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le gen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말로락틱 발효에 적합한 토착 Lactobacillus plantarum 분리 (Isolation of indigenous Lactobacillus plantarum for malolactic fermentation)

  • 허준;이찬미;박문국;정도연;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69-176
    • /
    • 2015
  • 말로락틱 발효(MLF)은 유산균의 말로락틱 효소(Mle)에 의해 malic acid가 lactic acid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와인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54개의 유산균을 분리한 다음 MLF 특성을 가진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Lactobacillus plantarum mle 유전자 서열의 보존 영역에 대한 primer 쌍을 제작했고, PCR을 통해 이 유전자를 함유한 4 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들의 16S rR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 특성, rec gene 영역의 PCR을 수행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모두 동정되었다. 1,644 bp로 구성된 이들 mle 유전자의 분석 결과 JBE60 균주의 염기 서열은 JBE150, JBE160, JBE171 균주들과 96.7%, 아미노산 서열로는 99.5%가 일치했다. 에탄올 저항성을 확인한 결과 JBE60 균주가 10% 에탄올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았다. MLF 활성을 확인한 결과 이들 균주는 평균 43%의 malic acid 감소를 보였으며 균주 간 분해율은 비슷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JBE60 균주가 와인용 MLF 종균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ariner-Like Elements (MLEs)를 이용한 누에의 분자적 계통 분석 (Molecular Phylogenetics of Silkworm (Bombyx mori) Based on Mariner-Like Elements (MLEs))

  • 황재삼;이진성;김영섭;성연문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6-181
    • /
    • 1999
  • 본 연구는 누에(Bombyx mori)에서 cloning한 BomMAR의 염기서열을 기초로 하여 곤충 MLE(mariner-like ele-ment)의 계통분석을 통한 누에의 분자적 계통 관계를 이해하고자 수행하였다. 전체 10 종의 MLE중에서 15%의 낮은 상동성을 보이는 인간 MLE(Hsmarl)을 제외한 9종의 MLE의 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UPGMA 분석 결과, BmoMAR을 포함한 10종의 MLE가 세 가지의 subfamily 로 grouping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누에는 genetic distance 0.4332에서 같은 lepidoptera(나비목) 의 H. cecropia, almond moth, webworm 및 microcaddisfly와 함께 grouping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MLE가 곤충의 계통분석에 유용한 molecular tool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누에에서의 Mariner 유사 전이인자유전자의 동정 (Identification of Mariner-Like Element(MLE) Gene from Nombyx mori.)

  • 이진성;황재삼;김용성;서동상;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5-293
    • /
    • 1998
  • 이미 밝혀져 있는 mariner 전이인자의 전이효소를 암호화하는 부위에 대하여 퇴화성 primer를 사용하여 PCR 방법에 의해 누에(Bombyx mori)에서 ariner 유사 전이닌자의 잠정적인 전이효소 부위를 클로닝 하였다. BmoMAR로 망명된 이 PCR 클론으로부터 추론된 아미노산은 152개로 다섯 개의 종결코돈이 삽입되어 있었으며, Drosophila mauritiana의 active Mos 1에 37%의 아미노산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기존의 곤충들에서 밝혀진 mariner-like element에 대한 상동성은 DNA 수주에서는 Apis mellifera에 59% 그리고 아미노산 수준에서는 D. mauritiana 7.9 clone에 37% 상동성을 보였다. 이 결과는 mariner-like element가 B. mori에도 존재하고 있지만. 이들 전이인자의 전이효소를 암호화하는 부위에 종결코돈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서 비활성 전이인자 혹은 일존의 selenoprotein으로 추정된다.

  • PDF

견사곤충에서 Mariner Transposase-like Element의 분자적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ariner Transposase-like Element from Four silkmoths)

  • 이진성;황재삼;김용성;서동상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57-464
    • /
    • 1998
  • 누에, 멧누에, 천잠 및 작잠에서의 형질전환용 vector 개발을 위한 첫단계로 이미 인간을 포함한 여러 곤충에서 그 존재가 확인된 mariner transposable element가 이들 견사 곤충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탐색하기 위해서 이미 보고된Drosophila mauritiana와 Hyalophora ceropia의 mariner transposase 유전자의 고도로 보존성이 높은 부위에 대한 degenerctive primer pair를 제작하여 이들의 존재 여부를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예상되는 약 500bp의 PCR product가 관찰됨에 따라서 모든 견사곤충의 genome에는 maminer-like element(MLE)가 존재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 cloning된 pBmoMAR를 probe DNA로하여 southern hybridization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각 견사층의 genome내에 high copy로 존재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견사곤충에서 MLE가 vector system으로써 개발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MLE와 A/O 공정에서의 nirS 와 nirK 를 가진 탈질미생물의 정량적 분포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denitrifying bacteria with nirS and nirK in MLE and A/O process)

  • 임동석;김윤중;김형건;박승국;정태학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91-598
    • /
    • 2012
  • Denitrification is an important biological mechanism i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because this process is technically to remove nitrogen from water to air. There have been lots of study about denitrification engineering and molecular biological research about denitrifying bacteria, respectively. However, combination of these researches was unusual and rare. This study i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quantity of denitrifying bacteria and denitrification potential, and consists of NUR batch test as analysis method of denitrification potential and quantitative molecular analysis for denitrifying bacteria. Three reactors (A/O, MLE and A/O of nitrogen deficiency) are operated to get activated sludge with various denitrification potential. All samples which were acquired from reactors were measured denitrification potential by NUR test and NUiR test. Also, Real-time PCR was conducted for quantification of denitrifying bacteria composition in activated sludge. The various denitrification potentials were measured in the reactors. The denitrifiaction potential was the highest in MLE process and the reactor of the nitrogen deficiency showed the lowest. Genomic DNA of activated sludge was obtained and consequently, real-time PCRuse the primer sets of nirK and nirS were conducted to quantify genes involving denitrification reductase production. As the result of real-time PCR, nirK gene showed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denitrification potential comapred with nirS gene.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뽕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leaf extrac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 최지수;이설희;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91-19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품으로부터 항당뇨 효능을 지닌 유산균을 분리하여 뽕잎 추출물을 발효하고, 제조된 유산균 발효 뽕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능을 평가하였다. 갓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SG-053은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96.8%로 가장 우수하고, 뽕잎을 발효하여 뽕잎에 존재하는 항당뇨 지표물질인 1-deoxynojirimycin (DNJ)의 함량을 2.2배 증가시키며 우수한 생육 활성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뽕잎 추출액의 발효에 사용하였다. L. plantarum SG-053으로 발효한 뽕잎 추출물은 L6 근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없었고, IRS-1, PI3K p85α, GLUT-4 유전자 발현을 각각 1.4, 2.2, 1.4배로 증가시켰으며, 세포의 2-deoxyglucose 흡수를 1 μM의 인슐린보다 높은 수준인 40.7% 증가시켜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구 당 부하 검사를 통해 유산균 발효 뽕잎 추출물이 포도당 섭취에 의해 증가한 혈당을 빠르게 감소시키고, α-glucosidase의 저해를 통해 maltose의 분해에 의한 혈당 증가를 억제하였다. 유산균 발효 뽕잎 추출물은 SD rat의 허벅지 골격근 조직의 PI3K p85α와 GLUT-4 유전자 발현을 각각 6.4, 2.1배 증가시켜 L6 근관세포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in vivo 근육 조직에서도 인슐린 신호전달경로의 활성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L. plantarum SG-053이 뽕잎을 효과적으로 발효하여 DNJ의 함량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L. plantarum SG-053으로 발효한 뽕잎 추출물은 우수한 항당뇨 효능을 지니는 것을 세포 및 동물실험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Bleomycin Inhibits Proliferation via Schlafen-Mediated Cell Cycle Arrest in Mouse Alveolar Epithelial Cells

  • Jang, Soojin;Ryu, Se Min;Lee, Jooyeon;Lee, Hanbyeol;Hong, Seok-Ho;Ha, Kwon-Soo;Park, Won Sun;Han, Eun-Taek;Yang, Se-Ra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2호
    • /
    • pp.133-142
    • /
    • 2019
  • Background: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nvolves irreversible alveolar destruction. Although alveolar epithelial type II cells are key functional participants within the lung parenchyma, how epithelial cells are affected upon bleomycin (BLM) exposure remains unknown.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BLM could induce cell cycle arrest via regulation of Schlafen (SLFN) family genes, a group of cell cycle regulators known to mediate growth-inhibitory responses and apoptosis in alveolar epithelial type II cells. Methods: Mouse AE II cell line MLE-12 were exposed to $1-10{\mu}g/mL$ BLM and $0.01-100{\mu}M$ baicalein (Bai), a G1/G2 cell cycle inhibitor, for 24 hours. Cell viability and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analyzed by MTT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Apoptosis-related gene expression was evaluated by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Cellular morphology was determined after DAPI and Hoechst 33258 staining. To verify cell cycle arrest, propidium iodide (PI) staining was performed for MLE-12 after exposure to BLM. Results: BLM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MLE-12 cells. However, it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interleukin 6,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Based on Hoechst 33258 staining, BLM induced condensation of nuclear and fragmentation. Based on DAPI and PI staining, BL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ize of nuclei and induced G2/M phase cell cycle arrest. Results of qRT-PCR analysis revealed that BLM increased mRNA levels of BAX but decreased those of Bcl2. In addition, BLM/Bai increased mRNA levels of p53, p21, SLFN1, 2, 4 of Schlafen family. Conclusion: BLM exposure affects pulmonary epithelial type II cells, resulting in decreased proliferation possibly through apoptotic and cell cycle arrest associated signa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