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work

검색결과 1,080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se of Mobile Office Systems on Work-Life Balance

  • Cho, Namjae;Lee, Hyungju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1호
    • /
    • pp.43-51
    • /
    • 2013
  • Human being does work to live out and they have their private life because human has sociality. Both work and life are important to live out but they are on the trade-off relationship. Because keeping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is too hard, it has been interested by academic and practical areas. Definition of Work-life balance here is that balance or imbalance arising between work and life has no negative impact on their daily life. Above all, Work-life balance is important because it is strongly related to identity. Recently, the introduction of the mobile office system has emerg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work-life balance. It is based on the teleworking which was formerly generated. Teleworking is to perform the work in the employee's home or office space set aside without going into the workplace. Concept of the mobile office system here is not only using portable devices during work for convenience but also the system which is designed for the performance. Thanks to the diffusion of smart devices(smart phone, tablet pc), mobile office system has been spread. Although the importance of mobile office systems is emerging,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it. Even they mostly focus on the standpoint of performance of mobile office system. However, Quality of life is as important as the performance. As a part of Quality of Life field, Work-life balance is the closest to employee's quality of life. 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use of mobile office systems on work-life balance. To do so, we try to find factors effecting Work-life balance from existing studies and then set a research model. We set the use of mobile office systems as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divided by use of function, use by location and use by situation. There are four dependent variables - sense of self command, sense of balance, solving work problem, solving life problem. We collected data from employees who are using mobile office systems on their job. 215 peopl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our research model. Results show that every independent variable has no impact on solving work problem while they have slight impact on the other dependent variables. Especially use on the business trip has 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s. It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use of mobile office system could control the employee's quality of life and system should be evolved until it covers even critical tasks. Also, support for mobile office system -education, encouragement-should be provided. By mobile office system is maturing, future research would be done.

Effect of Movile Communication during Non-Worktime: Increasing Worker's Stress in the IT Industry

  • 함상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5-105
    • /
    • 2018
  • As the IT industry has developed, the frequency of mobile communication usage has increased sharply. Mobile communication has many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work performance, communication beyond time and local constraints, and rapid and vast amounts of information exchange. However, mobile communication also allows supervisors to give their subordinates work at any time. Thus, mobile communication may also have a negative impact on workers' stress levels during non-work time. This study examined required time, urgent business, personal engagement, and trivial matters as sub-dimensions of mobile communication messages that workers could receive during non-work time. Further,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and members explains how these messages may increase the stress levels of workers. Supervisors should prohibit the use of such mobile communication, and efforts should be made at the enterprise level. Through this research, we aim to explain the dual nature of mobile communication, and understand how to optimize the usage of this innovative technology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이 사용자의 업무과부하 및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bile Office Systems on Users' Job Stress and Work Overload)

  • 윤혜정;최귀영;이중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0권2호
    • /
    • pp.155-176
    • /
    • 2011
  • The use of mobile office systems has been expanded due to the smartphones' rapid diffusion in Korea, and it has brought a new work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working patterns. In this study, the unique attributes of mobile office systems, such as ubiquity, usefulness, complexity, and insecurity, are examined along with the impact of these attributes on work overload and job stress. Based on transaction-based model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support was applied as a stress inhibitor and also the moderator between work overload and job str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ubiquity increases usefulness of mobile office systems; complexity increases both work overload and job stress; and insecurity increases job stress. Surprisingly, usefulness increases job stress, which means employees who perceive the efficiency of mobile office systems higher may feel more job stress. Organizational support for mobile office systems significantly shows the moderating effect, but no direct mitigating effect on job stre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order to mitigate the side effects of mobile office system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re thoroughly discussed.

에프터서비스 업무분야의 스마트워크 구축 - 엘리베이터 산업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Smart work for After Service Business - Focused on Elevator industry -)

  • 김성균;유우식
    • 정보화연구
    • /
    • 제10권2호
    • /
    • pp.273-281
    • /
    • 2013
  • 스마트워크의 유형은 모바일 기기등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모바일오피스, 자택에서 본사 통신망에 접속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재택근무, 자택인근 원격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스마트워크센터근무와 같은 형태를 의미하며 기존 사무실개념에 비하여 공간과 시간의 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논문에서는 엘리베이터 산업의 에프터서비스 산업문야에서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개발된 시스템은 A/S Work이라 명명 하였다. 개발된 A/S Work 시스템은 M 엘리베이터사의 에프터서비스에 활용되어 기존시스템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1) 고객별 작업전후 사진관리 2) 현장에서의 고객만족도조사 3) 작업일지관리 앱 4) 작업자 근태관리 5) 그룹 SMS 기능.

트래픽 감지를 통한 최적 경로 탐색 이동 에이전트 모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gent Model Supporting the Optimal Path Search through Traffic Sense)

  • 김광종;고현;김영자;이연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421-1435
    • /
    • 2004
  • 기론 이동 에이전트 모델은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작업을 부여 받았을 때, 수동적 라우팅 스케줄 지정에 따라 많은 트래픽이 발생한 시점에서 노드 간을 이주하며 작업을 처리한 후 작업 결과를 서비스하기까지 분산 노드들에 대한 순회 작업 처리 시간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들은 에이전트 시스템들 간의 에이전트의 크기 증가나 상호 호환성 결여를 해결하기 위한 이주 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 에이전트의 노드 이주시 네트워크 트래픽 감지를 통한 최적 경로 탐색에 의해 분산된 노드들로의 호율적 작업 처리를 위한 CORBA 기반의 이동 에이전트 모델(CORBA-based Mobile Agent Model : CMAM)을 설계 및 구현한다.

  • PDF

앱인벤터를 이용한 건강검진 데이터 입력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Health Screening Data Input Mobile Application Using App-Inventor)

  • 이효승;오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93-198
    • /
    • 2018
  • 현재 제조, 의료, 교육, 물류, 기타 서비스업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전산시스템을 도입하여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업무의 효율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모바일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안드로이드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 또는 일반 회사의 전산팀원들이 개발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결과적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아직까지 교육용으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앱인벤터의 기능을 확장하여 건강 검진 신체계측 데이터 입력용 모바일 앱을 설계하고 개발함으로써 건강검진 데이터 입력 업무에 효율성을 제공하고 동시에 전문적인 모바일 앱 개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전산담당자에게 앱인벤터를 이용해 쉽고 빠르게 업무용 모바일 앱을 개발해 검진업무를 비롯한 DB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모바일 기반의 건설현장 업무처리 지원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System for Supporting Mobile-based Work Process in Construction Site)

  • 김성진;김태학;옥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50-57
    • /
    • 2017
  •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아이폰, 캘럭시 시리즈 등이 대중화에 성공하면서 빠르게 성장하였다. PC에 탑재된 기능과 더불어 모바일에서 사용되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고, 시각적인 측면과 이동성이 뛰어나 여러 산업분야에서 이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현재 물류관리, 차량관리, 교육,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건설분야는 건설기술자의 현장업무에서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처리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건설사업관리시스템과 모바일기기를 함께 연동하여 자료조회, 검측업무 등을 현장과 현장사무소에서 함께 처리할 수 있도록 업무지원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건설분야의 모바일 연구동향를 조사하고, 건설사업관리시스템에서 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한 업무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업무 뿐만 아니라 모바일 업무로 가능한 검측업무 등을 새로운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동식비계 작업발판의 사용 실태조사 (Survey on work platforms of the Mobile Scaffolding)

  • 최승주;최돈흥;신운철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9-84
    • /
    • 2013
  •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occupational accidents in 2009, the scaffolds and work platforms were main objects causing fall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But many workers install and use the work platforms on the mobile scaffolding without considering about safety standards. We had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about how workers obey safety standards for the work platforms of the mobile scaffolding. As the result of a survey, no one follow a gap standard between materials of work platforms and installation of toe board. And it is a low proportion that comply with the install of safety guard rails and the use of stoppers. This is lack of consciousness for the safety certification and regulations. For safe use a mobile scaffolding, It is needed to educate a manager on the safety standards and to develop a product to install and dismantle easily.

자원기반관점(RBV)에서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이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Mobile Smart-Work IT Resources of Resource Based View on the Work Efficiency : based on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ived usefulness)

  • 이민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93-102
    • /
    • 2016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자원기반관점(RBV)에서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을 활용할 때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유용성을 적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중다회귀분석으로 가설을 검증한 선행연구에서 더 나아가 지각된 유용성을 조절효과로 설정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통해 확장하여 연구하였음에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연구 결과 지각된 유용성의 조절효과에 따라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의 IT인프라는 업무효율성 중 개인업무 효율성과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업무어플리케이션은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과 근로자가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이 업무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믿음 즉, 지각된 유용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업무효율성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T Resources on the Work Efficiency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Mobile Smart-Work Environment)

  • 이민우;오민정;김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65-176
    • /
    • 2016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IT 융복합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한 기업에서 기업 내부의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을 적용하여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에 관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파악된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문적 의미를 가지며, 제조업, 서비스업, 물류/유통산업, 금융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플랫폼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스마트워크의 유의미성을 기업의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어떠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는지를 파악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연구 결과, IT인프라와 IT스킬이 개인 업무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IT스킬이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업무 효율성과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은 기업성과인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산업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IT 융복합 기술을 통한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여 기업 내부의 IT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핵심역량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