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processes

검색결과 1,225건 처리시간 0.026초

지렁이 꼬리 재생시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Activity During Earthworm Tail Regeneration)

  • 탁은식;조성진;김재영;이규석;박순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1-106
    • /
    • 1999
  • 지렁이 꼬리재생 초기에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은 세포외기질의 재구성에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의 꼬리 재생 중에 발현된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과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지렁이의 꼬리 재생 중에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는 최소 7개이며 그 분자량은 각각 58, 45, 32, 27, 23, 19 그리고 12kDa로 측정되었다.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은 절단 후 1일부터 효소의 활성이 나타나서 7일까지 거의 유사한 정도의 활성이 유지되었으며, 7일 이후부터는 이 효소들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14일에는 그 활성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지렁이 꼬리 재생 중 발현된 모든 피브리노겐 분해효소는 PMSF와 aprotinin를 처리하였을 때 효소들의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Ca$^{2+}$의 제거는 이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지렁이 꼬리재생시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는 serine계 단백질 분해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Ubiquitin D Promotes Progress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via NF-Kappa B Signaling

  • Song, An;Wang, Yi;Jiang, Feng;Yan, Enshi;Zhou, Junbo;Ye, Jinhai;Zhang, Hongchuang;Ding, Xu;Li, Gang;Wu, Yunong;Zheng, Yang;Song, Xiaome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4권7호
    • /
    • pp.468-480
    • /
    • 2021
  • Ubiquitin D (UBD) is highly upregulated in many cancers, and plays a pivotal role in the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of cancers. However, its roles and underlying mechanism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are still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UBD in patients with OSCC.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were used to measure the expression of UBD in OSCC tissues. Immunohistochemistry assay was used to detect the differential expressions of UBD in 244 OSCC patients and 32 cases of normal oral mucosae. In addition, CCK-8, colony formation, wound healing and Transwell assay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UBD on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in OSCC. Furthermore, a xenograft tumor model was established to verify the role of UBD on tumor formation in vivo. We found that UBD was upregulated in human OSCC tissues and cell lines and was associated with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Moreover, the overexpression of UBD promoted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OSCC cells; however, the knockdown of UBD exerted the opposite effects. In this study, our results also suggested that UBD promoted OSCC progression through NF-κB signaling. Our findings indicated that UBD played a critical role in OSCC and may serve as a prognostic biomarker and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OSCC treatment.

Celeribacter marinus IMCC12053의 외향고리 GpC DNA 메틸트랜스퍼라아제 (Exocyclic GpC DNA methyltransferase from Celeribacter marinus IMCC12053)

  • 김정희;오현명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03-111
    • /
    • 2019
  • DNA 메틸화는 유전체의 무결성의 유지 및 유전자 발현 조절과 같은 박테리아의 다양한 과정에 관여한다. Alphaproteobacteria 종에서 보존된 DNA 메틸 전이 효소인 CcrM은 S-아데노실 메티오닌을 공동 기질로 사용하여 $N^6$-아데닌 또는 $N^4$-시토신의 메틸 전이 효소 활성을 갖는다. Celeribacter marinus IMCC 12053는 해양 환경에서 분리된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로서 GpC 시토신의 외향고리 아민의 메틸기를 대체하여 $N^4$-메틸 시토신을 생산한다. 단일 분자 실시간 서열 분석법(SMRT)을 사용하여, C. marinus IMCC12053의 메틸화 패턴을 Gibbs Motif Sampl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5'-GANTC-3'의 $N^6$-메틸 아데노신과 5'-GpC-3'의 $N^4$-메틸 시토신을 확인하였다. 발현된 DNA 메틸전이 효소는 계통 발생 분석법을 사용하여 선택하여 pQE30 벡터에 클로닝 후 $dam^-/dcm^-$ 대장균을 사용하여 클로닝된 DNA 메틸라아제의 메틸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메틸화 효소를 코딩하는 게놈 DNA 및 플라스미드를 추출하고 메틸화에 민감한 제한 효소로 절단하여 메틸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염색체와 메틸라아제를 코드하는 플라스미드를 메틸화시켰을 때에 제한 효소 사이트가 보호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 생물학 및 후성유전학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GpC 메틸화 효소의 잠재적 활용을 위한 외향고리 DNA 메틸라제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의료관련감염에서 감시 개선을 위한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urveillance on Improving the Detection of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s)

  • 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5-25
    • /
    • 2019
  • 감염감시를 위한 신뢰성 있고 객관적인 의료관련 감염의 정의 및 자동화 된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자동화 된 감시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초기의 발생 확인은 대개 비정상적인 사건과 진행중인 질병 감시를 인식하는 임상 검사자들이 기준선 비율을 결정하도록 요구한다. 이 시스템은 잘 정의 된 감시 규칙에 따라 의료 관련 혈류 감염의 후보를 감시하기 위해 매일 검사정보 시스템 데이터를 검사한다. 시스템은 추가 확인을 요구함으로써 전문적인 자율성을 탐지하고 예약한다. 또한 웹 기반 혈류감염 감시 및 분류 시스템은 검사실 정보 시스템에서 얻은 개별 데이터 요소를 사용할 수 있고 검사정보 시스템은 기존의 감염 제어 인력 감시 시스템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런 시스템은 예방 지침에 따를 경우 적절하고, 수용 가능하며, 유용하고 민감하다. 감시 시스템은 병원에서 광범위한 병원균의 전파가 언제 어디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때문에 유용하다. 국가적 차원의 계획은 의료관련감염 예방, 보건 관련 예방 통제위원회(HAIPCC), 살균 서비스(SS), 미생물학 실험실, 손 위생 차원의 주요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추진되어야하며 해당 지역은 의료관련 감염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A chemical conjugate between HER2-targeting antibody fragment and Pseudomonas exotoxin A fragment demonstrates cytotoxic effects on HER2-expressing breast cancer cells

  • Lee, Sunju;Park, Sangsu;Nguyen, Minh Tan;Lee, Eunyoung;Kim, Julee;Baek, Sangki;Kim, Chong Jai;Jang, Yeon Jin;Choe, Han
    • BMB Reports
    • /
    • 제52권8호
    • /
    • pp.496-501
    • /
    • 2019
  • Conventionally, immunotoxins have been produced as a single polypeptide from fused genes of an antibody fragment and a toxin. In this study, we adopted a unique approach of chemical conjugation of a toxin protein and an antibody fragment. The two genes were separately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purified to high levels of purity. The two purified proteins were conjugated using a chemical linker. The 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its ability to overcome the problem of low recombinant immunotoxin production observed in some immunotoxins. Another advantage is that various combinations of immunotoxins can be prepared with fewer efforts, because the chemical conjugation of components is relatively simpler than the processes involved in cloning,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multiple immunotoxins. As a proof of concept, the scFv of trastuzumab and the PE24 fragment of Pseudomonas exotoxin A were separately produced using E. coli and then chemically crosslinked. The new immunotoxin was tested on four breast cancer cell lines variably expressing HER2. The chemically crosslinked immunotoxin exhibited cytotoxicity in proportion to the expression level of HER2.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an alternative method of generating an immunotoxin that could effectively reduce the viability of HER2-expressing breast cancer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of immunotoxin crosslinking as a suitable alternative for producing immunotoxins.

Inhibition of MicroRNA-15a/16 Expression Alleviates Neuropathic Pain Development through Upregulation of G Protein-Coupled Receptor Kinase 2

  • Li, Tao;Wan, Yingchun;Sun, Lijuan;Tao, Shoujun;Chen, Peng;Liu, Caihua;Wang, Ke;Zhou, Changyu;Zhao, Guoqi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4호
    • /
    • pp.414-422
    • /
    • 2019
  • There is accumulating evidence that microRNAs are emerging as pivotal regulators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neuropathic pain. MicroRNA-15a/16 (miR-15a/16) have been repo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diseases and inflammation response processes. However, whether miR-15a/16 participates in the regulation of neuroinflammation and neuropathic pain development remains unknown.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mouse model of neuropathic pain by chronic constriction injury (CCI) of the sciatic nerves. Our results showed that both miR-15a and miR-16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the spinal cord of CCI rats. Downregulation of the expression of miR-15a and miR-16 by intrathecal injection of a specific inhibitor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mechanical allodynia and thermal hyperalgesia of CCI rats. Furthermore, inhibition of miR-15a and miR-16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1{\beta}$ and tumor-necrosis factor-${\alpha}$ in the spinal cord of CCI rats. Bioinformatic analysis predicted that G protein-coupled receptor kinase 2 (GRK2), an important regulator in neuropathic pain and inflammation, was a potential target gene of miR-15a and miR-16. Inhibition of miR-15a and miR-16 marked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GRK2 while downregulating the activation of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NF-{\kappa}B$ in CCI rats. Notably, the silencing of GRK2 significantly rever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iR-15a/16 inhibition in neuropathic pain.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miR-15a/16 expression alleviates neuropathic pain development by targeting GRK2. These findings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he molecular pathogenesis of neuropathic pain and suggest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for preventing neuropathic pain development.

식물생장촉진 근권미생물의 영향에 대한 연구 현황 및 전망 (Current Perspectives on the Effects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 후인르티엔투;전상은;김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81-1293
    • /
    • 2019
  • 근권은 식물 뿌리와 토양 미생물이 서로의 신호를 주고 받으며 끊임없이 상호반응하는 역동적인 장소이다. 근권 주위에서 식물의 생장과 생산성에 유익한 토양 미생물을 식물생장촉진근권미생물(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이라 칭하며, 이 PGPR은 식물 전 생장기간동안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식물 호르몬 조절, 영양분의 흡수와 이용 등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식물의 생장과 발달, 면역, 생산력 등 중요한 생명 과정에 관여한다. 그리고, PGPR은 식물 생장을 유도하는 2차 대사산물이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생산하고, 식물의 뿌리 역시 식물 유해한 인자 혹은 병원성 인자에 대항하여 자신을 보호하거나 토양 성질 개선을 위해, PGPR을 유인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물질을 생산, 분비한다. 그러므로, 식물과 PGPR 사이의 상호작용은 필수적이면서도 상호의존적이다. 현재까지, PGPR에 대한 많은 연구는 직간접적 개념에 대하여 공통적 또는 다양한 조건들에서 여러 방식으로 PGPR의 기능을 밝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세포분열과 팽창, 분화에 의한 식물의 생장과 발달의 촉진, 식물생장조절인자와 호르몬의 유도, 영양물질의 고정, 용해, 무기화를 촉진하기 위한 PGPR의 역할과 전략을 소개하였다. 또한 PGPR와 토양 미생물군의 효과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정보를 요약하였다.

2019년 국내 사과와 배 화상병 대발생과 그 특징 (Outbreak of Fire Blight of Apple and Pear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in 2019)

  • 함현희;이경재;홍성준;공현기;이미현;김현란;이용환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39-249
    • /
    • 2020
  • 2019년 국내의 사과와 배에 화상병이 크게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상병 발생한 30개 과원을 대상으로 각각의 발생 상황과 농가 면담을 통해 경종적 특징 등을 조사하였다. 화상병은 이미 감염된 지 2년 이상 오래 된 과원에서 대부분 발생하였는데, 이런 원인은 (1) 농가가 병 증상을 정확히 알지 못하여 농작업과 방화곤충 등을 통해 과원 내에서 퍼지게 되고, (2) 방화곤충이나 농작업자 등에 의해 처음 발생 과원에서 주변 과수원으로 확산되었고, (3) 동일 경작자 또는 공동 농작업자에 의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확산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4) 이런 일련의 과정이 새롭게 확산된 지역에서 반복되다가 농가들이 화상병을 알게 되면서 신고가 증가한 것이 2019년 화상병 대발생의 일련의 원인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 화상병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진단을 위한 철저한 농업인 교육과 무병징 식물체에서도 화상병균 진단이 가능한 정량적 검출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큰 열매를 주로 생산하는 국내 재배법에 적합한 약제방제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화상병 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가지의 궤양 증상, 묘목, 양봉장 등의 전염원 관리를 위해서 과원별 병원균의 분자역학연구를 통해 정확한 확산경로를 구명할 것을 제안한다.

Anti-aging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KRG) in differentiated embryo chondrocyte (DEC) knockout mice

  • Nam, Youn Hee;Jeong, Seo Yule;Kim, Yun Hee;Rodriguez, Isabel;Nuankaew, Wanlapa;Bhawal, Ujjal K.;Hong, Bin Na;Kang, Tong H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183-190
    • /
    • 2021
  • Background: The circadian rhythm is the internal clock that controls sleep-wake cycles, metabolism, cognition, and several processes in the body, and its disrup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aging. The differentiated embryo chondrocyte (Dec) gene is related to circadian rhythm. To our knowledge, there are no repor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c gene expression and KRG effect. Therefore, we treated Dec gene knockout (KO) aging mice with KRG to study anti-aging related effects and possible mechanisms. Methods: We evaluated KRG and expression of Dec genes in an ototoxicity model. Dec genes expression in livers of aging mice was further analyzed. Then, we assessed the effects of DEC KO on hearing function in mice by ABR. Finally, we performed DNA microarray to identify KRG-related gene expression changes in mouse liver and assessed the results using KEGG analysis. Results: KRG decreased the expression of Dec genes in ototoxicity model, which may contribute to its anti-aging efficacy. Moreover, KRG suppressed Dec genes expression in liver of wild type indicating inhibition of senescence. ABR test indicated that KRG improved auditory function in aging mouse, demonstrating KRG efficacy on aging related diseases. Conclusion: Finally, in KEGG analysis of 238 genes that were activated and 158 that were inhibited by KRG in DEC KO mice, activated genes were involved in proliferation signaling, mineral absorption, and PPAR signaling whereas the inhibited genes were involved in arachidonic acid metabolism and peroxisomes. Our data indicate that inhibition of senescence-related Dec genes may explain the anti-aging efficacy of KRG.

인간 내생 레트로바이러스(Human Endogenous Retrovirus, HERV)의 염증반응 조절 기작 (Mechanism of Human Endogenous Retrovirus (HERV) in Inflammatory Response)

  • 고은지;차희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71-777
    • /
    • 2021
  • 인간 내생 레트로바이러스(Human Endogenous Restrovirus, HERV)는 수백만년전 인간의 유전체에 삽입되었으며 이후 오랜 세월을 거치며 재조합, 결실 및 돌연변이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더 이상 활성화된 바이러스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감염되지 않는다. 하지만 HERV는 최근 연구들은 HERV 유래 인자들이 실제 생리현상 및 암을 비롯한 특정 질환에 관여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HERV와 관련된 여러가지 생리 현상 중 염증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HERV는 류마티스,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쇼그렌 증후군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비롯한 여러 염증질환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HERV의 염증 조절 기작으로는 HERV 유래 인자들이 비특이적 선천성 면역과정을 유발할 가능성과 HERV 유래의 RNA와 단백질이 특정 수용체를 통해 선택적 신호전달기작을 유발할 가능성을 고려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잠재되어 있던 HERV가 염증반응에서 활성화 되는지 또한 HERV와 관여된 인자들과 신호기작들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등 HERV의 인자들이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기작에는 아직 많은 것들이 밝혀지지 않아 질병 발병에 대한 연구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리뷰에서는 HERV 관련 자가 면역질환을 소개하고 염증반응 조절 기작에 관한 HERV의 분자수준에서의 작용 메커니즘을 제안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