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health

검색결과 883건 처리시간 0.029초

고혈압 관리를 위한 헬스레벨 7 FHIR 기반 생체정보 교환 서비스 모델 구현 (Implementation of Service Model to Exchange of Biosignal Information based on HL7 Fast Health Interoperability Resources for the hypertensive management)

  • 조훈;원주옥;홍해숙;김화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1-30
    • /
    • 2014
  • 고혈압은 전 세계의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의 중요한 사망 원인으로서 지속적인 혈압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혈압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생체정보 교환 서비스 모델로서 HL7 FHIR을 선택하였다. 개발한 HL7 FHIR 프레임워크는 매니저(스마트폰)과 에이전트(혈압계) 간에 블루투스 헬스기기 프로파일과 통하여 IEEE 11073-10407 PHD 프로토콜로 통신하여 혈압정보를 획득한다. 테스트 결과 고혈압 환자의 혈압 모니터링, 측정기록관리, 문서 생성, 측정정보전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실제 임상환경에서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측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지속적인 연구와 활성화가 기대된다.

Validation of the mobile wireless digital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using the cuff pressure oscillometric method, for clinical use and self-management, according to international protocols

  • Yoo, Sooyoung;Baek, Hyunyoung;Doh, Kibbeum;Jeong, Jiyeoun;Ahn, Soyeon;Oh, Il-Young;Kim, Kidong
    • Biomedical Engineering Letters
    • /
    • 제8권4호
    • /
    • pp.399-40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 mobile wireless digital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for clinical use and mobile health (mHealth). In this study, a manual sphygmomanometer and a digital blood pressure monitor were tested in 100 participants in a repetitive and sequential manner to measure blood pressure. The guidelines for measurement used th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rotocol, which reflects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ion/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dical Instrumentation SP 10: 1992 and the British Hypertension Society protocol. Measurements were generally consistent across observers according to the measured mean ${\pm}SD$, which ranged in $0.1{\pm}2.6mmHg$ for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0.5{\pm}2.2mmHg$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For the device and the observer, the difference in average blood pressure (mean${\pm}$SD) was $2.3{\pm}4.7mmHg$ for SBP and $2.0{\pm}4.2mmHg$ for DBP. The SBP and DBP measured in this study showed accurate measurements that satisfied all criteria, including an average difference that did not exceed 5 mmHg and a standard deviation that did not exceed 8 mmHg. The mobile wireless digital blood pressure monitor has the potential for clinical use and managing one's own health.

영유아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인식 조사 (구강보건교육 매체를 중심으로) (Percep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oral health care education in infants and toddlers)

  • 김경회;이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87-1001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oral health care educational material. We examined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on the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s as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 to use such materials in infants and toddlers. Methods: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enroll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a one-month period starting from August 2018. Results: The intent to use a freely available smartphone applica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infants and toddlers was high for both parents and teachers at 81.7% and 78.4%, respectively. The intent to use increased 10.089-fold when a child had unrestricted access to mobile devices, and 4.435-fold when the execution path required modification; however, the ease of use was not compromised. Additionally, the intent to use also increased 2.488-fold when a child had used an educational oral healthcare material that is currently available, and by 2.431-fold and 2.219-fold when a child had previous experiences with an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 developed for infants and toddlers. Conclusions: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teachers and parents had a positive perception towards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s for oral health care education in infants and toddlers. We recommend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mobile-based educational applications on oral health care, which are tailored to the needs and o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oddlers to help develop good oral care habits.

앱인벤터를 이용한 건강검진 데이터 입력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Health Screening Data Input Mobile Application Using App-Inventor)

  • 이효승;오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93-198
    • /
    • 2018
  • 현재 제조, 의료, 교육, 물류, 기타 서비스업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전산시스템을 도입하여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업무의 효율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모바일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안드로이드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 또는 일반 회사의 전산팀원들이 개발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결과적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아직까지 교육용으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앱인벤터의 기능을 확장하여 건강 검진 신체계측 데이터 입력용 모바일 앱을 설계하고 개발함으로써 건강검진 데이터 입력 업무에 효율성을 제공하고 동시에 전문적인 모바일 앱 개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전산담당자에게 앱인벤터를 이용해 쉽고 빠르게 업무용 모바일 앱을 개발해 검진업무를 비롯한 DB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술위험 관리와 위험갈등 : 휴대전화 전자파의 인체유해성 논란 (Managing Technological Risk and Risk Conflict : Public Debates on Health Risks of Mobile Phones EMF)

  • 정병걸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97-129
    • /
    • 2008
  •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확산으로 인해 기술 위험의 가능성과 영향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불확실성을 기본적 속성으로 하는 위험의 특성상 지식의 불확실성 해소는 기술 위험관리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지식의 불확실성이 기술위험 갈등의 중요한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식 축적만으로 기술위험 갈등이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기술위험의 성격에 따라서는 기술위험에 대한 합의의 부족이 갈등의 주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휴대전화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 논란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휴대전화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관련 지식이 꾸준히 축적되어 왔기 때문에 지식의 불확실성은 높지 않다. 산업계는 유해성을 입증할만한 뚜렷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법적 규제는 불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시민단체들은 유해 가능성이 입증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사전 예방적 차원의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민단체의 지속적인 문제제기에 따라 정부는 인체흡수율(SAR) 기준을 설정하고 인체 흡수율 정보를 공개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의 입장에서 보면 인체 흡수율 기준은 전신이 아닌 얼굴 부위에만 적용되는 제한적 기준이며, 인체 흡수율 정보도 자율적으로 공개토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완화된 형식적 규제라고 할 수 있다. 예방적 규제를 지지하는 시민단체와 산업계 보호의 관점에서 완화된 규제를 유지하려는 정부간에는 여전히 큰 인식 차이가 존재한다. 휴대전화 전자파의 기술 위험은 기술의 친숙성으로 인해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지만 심각한 갈등과 재난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의 목표를 경제적 목표와 통합하는 정책 통합과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촉진을 통해 갈등 가능성과 재난의 발생의 소지를 차단하는 기술위험 관리가 필요하다.

  • PDF

뉴실버세대의 모바일 헬스케어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GUI 가이드라인 제안 (Proposal of GUI Guidelin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for New Silver Generation)

  • 조성배;이재익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2호
    • /
    • pp.60-70
    • /
    • 2018
  • 최근 고령 사회로의 진입으로 헬스케어 서비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노후를 능동적으로 준비하는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GUI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뉴실버세대는 일반적인 고령자들보다는 정보취득에 대한 거부감이 약하기는 하지만 40대 이하의 젊은 세대들과 정보습득능력의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GUI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의료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뉴실버세대가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GUI평가 가이드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은 첫 번째, 문헌연구과 선행연구를 통해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분석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의현황을 파악하였고, 두 번째, 현재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각 분야에서 선호되는 시각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고령자의 특성에 맞게 모바일 GUI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도출된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휴리스틱(heuristic)방식을 통하여 57세부터 65세까지의 뉴실버세대 8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뉴실버세대 사용자의 특성에 맞춰 GUI가이드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성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동시에 헬스케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터넷 기반 교육 중재가 산욕기 어머니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Maternal Health Effects of Internet-Based Education Intervention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A Systematic Review)

  • 채정미;김현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6-12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aternal health effects of internet-based education interventions on parturient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thods: An electronic literature search of the Cochrane Library, CINAHL, EMBASE, Eric, PsycINFO, PubMed, RISS, and KISS databases was performed, using the combination of keywords such as 'parenthood education', '*natal education', '*birth intervention', 'internet-based interven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inclusion criteria were peer-reviewed papers in English regard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internet-based postnatal education interventions.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delivered through any web, mobile, eHealth, mHealth, virtual reality, short message service, or social networking service platform. Quality appraisal was performed using the Risk of Bias 2 (RoB 2)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ine articles were yielded, and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analyzed. Results: Internet-based education intervention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affect maternal self-efficacy, postpartum depression, and successive breastfeeding; however, they do not affect matern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confidence.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ternet-based education interventions affect maternal health status in terms of psychological, emotional, and physical wellness. Therefore, maternal health care professionals can utilize remote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or mobile-based intervention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Bio-signal Measuring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 오성준;김웅식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6호
    • /
    • pp.1-10
    • /
    • 2008
  • 보건의료는 u-Healthcare를 통하여 병원중심에서 시민 중심으로 의료 환경변화를 촉진시키고 예방에서 진단, 치료, 사후 관리의 모든 과정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u-Healthcare 단말이 언제, 어디서나 무자각의 유비쿼터스 단말이 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이 구현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동통신 및 무선 통신망과 연동기능으로 모바일 게이트웨이 구현, Bluetooth 무선 연동기능, 다양한 정보통신기기와의 접목기술, 정밀한 데이터 전송 기술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u-healthcare를 위한 모바일 기반의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Mobile Web-based Education: Engagement and Satisfaction with HiChart among Pregnant Women

  • Kim, Hyo Jin;Kang, Hee Su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03-31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ngagement and satisfaction with a mobile web-based education program (HiChart) among pregnant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of 97 pregnant women hospitalized for obstetric car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30, 2016,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Among participants, 16.5% engaged fully with HiChart, while 43.3% engaged partially.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HiChart was high. Some main reasons for not engaging with the education were participants' unawareness of the text messages, lack of time, and poor internet connection.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more educational content needed to be covered, such as coping with infant emergencies and information about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onclusion: To increase pregnant women's engagement with mobile web-based education, effort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system of sending text messages as part of mobile web-based education to all patients, to inform pregnant women that an educational web link was sent, and to encourage them to engage with mobile web-based education.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HiChart service by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users' needs.

대학생의 모바일 헬스 기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 분석 (Analysis of users' needs for developing mobile health 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metabolic syndrome in college students)

  • 강민아;이수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429-442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사증후군 인지 및 건강행위 실천 증진을 위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사용자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D광역시 소재 2개의 간호대학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test를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는 건강 앱에서 사용자에게 맞는 처방과 정확한 측정을 원하였고, 건강관리를 하는 사람들과 의견, 정보교환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알맞은 운동법에 대한 콘텐츠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게임화 요소 선호도는 목표, 보상, 경쟁 순이었다. 웨어러블 기기의 적정 가격은 1~5만원이 가장 많았고, 대상자들은 '칼로리 소모량 확인' 기능을 선호하였다. 웨어러블 기기 및 앱 사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대사증후군 지식정도 점수가 높았으나, 집단에 따른 유의한 점수 차이는 없었다. 생활습관 관련 건강행위에 있어서는 웨어러블 기기 및 앱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대상자 집단의 건강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대상자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효과적인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는 모바일 헬스 기반의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웨어러블 기기 사용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충분히 모집하여 사용자 유형별 수요와 특성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 구체적인 후속연구와 사용자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