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ified t-test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4초

SOC(System-On-a-Chip)에 있어서 효율적인 테스트 데이터 압축 및 저전력 스캔 테스트 (Efficient Test Data Compression and Low Power Scan Testing for System-On-a-Chip(SOC))

  • 박병수;정준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29-236
    • /
    • 2005
  • System-On-a-Chip(SOC)을 테스트하는 동안에 요구되는 테스트 시간과 전력소모는 SOC내의 IP 코어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수정된 스캔 래치 재배열을 사용하여 scan-in 전력소모와 테스트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스캔 벡터 내의 해밍거리를 최소화하도록 스캔 래치 재배열을 적용하였으며 스캔 래치 재배열을 하는 동안에 스캔 벡터 내에 존재하는 don't care 입력을 할당하여 저전력 및 테스트 데이터 압축을 하였으며 ISCAS 89 벤치마크 외호에 적용하여 모든 경우에 있어서 테스트 데이터를 압축하고 저전력 스캔 테스팅을 구현하였다.

  • PDF

유도형 로켓탄의 시험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Methods in Test & Evaluation of the Guided Rocket Munition)

  • 안만기;권택만;황운희;황우열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019-1025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on methods in test and evaluation of the guided rocket munitions of the domestic new generation multiple launcher rocket system. We modified and refer to the present model of air-to-air missile(AAM) and surface-to-air missile(SAM). Also we suggested a method of surface-to-surface missile(SS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ided rocket in test and evaluation(T&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uggested activity of T&E should be observed methods compatible with each item on the established model.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proposed research material will be a good guide to the study of a surface-to-surface missile(SSM) installed GPS/INS integration navigation guidance & control systems in the future.

C(T) 시편 측면 홈 유무에 따른 파괴저항곡선 변화가 유한요소 손상모델 변수 결정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Fracture Resistance Curve Change Ow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ide Groove in C(T) Specimen on Finite Element Failure Model Parameter Determination)

  • 김훈태;류호완;김윤재;김종성;최명락;김진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6호
    • /
    • pp.539-54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T) 시편 측면 홈의 유무에 따른 J-R 곡선의 변화가 유한요소 손상해석의 모델변수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손상해석은 수정 응력 파괴변형률 모델을 이용하였다. C(T) 시편은 SA508 Gr. 1a 배관재에서 채취하였고 일부에 측면 홈이 가공되었다. 시험은 상온과 원전 운전 온도인 $316^{\circ}C$에서 각각 수행되었으며, 시험 결과 얻은 J-R 곡선을 모사하여 손상모델 변수를 얻었다. 그 결과, 측면 홈의 유무에 따른 J-R 곡선의 변화는 손상모델 변수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기존 노면요철 포장 개선 연구 (A study to improve the existing rumble-strip)

  • 류성우;임관;박권제;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77-186
    • /
    • 2009
  • 국내 도로의 주행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00년에 처음으로 노면요철 포장을 도입하였다. 본 공법의 효과가 증명되면서부터 시공물량은 매년 증가하였다. 본 연구진은 기존형태를 개선하여 본선 콘크리트 포장부 시공 시 동시에 노면요철 포장을 설치하는 형식을 제안하였다 노면요철 포장 시공장비를 제작하여 평택${\sim}$음성 고속국도에 시험시공을 하였으며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AASHTO에서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횡방향 정지거리를 산출한 결과, 개선된 노면요철 포장의 횡방향 여유 폭이 0.5m 더 확보되어 기존형태보다 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도 평가결과, 노면요철 포장이 없는 구간을 주행할때보다 약 $3.5{\sim}9dB(A)$까지 더 크게 소음이 발생하여 졸음을 예방하거나 운전자의 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동평가에서는 주로 사람의 안구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영역대의 진동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행 후 운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개선된 형태가 기존형태보다 소음이나 진동에서 큰 차이는 없지만 주행상의 안정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선된 공법을 도로에 확대 적용할 경우, 기존보다 교통사고 및 사망자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 PDF

각종 항타공식에 의한 말뚝의 허용지지력 연구 (A Study on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Pile by Driving Formulas)

  • 이진수;장용채;김용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6-111
    • /
    • 2002
  • 말뚝에 대한 지지력 평가는 재하시험에 의한 결과를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정.동력학적 공식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국내 조사에 의하면 표준관입시험의 N치에 기초한 Meyerhof공식이 설계단계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된 다수의 정 동재하시험자료를 가지고 말뚝기초 설계에 사용되는 이론식을 실측값과의 비교를 통해 각종 이론식에 의한 말뚝의 허용지지력 추정의 신뢰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또한, 경시효과를 고려한 경우 말뚝의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로는 Davisson 방법을 기준으로 정도를 평가한 결과, Terzaghi & Peck > Chin > Meyerhof > 수정 Meyerhof 방법순으로 기준값에 근접하였으며 동재하시험결과는 항타공식 중 수정 Engineering News 공식이 가장 실측치에 근접한 결과를 주었으나 이는 해머 효율의 불확실성이라든가 변수의 자체특성, 경시효과등이 고려된 경우에는 다른 결과를 줄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경시효과를 고려한시험 결과 선단지지력에 비해 주면마찰력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는데 항타시 대비 주면마찰력은 평균 약 2배정도 증가하였고 Engineering News,수정 Engineering News, Hiley, Danish, Gates, CAPWAP 해석시에 대한 7일의 경시효과를 고려한 관계시은 각각 $Q_{u(Restrike)} / Q_{u(EOID)} = 0.98t_{0.1}$ , $0.98t_{0.1}$, $1.17t_{0.1}$, $0.88t_{0.1}$, $0.89t_{0.1}$, $0.97t_{0.1}$.과 같은 결과를 주었다.

외모가꾸기 프로그램이 여성치매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Influence of Make Up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Anxiety Status of the Elderly Female Dementia Patients)

  • 공은숙;김은주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815-830
    • /
    • 2010
  • 본 연구는 외모가꾸기 프로그램이 여성치매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불안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 방법을 이용했다. 연구기간은 2009년 4월 13일부터 5월 1일까지였다. 연구대상은 호남지역 G시에 위치한 노인병원에 치매로 진단받고 입원중인 노인 중에서 연구대상자 기준에 적합한 41명이었으며, 실험처치를 받은 실험군 20명과, 실험처치를 받지 않은 대조군 21명이었다. 실험처치는 외모가꾸기 프로그램이었으며, 실험군에게 외모가꾸기 프로그램을 2주간 계속하여, 총 10회를 제공하였으며, 비실험군은 처치를 제공받지 않았다.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는 Rosenberg (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불안측정도구는 Spielberger(1970) 가 개발하고, 김정택(1991)이 번안한 상태불안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t-test와 카이검증을 하였다. 가설검정은 t-test와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관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2주간의 외모가꾸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의 자아존중감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외모가꾸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의 불안 점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관찰내용 분석결과 또한 실험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외모가꾸기 프로그램이 여성치매노인의 자존감을 높이고, 불안감을 낮추는 유용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백서에서 가미감비제습탕이 비만 유발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연구 (Anti-obesity Effects and Mechanism of Original and Modified Gambejaeseup-tang in Female Rats with Diet-induced Obesity)

  • 박선민;김다솔;강선아;이정복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46-652
    • /
    • 2010
  • Gambejaeseup-tang (GBJST) have recently been used as an anti-obesity herbal medicine but their effect and mechanism of action have not been studied. We modified ingredients of GBJST based on the previous experiments about exploring herbs to suppress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dified GBJST on energy, glucose and lipid homeostasis using female rats with diet-induced obesity and their action mechanism was also determined. Rats fed a high-fat diet (HFD) were divided into 3 groups: rats in each group received 0.2 or 2 g water extracts of modified GBJST (L-GBJST or H-GBJST) or 2 g cellulose per kg body weight (a negative control) on a daily basis. A further group was fed a low-fat diet (LFD) as a positive control. We found that modified GBJST dose-dependently decreased body weight and mesenteric and retroperitoneal fat more than the control. This decrease was due to the reduction in energy intake and the increase of energy expenditure. HFD increased fat oxidation more than LFD and modified GBJST further increased fat oxidation as a major energy source more than the control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H-GBJST improved glucose tolerance without changing serum insulin levels during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H-GBJST also suppressed the increase of serum total and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by HFD. In conclusion, modified GBJST have a good anti-obesity effect by decreasing energy intake and increasing energy expenditure mainly as fat in female rats with diet-induced obesity. It also improves glucose tolerance and lipid metabolism.

Modified Teuscher Appliance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f treatment effects of modified teuscher appliance in class II division 1 mallocclusion)

  • 안석준;김충배;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3-414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modified Teuscher Appliance(MTA)와 bionator를 이용하여 치료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전후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장치 사이의 치료효과에 대한 차이를 밝혀내어 성장하는 II급 1류 부정교합을 가진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얻는데 있다. MTA 및 bionator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혼합치열기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20명의 치료전과 치료후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항목을 계측한 후, 두군 사이에 나타나는 치료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치료전후 항목의 차이를 구하였다. 이 항목들에 대해 t-tes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군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난 선계측 항목으로 U1 to FH, U1 to PP, U6, to PP, U6 to FH, Ar-Pog, ramus height(S-Go), L1 to A-Pog, L1 to facial plane 등이 있었다(p<0.05). 2. 양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크게 나타난 각도계측 항목으로 SNB, SNA, FABA(FH to AB plane angle), APDI 등이 있었다(p<0.05). 3. 양군 사이에 성장양상을 나타내는 Facial height ratio, $Bj\ddot{o}rk$ sum, FMA, SN-MP angle 등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이 상의 결과를 통해 II급 1류 부정 교합을 치료하는데 있어 bionator는 주로 하악골과 하악치열에 상대적으로 효과가 크게 나타나며, MTA는 상악골과 상악치열에 더 큰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두 장치가 각기 다른 치료기전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종류의 부정교합에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 PDF

The effect of repeated surface treatment of zirconia on its bond strength to resin cement

  • Maciel, Lucas Campagnaro;Amaral, Marina;Queiroz, Daher Antonio;Baroudi, Kusai;Silva-Concilio, Lais Regian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5호
    • /
    • pp.291-298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repeated surface treatments on wettability and surface roughness for zirconia surface and bond strength of zirconia-based ceramics to resin cement.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blocks (10 × 10 × 3 mm) of zirconia-based ceramics were fabrica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rface treatments: (A) 110 ㎛ Al2O3 airborne-particle abrasion and (R) 110 ㎛ silica modified Al2O3 airborne-particle abrasion. At stage 2,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 surface retreatments: (a) 110 ㎛ Al2O3 airborne-particle abrasion, (r) 110 ㎛ silica modified Al2O3 airborne-particle abrasion, (D) diamond bur, (Da) diamond bur + 110 ㎛ Al2O3 airborne-particle abrasion, and (Dr) diamond bur + 110 ㎛ silica modified Al2O3 airborne-particle abrasion. Cylinders of self-adhesive resin cement were cemented onto each treated ceramic surface and subjected to micro-shear bond strength test. Additional specimens were prepared for roughness and wettability analyses. The data were subjected to t-test and One-way ANOVA followed by Tukey's post hoc test (α=.05). RESULTS. At stage 1, group R presented higher bond strength values than group A (P=.000).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bond strength at stage 2 for group A (P=.003). The diamond bur influenced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ing the values (P=.023). Group R provided better wettability. Regardless of the applied surface treatment, most of failures were adhesive.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application and reapplication of Rocatec Plus showed the best results of bond strength. Surface retreatment and recementation might be an indicated clinical strategy.

일 지역 중년여성의 요실금.갱년기 증상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Urinary Incontinence, Menopausal Symptom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 Aged Women)

  • 임현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7-16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the relationship of the urinary incontinence, menopausal symptom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5 middle aged women, living in M city,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1 to August 31, 2000.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urinary incontinence modified and adding by Lee Young Sook(1994), the menopausal symptom developed by Song Ae Ri and Chung Eun Soon(1998) and the life satisfaction translated and modified by Suh Kyung Hee(198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AS package. The result of this are as follows : 1. The total mean scor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1.56{\pm}0.58$ with a range of 0 to 4. The mean score on the menopausal symptom was $2.05{\pm}0.43$ with a range of 1 to 4. The mean life satisfaction score was $1.14{\pm}0.41$ with a range of 0 to 2. 2.General characteristics ralated to urinary incontinence were age and numbers of children (F=7.66, p=0.000, F=2.86, p=0.037). General characteristics ralated to menopausal symptom were age (F=7.37, p=0.000), occupation (t=5.33, p=0.021), problem of children (t=6.46, p=0.011) and marital satisfaction (F=5.65, p=0.004). General characteristics ralated to life satisfaction were type of housing (t=12.06, p=0.000), problem of children (t=6.96, p=0.008) and marital satisfaction (F=18.86, p=0.000). 3.The urinary incontinence and menopausal symptom were correlated positively (r=.235, p=.000). The urinary incontinence and life satisfaction were correlated negatively (r=-.114, p=.007). The menopausal symptom and life satisfaction were correlated negatively (r=-.277, p=.000). 4.The menopausal symptom, type of housing and marital satisfaction explained 16.6% of the variance for life satisfaction in the middle aged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