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itary adaptation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6초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투지 및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Self-leadership)

  • 주지향;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40-25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 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투지와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군 제대 후 복학한 남자 대학생 23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5세(SD=1.7)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영생활적응과 투지, 셀프리더십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병영생활적응은 투지와 셀프리더십 및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병영생활적응이 대학생들의 투지와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개인의 성장이 복학 후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영생활과 대학생활에 대한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Influence of Family Dynamic, Attachment to Fathers, Attachment to Friends, Self-esteem, and Stress on School Adaptation: A Comparative Study of Adolescents from Non-military Families and Military Families

  • Yang, Suk Kyung;Moon, Hyuk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1-13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school adaptation by adolescents from non-military families and military families; subsequently, our research targeted 387 middle school children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from non-military families perceived higher levels of attachment to fathers and self-esteem than adolescents from military families. However, the stress level for adolescents from military families was higher than adolescents from non-military families and adolescents from non-military families adapted better to school than adolescents from military families. Secondly, family dynamic, attachment to fathers, and stress influenced school adaptation by adolescents of non-military families and family dynamic and the attachment to friends influenced the adaptation to school by adolescents from military families.

현역 병사들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불안, 우울과 군생활적응의 관계 (Relationship of Active Duty Soldiers' Military Life Adaptation, Self-esteem, Anxie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 고기숙;정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94-30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역 병사들의 군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불안, 우울이 군생활적응과 어떤 직 간접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역병사 127명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불안의 정도가 낮아지고, 우울의 정도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군생활적응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불안이 클수록 군생활적응 정도가 낮아지고, 대인관계불안이 클수록 우울이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군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그 사이를 매개하고 있는 변수가 대인관계불안임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된 변수들의 직 간접 관계를 중심으로 군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병사의 자아존중감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ldier's Self-esteem on Adaptation to Military Lif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김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64-575
    • /
    • 2021
  • 본 연구는 병사의 자아존중감이 군 생활 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고, 그 관계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강원도 소재 육군 병사 23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차이검증, 위계적회귀분석, 매개효과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차이검증 결과 일반적 특성 중 건강상태가 좋은편인 경우, 가족건강성이 좋을수록, 친구 수가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 계급이 이등병과 상병인 경우보다 병장인 경우, 고민상담할 대상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 군 생활 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위계적회귀분석 결과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병과가 전투병과일수록, 고민상담할 대상이 있을수록 군 생활 적응을 잘하였다. 또한 주요변수인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군 생활 적응 수준이 높았다. 셋째, 매개효과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우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대처하기 위한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향상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군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자가적응 소프트웨어 기반 MOSAIC 아키텍처 설계 및 검증 (A Design and Verification of MOSAIC Architecture Based on Self-Adaptive Software for the Military Mobile Equipment)

  • 김종영;윤희병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852-860
    • /
    • 2010
  •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oftware is operated become more complex and changed dynamically. Such software requires the ability to adapt in accordance with operating environments, by monitoring the changes of user requirements and operating environments. Especially, the mobile device used in military operation requires more dynamical adaptation than the mobile device in normal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MOSAIC architecture based on Self-Adaptive Software suitable for military mobile device and verify the results. The proposed architecture consists of context manager, evaluation manager and adaptation manager. We simulate the MOSAIC architecture by modelling PRE(Position Reporting Equipment) used in the army and verify four types of operational mode and dynamical reconfiguration of user interface.

군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군복무적응도 검사와 생체인식지표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Military Service Adaptation Test and Biometric Index to prevent Military Safety Accidents)

  • 최한선;윤종용;최종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5-63
    • /
    • 2022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litary Service Adaptation Test and the Biometric Index is studied herein with the aim of preventing military safety accidents. The subjects were 36 soldiers under the age of 25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rvice adaptation test, the soldiers who did not adapt to the service were distinguish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in stress among the brain wave indicators of the general group and the group of interest. Second, the higher the left and right brain imbalance index among the brain wave indicators, the higher was the level of empathy shown by the subjects. Third, among the pulse indicators, the subjects with high cumulative fatigue levels were found to have high levels of emotion (anxiety, depression, physicalization) and relationship isolation (indifference, sensi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Rough Terrain Negotiable Mobile Platform with Passively Adaptive Double-Tracks and Its Application to Rescue Missions and EOD Missions

  • Lee, Woo-Sub;Kang, Sung-Chul;Kim, Mun-Sang;Shin, Kyung-Chul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048-1053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design and integration of the ROBHAZ-DT3, which is a newly developed mobile robot system with chained double-track mechanisms. A passive adaptation mechanism equipp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body enables the ROBHAZ-DT3 to have good adaptability to uneven terrains including stairs. The passive adaptation mechanism reduces energy consumption when moving on uneven terrain as well as its simplicity in design and remote control, since no actuator is necessary for adaptation. Based on this novel mobile platform, a rescue version of the ROBHAZ-DT3 with appropriate sensors and a semi-autonomous mapping and localization algorithm is developed to participate in the RoboCup2004 US-Open: Urban Search and Rescue Competition. From the various experiments in the realistic rescue arena, we can verify that the ROBHAZ-DT3 is reliable in traveling rugged terrain and the proposed mapping and localization algorithm are effective in the unstructured environment with uneven ground. The another application is an military robot for an EOD(Explosive Ordnance Disposal) and reconnaissance mission. The military version of the ROBHAZ-DT3 with a water disrupter, a thermal scope and a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developed and sent to the area of military tactics in Iraq. Consequently, the feasibility of the military version of ROBHAZ-DT3 is verified.

  • PDF

다문화 병사의 복무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rvice Adapt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Soldiers : Focused on Ground Theory)

  • 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09-214
    • /
    • 2020
  • 우리나라는 인구구조 측면에서 군사력이 심각한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으며, 또한, 저 출산은 단순히 국가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최후의 안보 보루인 군 조직에서의 병력자원 감소로 이어져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가며 곧, '다문화 가정 출신 자녀'의 군(軍) 입대 추세는 2025년부터 2031년 사이에 연 평균 8천여 명이 입대할 것으로 예측 됨으로서, 대한민국 국군의 병력자원은 '다문화 군대'로 변모하는 것은 불가피한 상항이 될 것이다. 결국, 우리나라 최후의 안보 보루인 군 조직에서의 병력자원 감소와 다문화 군대라는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병사가 군(軍) 복무 적응과정을 어떻게 적응해 가고 있는가를 밝히고, 군(軍) 생활 적응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범주화시켜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군복무 후 제대한 복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on College Adaptation after Military Service)

  • 김현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513-52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군복무 후 제대한 복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군복무 후에 복학한 남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과 자아탄력성의 낙관적태도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의 사회적응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과 자아탄력성의 낙관적태도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의 개인-정서적응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자기평가와 자아탄력성의 자신감 간에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보다 대학생활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복무 후 복학한 남학생만의 자료 수집을 통해 밝힌 본 연구의 의의와 더불어서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전의경 구타근절대책이 부대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eventive Measurements on Military Life Adjustment Mediated by Stress)

  • 정연균;이창한
    • 시큐리티연구
    • /
    • 제41호
    • /
    • pp.241-261
    • /
    • 2014
  • 이 연구는 전의경의 부대적응의 원인을 밝히는 데 있어 전의경 부대의 구타근절대책이 스트레스 변인을 통해 부대적응에 이르는지를 구조방정식분석을 사용하여 파악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11년 울산지방경찰청 소속 전의경 전원에 대한 조사 데이터이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스트레스를 통한 매개효과는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화 회귀계수를 통해 효과크기를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가 부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대의 구타근절대책의 영향력 보다 더 더 컸다. 즉, 부대의 구타근절대책이 전의경의 부대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전의경의 부대적응력은 부대의 구타근절대책 보다 개인이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이 더 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찰당국은 전의경이 겪는 스트레스가 부대적응도를 결정할 수 있는 원인임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