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or Natural Monument(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보존·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재웅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오해성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최병기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 이종성 (상지대학교 친환경식물학부)
  • Received : 2014.01.28
  • Accepted : 2014.03.05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In this study, Analyze environment of location, investigation into vegetation resources, survey management status and establish to classify the management area for Natural monument No.374 Pye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rreya nucifera forest is concerned about influence of development caused by utilization of land changes to agricultural region. Thus, establish to preservation management plan for preservation of prototypical and should be excluded development activity to cause the change of terrain that Gotjawal in the Torreya nucifera forest is factor of base for generating species diversity. Secondly, Torreya nucifera forest summarized as 402 taxa composed 91 familly 263 genus, 353 species, 41 varieties and 8 forms. The distribution of plants for the first grade & second grade appear of endangered plant to Ministry of Environment specify. But, critically endangered in forest by changes in habitat, diseases and illegal overcatching. Therefore, when establishing forest management plan should be considered for put priority on protection. Thirdly, Torreya nucifera representing the upper layer of the vegetation structure. But, old tree oriented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rategy result in poor age structure. Furthermore, desiccation of forest on artificial management and decline in Torreya nucifera habitat on ecological succession can indicate a problem in forest. Therefore, establish plan such as regulation of population density and sapling tree proliferation for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the Torreya nucifera forest. Fourth, Appear to damaged of trails caused by use. Especially, Scoria way occurs a lot of damaged and higher than the share ratio of each section. Therefore, share ratio reduction Plan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additional development of tourism routes rather than the replacement of Scoria. Fifth, Representing high preference of the Torreya nucifera forest tourist factor confirmed the plant elements. It is sensitive to usage pressure. And requires continuous monitoring by characteristic of Non-permanent. In addition, need an additional plan such as additional development of tourism elements and active utilizing an element of high preference. Sixth, Strength of protected should be differently accordance with importance. First grade area have to maintenance of plant population and natural habitats. Set the direction of the management. Second grade areas focus on annual regeneration of the forest. Third grade area should be utilized demonstration forest or set to the area for proliferate sapling. Fourth grade areas require the introduced of partial rest system that disturbance are often found in proper vegetation. Fifth grade area appropriate to the service area for promoting tourism by utilizing natural resources in Torreya nucifera forest. Furthermore, installation of a buffer zone in relatively low ratings area and periodic monitoring to the improvement of edge effect that adjacent areas of different class.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입지환경, 식생자원과 이용 및 관리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적용되는 관리구역에 대한 등급을 설정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은 토지이용형태가 농업지역으로 변화하면서 대상지 주변지역으로의 개발압력에 의한 영향이 우려되며, 비자나무 숲 내 곶자왈지대는 종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요소로 원형보존의 관리계획 설정 및 지형의 변화를 야기하는 개발행위는 배제되어야 한다. 둘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소산식물상은 총 91과 263속 353종 41변종 8품종의 40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법정 멸종위기식물종 중 멸종위기식물 I II급에 해당하는 식물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나 현재의 서식처 변화 및 종의 병해, 불법 남획 등에 따른 개체 소실에 의해 비자나무 숲 내 종의 절멸 위험도 존재하므로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리방안 설정 시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대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비자나무가 상관을 대표하는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노거수 위주의 영속적 관리와 보존전략은 빈약한 연령구조를 야기하였으며, 일부 구역의 인위적 관리에 의한 숲의 건조화, 자연적 천이에 의한 비자나무의 입지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수목밀도의 조절 및 후계목 증식 등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에 따른 탐방로의 훼손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화산송이길의 훼손 및 분담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산송이의 단순한 보충보다는 현행 탐방로 외에 추가적인 관광루트 개발을 통한 분담율 완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섯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광요소 중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식물적 요소는 이용에 관한 압력이 민감하게 작용하고, 비영속적인 특성상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추가적 관광요소 개발과 동시에 현재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요소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보호강도별 중요도에 따라 I등급 지역은 존속개체군의 유지와 서식처의 훼손을 방지하고, II등급 지역은 연차별 숲의 재생을 위주로 관리방향을 설정하며, III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시범림이나 후계목 증식을 위한 지역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IV등급 지역은 고유 식생의 교란이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부분별 휴식년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V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숲의 관광활용을 위한 서비스 공간 적지에 속한다. 상이한 등급의 지역 인접에 따른 가장자리효과에 대한 방안으로는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곳에 환경간섭을 피하기 위한 버퍼존의 설치와 주기적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호, 최송현, 오구균(2001). 등산로의 환경피해도를 활용한 산악형 국립공원의 수요능력 추정, 1 : 북한산국립공원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3) : 257-266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7).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공원관리방안 연구. 국립공원 관리공단 보고서
  3. 김종원, 이득임, 김원(1995). 소나무림 및 신갈나무림의 최소면적과 군락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8(4) : 451-462
  4. 김종원(2006). 녹지생태학. 서울 : 월드사이언스
  5. 김종원, 이율경(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서울 : 월드사이언스
  6. 문화재청(2008). 식물분야 천연기념물 실태조사 7차. 문화재청 보고서
  7. 문화재청(2011). 천연기념물 수림지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8. 박문수, 전영문(2006). 개천산 비자나무림의 구조와 동태. 한국임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115-117
  9. 박문수(2007). 개천산 비자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생육환경.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1) : 15-25
  10. 박인협(1980). 경기도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50(-) : 56-71
  11. 송시태(2000). 제주도 암괴상 아아용암류의 분포 및 암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신병철, 이원호, 김효정, 홍점규(2010). 천연기념물 모감주나무군락의 식생구조와 관리제언. 월간 문화재. 43(1) : 100-116
  13. 신현철, 이광수, 박남창, 정수영(2010). 한반도 비자나무림의 식생구조. 한국임학회지. 99(3) : 312-322
  14. 오경애(2012). 제주환경과 문화의 상징, 곶자왈. 곶자왈공유화재단
  15. 유창민(2008). 천연기념물 식물 군락지의 보호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자생지 및 희귀식물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상길(2009). 제주도 구좌읍 비자림의 생물상, 생장특성, 무육강도에 따른 식생변화 및 보전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창복(2006). 대한식물도감. 서울 : 향문사
  18. 정세명, 진승현, 김민희, 백경수, 김종영, 안영상, 안기완(2013). 나주 불회사 비자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보전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1) : 71-84
  19. 제주특별자치도(2012). 제주특별자치도 통계연보. 제주특별자치도
  20. 한국수목보호연구회(1999). 구좌읍 비자림지대 보존 및 정비대책. 수목보호. 5(-) : 3-20
  21. 한동욱, 장규관, 최정호, 장석기, 권태오(1995). 내장산 비자나무림의 구조와 동태I.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농대논문집. 18(-) : 107-119
  22. 한현주(1992). 비자나무 임분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Kim J. W. and Y. I. Manyky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s in the southerm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 K. Ecol. 17 : 391-413
  24.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 (1978).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 R. H. Whittacker.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Dr. W Junk by Publisher. Hague, Boston, London
  25. 곶자왈공유화재단 http://www.jejutrust.net/
  26.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27. 문화재청 http://www.cha.go.kr,
  28.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29. 환경부 http://www.me.go.kr
  30. 환경부국토환경성평가지도 http://ecvam.kei.re.kr
  31. 환경부환경공간정보서비스 http://egis.me.go.kr/ewebgis/webgis.jsp

Cited by

  1. A Study on the Synecological Values of the Torreya nucifera Forest (Natural Monument No. 374) at Pyeongdae-ri in Jeju Island vol.33, pp.4, 2015,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4.087
  2. Studies on the Management Plan in Urban Ecological Protected Area of Seoul - A Case Study of the Baeksil Valley Ecological Scenery and Conservation Area - vol.43, pp.6, 2015, https://doi.org/10.9715/KILA.2015.43.6.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