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eral powder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7초

통전가압활성소결을 이용한 나노 결정립 Ti-35%Nb-7%Zr-10%CPP 복합재료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sized Ti-35%Nb-7%Zr-10%CPP Composite Fabricated by Pulse Current Activated Sintering)

  • 우기도;강덕수;김상혁;박상훈;김지영;고혜림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8-195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sized Ti-35 wt.%Nb-7 wt.%Zr-10 wt.%CPP composite fabricated by high energy mechanical milling (HEMM) and pulse current activated sintering (PCAS). Grain growth of the mechanically milled powder was prevented by performing PCAS. The principal advantages of calcium phosphate materials include: similarity in composition to the bone mineral, bioactivity, osteoconductivity and ability to form a uniquely strong interface with bone. The hardness and wear resistance property of nano-sized Ti-35 wt.%Nb-7 wt.%Zr-10 wt.%CPP composi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milling time because of decreased grain-size of sintered composites.

분쇄방법에 따른 고려홍삼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eng Powder on Pulverizing Methods)

  • 이종원;서창훈;장규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63-369
    • /
    • 2003
  • 홍삼 분쇄의 신 가공 기술로서 비충격 분쇄방식인 cell cracker의 공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홍삼분말의 품질고급화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기존의 충격 분쇄방식 인 hammer mill과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방식으로 홍삼분말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의 경우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은 3.16%로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 6.30%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 현행 식품 공전에서는 홍삼분말의 수분함량을 8%이하로 규정하고 있어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가 수율제고라는 측면에서는 보다 경제적인 분쇄방법으로 판단된다. 그 외 cell cracker로 분쇄한 경우 조단백질, 총당, 산성다당체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큰차는 없었으며, 조지방, 환원당, 조섬유, 회분함량은 hammer mill로 분쇄했을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총 지방산 함량을 비교해볼 때 hammer mill로 분쇄한 시료는 87.90%이고 cell cracker로 분쇄한 시료는 87.50%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 hammer mill로 분쇄한 시료는 670.96mg%이고 cell cracker로 분쇄한 시료는 676.50mg%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경우도 각각 212.25 mg%와 206.25 mg%로 조사되어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otal ginsenosides 경우 hammer mill로 분쇄한 시료는 1.263%였으나 cell cracker로 분쇄한 시료는 1.311%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유리당 및 무기성분 등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함초를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Assessment of Soybean Curd Supplemented with Saltwort(Salicornia herbacea L.))

  • 김명희;신미경;홍금주;김강성;이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6-41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ltwor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In addition, we examined the potential for commercialization of tofu containing saltwort. For this study, saltwort was added to tofu at 0%, 4%, 8%, 12%, 16% and 20% and quality and sensory tests were administered. Analyzing the mineral contents of saltwort juice, K was present in the greatest amount, followed by Mg, P, Ca, and F (in decreasing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yield rates and turbidity between the groups. Acidity was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acidity and volume of tofu tended to decrease with an increase in saltwort powder. L value and a value decreased as the content of slaltwort powder increased, but b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twort powder concentration.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were rated higher in the control and the 4% supplement groups than the others groups. In the sensory evaluation, cross section and soybean flavor were the highest in the 4% saltwort supplement group, and the presence of an "off-flavor" increased with the content of saltwort powder. The saltiness score was highest in the 20% supplement group. The 4% and 8% supplement groups were favored in the "feel after swallowing" assessment. Softness was the lowest in the 20% supplement group, and the 4% supplement group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As demonstrated by these results, the addition of saltwort positively affected the overall sensory evaluation of tofu and supplementation with saltwort at 4% and 8% might be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choices. In conclusion, saltwort tofu expected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new products,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product variety and health improvement.

한라봉 추출액이 첨가된 커피 분말의 제조 및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Manufactur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Analysis of Coffee Powder with Added Hallabong Extract)

  • 신경옥;하서영;신성범;김정연;양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93-603
    • /
    • 2021
  • In this study, Korean Hallabong produced in Jeju Island and coffee were grafted to prepare coffee containing Hallabong extract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s were analyzed. As the amount of Hallabong extract increased, the water content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However, the crude flour, crude protein, and total flavonoid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selenium content per 100 g was 91.28 mg in the 1% Hallabong group, and the iron content was 6.84 mg in the 3% Hallabong group. As the content of Hallabong extract in coffee increased, the L-value (brightness) and b-value (yellowness) increased, but the a-value (rednes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he case of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group containing 9% of Hallabong extract showed the highest value at 47.20 μmol/g of TEAC. In particular, the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coffee powder containing 6% or more of Hallabong extract(p<0.05). The caffeine content decreased as the amount of Hallabong extract added to coffee increased. Therefore, when making powder coffee with Hallabong extract added, it is recommended to set the content of Hallabong extract to 6%.

감귤, 녹차, 선인장 분말을 첨가하여 후숙한 된장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Composition of Post-Daged Doenjang(Fermented Soybean Pastes) Added with Citrus Fruits, Green Tea and Cactus Powder)

  • 김정현;오현정;오유성;임상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9-290
    • /
    • 2010
  • 생된장에 감귤, 녹차 및 선인장을 건조 분말 상태로 3%, 7% 첨가하여 $4^{\circ}C$, $20^{\circ}C$, $30^{\circ}C$ 에서 60일간 숙성 시킨 후 된장제품의 품질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전반적으로 55~59%로 대조구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고, 3% 첨가 시 수분 유지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회분과 조단백질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한 차가 없었다. 각 된장의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감귤, 선인장, 녹차 첨가 된장의 탄수화물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7% 첨가 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H는 대조구에 비하여 감귤, 녹차, 선인장 첨가 된장 모두 낮음을 보였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감귤 분말 3% 첨가 된장과 녹차 분말 첨가 된장의 $4^{\circ}C$ 숙성 시 증가됨을 보였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감귤 분말 첨가 된장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감귤 3% 첨가 된장의 기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연의 향미와 기능 성분을 갖는 감률 된장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감귤을 활용한 제품 개발로 된장의 기호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급속 과열증기를 이용한 인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Treated by Hot Air Drying after Being Dried using Super-heated Steam)

  • 김경탁;홍희도;김성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361-366
    • /
    • 2009
  • 과열증기 건조처리 후 열풍 건조한 인삼의 건조율이 열풍 건조만으로 건조한 인삼에 비하여 약 40%의 빠른 건조율을 나타내었다. 일반성분의 함량에 있어서 조지방, 조단백질, 조섬유 및 회분 함량의 경우 두처리구간 큰 차이가 없었다. 무기질 및 유리당 함량의 경우에 있어서도 두 처리구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조사포닌 함량의 경우 과열증기 처리 후 열풍건조한 인삼분말의 조사포닌 함량은 5.43% 그리고 열풍건조만 한 인삼분말의 조사포닌 함량은 5.4%로 두시료간 큰 차이가 없었다. 색깔의 경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에서 과열증기 건조 후 열풍건조 처리한 인삼분말이 열풍건조한 인삼분말에 비하여 약간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삼분말의 미생물 수의 경우 과열증기 건조 후 열풍 건조한 인삼분말이 열풍건조한 인삼분말에 비하여 일반세균 및 효모곰팡이가 약 2 log 정도 감소하였고 대장균군의 경우는 약 1 log 정도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습식분쇄 시간에 따른 통메밀 분말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whole buckwheat by wet grinding over time)

  • 조용준;서지형;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1-1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활용도가 낮은 메밀껍질을 활용하고자 효소처리 및 습식분쇄에 따른 통메밀 분말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습식 분쇄 통메밀 분말의 입도 분석 결과 메밀쌀의 평균 입자크기는 74.84 ${\mu}m$로 통메밀 분말에 비하여 약 4~5배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식분쇄 90분 이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메밀쌀에 비하여 통메밀 분말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분쇄가 진행될수록 조금씩 상승하였다. Rutin 함량 조사결과 메밀쌀 44.10 ppm에 습식분쇄가 진행될수록 함량이 상승하여 습식분쇄 90분에서 152.90 ppm까지 증가한 뒤 이후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Quercetin의 경우 습식분쇄 시간에 따른 큰 함량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 조사결과 메밀쌀에 비하여 통메밀 분말에서 Ca, K 및 Mg의 함량이 높게 증가하였으며 Zn 및 Mn이 통메밀 분말에서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은 통메밀 분말에서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22.27 mg%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lutamic acid는 14.58 mg%에서 30.45 mg%로 두 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통메밀 분말 제조를 위한 습식분쇄 시간은 90분이 적절하였으며 통메밀 분말의 경우 메밀껍질의 유효성분의 활용이 가능하였으며 습식분쇄과정을 통한 식감개선이 가능하여 차후 다양한 가공제품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김부각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with Sea Tangle Powder)

  • 최현미;심창환;신태선;빙동주;전순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34-4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분말(0, 2, 4 및 6%)을 대체하여 제조한 찹쌀풀을 김에 도포한 후 전통적인 방법(frying)과 전자 레인지를 이용한 방법으로 팽화하여 제조한 김부각의 무기질, 수분, 색도, 텍스쳐, 외관 관찰 및 관능검사를 통해 최적 배합비를 살펴본 결과, 김은 K이 2,612.4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Ca 116.970 mg, Na 486.099 mg, Mg 297.800 mg, Fe 9.636 mg, Mn 1.614 mg, Cu 0.973 mg 순이었다. 다시마 분말은 K 5,115.000 mg, Na 1848.931 mg, Ca 763.030 mg, Mg 525.700 mg, Fe 15.125 mg, Zn 4.639 mg, Mn 0.146 mg으로 나타났다. 수분 함량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팽화에서 2.66~2.91%로 대조군과 대체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한 팽화 방법 또한 2.11~2.76%로 대조군과 대체군 간에 유의적인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에서 L값은 다시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과 b값은 대조군이 각각 -0.02, 5.7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김부각의 색도는 전자레인지로 팽화시킨 김부각보다 L, a,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레인지로 팽화시킨 김부각의 경도는 대조군이 246.07이었으며, 다시마 분말 2%, 4%, 6% 대체군이 각각 254.33, 283.20, 275.11로 대조군과 대체군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김부각은 6% 대체군이 238.07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특성강도 검사 결과 김비린내(kim-fish taste)에서는 대조군과 대체군들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소한 맛(savory taste)은 대조군과 대체군에서 모두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김부각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짠맛(salt)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6% 대체군이 4.26으로 가장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기름맛(oily-taste)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김부각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취(off-flavor)는 다시마 2%와 6% 대체군에서 전자레인지가 전통적인 방법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이취를 나타내었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는 결과 색(color)은 대조군과 대체군들 모두 전자레인지와 전통적인 방법의 팽윤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향미(flavor)는 4%와 6%는 전통적인 방법이 전자레인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풍미를 나타내었고, 바삭함(crispness)은 대조군과 대체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acceptability)는 4%와 6%는 전통적인 방법이 전자레인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종합적인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김부각제조시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다시마 분말 4~6% 첨가군이 최적 배합비로 사료되었다.

서천화력발전소 매립 석탄재에서 분리한 미연탄소의 재활용 방안 (Application of Unburned Carbon Produced from Seochun Power Plant)

  • 이수정;조세호;이영석;안응모;조성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1호
    • /
    • pp.40-47
    • /
    • 2014
  • 폐자원으로 분류되는 석탄재의 미연탄소를 경제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서천화력발전소 매립 석탄재로부터 미연탄소를 분리한 후 활성탄소 제조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정선부선을 4단계 실시하여 얻어진 미연탄소 정광의 고정탄소 품위는 87%로 얻어졌다. 미연탄소 정광에 포함된 결정질 불순물로는 주로 석영과 뮬라이트가 존재하였다. 화학적 활성화 전 미연탄소의 비표면적은 $10m^2/g$로 매우 낮았으며, 이는 국내 무연탄의 높은 탄화도와 관련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미연탄소는 대체로 다공성이며 결정학적으로는 터보스트래틱 구조를 갖고 있었다. 미연탄소 1 g과 KOH 6 g 을 혼합하여 활성화시킨 경우 얻어진 비표면적값이 $670m^2/g$로 가장 높았으며 미세공이 발달된 것을 확인하였다. KOH 용액을 사용한 경우 질소흡착량이 분말상 활성화 시료보다 낮게 나타난 것은 탄소입자의 젖음성 및 함침성이 낮은 때문으로 추측되었다. 본 실험에서 제조한 활성탄소는 미세공 분포가 높은 기능성 활성탄소의 세공특성을 보이며, 범용의 활성탄소에 준하는 비표면적값을 나타내 기존의 석탄계 활성탄소보다 우수하며 회분 함량도 적정 수준이었다. 따라서 공정의 경제성과 미연탄소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수용 활성탄소 대체재나 혹은 카본블랙 대체용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ONKCS 방법을 이용한 비정질 실리카 함유 인공광물혼합시료의 정량 X-선회절 분석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Synthetic Mineral Mixtures Including Amorphous Silica using the PONKCS Method)

  • 전철민;이수정;이성우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7-34
    • /
    • 2013
  • X-선회절 분석은 결정질 물질의 정량과 정성분석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분석기술이며, 따라서 회절자료를 이용한 매우 다양한 광물조성 정량분석법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실리카, 석영, 뮬라이트, 강옥으로 제조한 인공광물혼합시료를 대상으로 리트벨트법과 PONKCS (partial or no known crystal structure) 방법을 적용하여 정량 X-선회절 분석을 수행하였다. 100% 비정질 실리카와 내부표준시료 첨가 시료의 회절자료를 이용하여 PONKCS 방법으로 비정질 실리카의 결정 모형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비정질 실리카의 경우, 원 중량 대비 치우침의 절대값 평균은 1.85 wt%였다. 비정질 실리카의 함량이 작은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치우침을 보이는데, 이는 배경 회절패턴의 강도가 낮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밖에 석영, 뮬라이트, 강옥의 경우, 치우침의 절대값 평균은 각각 0.53 wt%, 0.87 wt%, 0.57 wt%였다. 내부표준물질 혼합법을 적용한 전통적인 리트벨트 정량분석 결과와 비교할 때 PONKCS 방법이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한 인공광물혼합시료에 대하여 신뢰도 높고 성공적인 정량 분석법임을 확인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