구에 굉장히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영상분류 기법 중의 하나인 ISODATA(Iterative Self_Organizing Data Analysis)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RapidEye 영상으로부터 하천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RapidEye 영상으로부터 NIR(Near InfraRed) 밴드 영상과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영상을 생성한 뒤, 이를 각각의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생성된 각각의 영상에 ISODATA 기법을 적용한 뒤, 후처리 과정을 통하여 각각의 영상으로부터 하천을 추출하도록 한다. 각각의 영상에서 추출한 하천의 경계선 또한 Sobel 에지 추출 기법을 통하여 추출된다. 점검 점들을 이용하여 정확도 검증을 수행한 결과, NIR 밴드로부터 추출한 하천의 정확도가 NDVI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하천의 정확도보다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