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nt worker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1초

외국인 전문 인력과 조직 혁신성과간의 관계 및 다양성 친화형 인적자원관리의 조절역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professionals and organizational innovative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diversity-friendly HRM)

  • 이진규;김태규;김학수;이준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7-154
    • /
    • 2013
  • In an ever-tougher competitive environment caused by globalization, domestic companies are increasingly adopting business strategies aimed at continuously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by taking advantage of globally-competitive foreign professionals. Despite a persistent rise of such trend, domestic researches regard migrant workers as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delve into the issue of migrant workers from the policy, welfare, and ethical perspectives. With a growing need to deal with migrant professionals from the strategic viewpoint - to acquire professional talent in an era of global competition, it becomes essential to verify the real effectiveness of migrant professionals. Yet,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discussion of it. This study assumes that based on th137e integration-learning perspective on diversity, the greater the number of foreign professionals, the greater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innovative performance. Also could be effective in managing diversity is diversity-friendly HRM which involves eliminating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 professional workers and treating them fairly.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72 domestic companies,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percentage of foreign professionals in the total workforce on organizational innovative performance and of the moderating role of diversity-friendly HRM.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 of foreign professionals in the entire workforce ha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innovative performance, and that the proportion of foreign professionals in the total workforce and diversity-friendly HRM have had a interaction effect on organizational innovative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the significance of the proportion that migrant professionals make up of the total workforce and of diversity-friendly HRM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innovative performance, and their implications for diversity management.

  • PDF

COVID-19 and Return-To-Work for the Construction Sector: Lessons From Singapore

  • Gan, Wee Hoe;Koh, David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2호
    • /
    • pp.277-281
    • /
    • 2021
  • Singapore's construction sector employs more than 450,000 workers. During the height of the COVID-19 pandemic in Singapore from April to June 2020, migrant workers were disproportionately affected, including many working in the construction sector. Shared accommodation and construction worksites emerged as nexuses for COVID-19 transmission. Official government resources, including COVID-19 epidemiological data, 43 advisories and 19 circulars by Singapore's Ministries of Health and Manpower, were reviewed over 8 month period from March to October 2020. From a peak COVID-19 incidence of 1,424.6/100,000 workers in May 2020, the incidence declined to 3.7/100,000 workers by October 2020. Multilevel safe management measures were implemented to enable the phased reopening of construction worksites from July 2020. Using the Swiss cheese risk management model, the authors described the various governmental, industry, supervisory and worker-specific interventions to prevent, detect and contain COVID-19 for safe resumption of work for the construction sector.

한국 이주 노동자의 '사이버 공동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yber Communities of Migrant Workers in Korea)

  • 이정향;김영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24-33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이주 노동자의 근접성 없는 공동체 중 사이버 공동체의 특성과 공동체에서 형성되고 재생산되는 사회적 자본과 한국 사회에서의 문화적응과 관련성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 결과 이주 노동자 사이버 공동체 참여 특성에 의하면 민족 단위의 사이버 공동체와 비 민족 공동체 간에는 응집의 강도, 공간 제한성, 외부 사회와의 연결성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민족단위의 공동체는 '국지화된 공동체' 유형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주된 참여 동기는 협업과 공유 보다는 구성원 간의 '소통과 친목, 교류' 등이며 이를 위해 소통 관계형 매체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비 민족 단위의 공동체는 '통합형' 유형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참여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으며 가입 절차의 까다로움이나 한국어로 정보가 제공되는 점 등이 참여의 어려움으로 부각되고 있다. 사이버 공동체 내부에서 이주 노동자 속성에 따른 사회자본의 유의미한 추의는 보이지 않았으나 사회자본 요소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 정치 참여의 네 범주는 서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사이버 공동체 사회 자본이 한국 사회에서의 통합형 문화적응에 정비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이주 노동자의 사이버 공동체에서 형성되는 정치 이슈 토론, 개인(인권) 문제 토로, 시민운동 참여 등이 다문화사회에서의 문화적응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한국 이주노동자의 사이버 공동체가 한국의 원 문화와 이주 문화가 소통하고 통합되는 부분에서 중요한 매개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긍정적인 사회 문화적 호명의 대상이 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외국인 근로자의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igrant Workers: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 정한나;김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60-37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igrant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2 migrant workers working at companies in K and B metropolitan citi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2019, and used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Korea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r=-.29, p<.001), health promoting behavior (r=-.30, p<.001)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44, p<.001). An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 (r=.50, p<.001)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44, p<.00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51, p<.001). Furthermore health promoting behavior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Z=3.26, p<.001), and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Z=3.98, p<.001). Conclusion: In this stud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ere shown to mediate health promotion behavior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grant worker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effective strategies are needed to reduce depression, and support social support.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 특성과 연구동향 (Migrant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and Research Trends in Korea)

  • 이정환;이성용
    • 한국인구학
    • /
    • 제30권2호
    • /
    • pp.147-168
    • /
    • 2007
  •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연구들을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1980년대말 이후 외국인 노동자 사회는 유입 인구의 급증, 불법체류자의 높은 비율, 개발도상국 출신 저숙련직 종사 젊은 남성층의 높은 비중, 외국인 노동자 지원단체의 성장 등의 변화를 겪으며 꾸준히 성장해왔다. 이와 더불어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연구들도 이 같은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과정의 특성들을 반영하면서 주제들이 다양해졌고 방법론도 세련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연구는 여전히 주제면에서 거시적 수준에 치중된 측면이 있고, 외국인 노동자 일부에 한정되어 있으며, 실태와 현황에 관한 기술적인 연구의 비중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경험적이거나 양적인 자료보다는 이론적이거나 질적인 자료에 바탕을 둔 연구의 높은 비중, 표본의 대표성 결여, 언어소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연구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Toward Post-Pandemic Sustainable FDI Workforce: An Examin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Well-Being of Migrant Workers in Ho Chi Minh City

  • Pham Thanh Thoi;Tran Dinh Lam;Nguyen Hong Truc
    • 수완나부미
    • /
    • 제16권1호
    • /
    • pp.303-343
    • /
    • 2024
  • Globalization and the flow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the post-pandemic context continue to play a critical role in shaping the workforce of emerging countries. In Vietnam, evidence obtained during the pandemic revealed that the well-being of employees, especially migrant workers, was extremely poor due to both work and non-work factors. This paper examine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hat impact the well-being of workers employed by various FDI companies in two Vietnamese industrial parks. The survey evidence (n=200) shows that worker well-being is influenced by seven key factors categorized in three dimensions, namely material stressors, social stressors, and human stressors. A further qualitative analysis of 60 participants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ways in which each factor affects workers' well-being and how elements of well-being in the Vietnamese context are different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Low salaries, lack of social support, work-life imbalance due to job demands, and the interplay between these three determinants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well-being of workers. In the current business climate, it is important to have well-targeted policies that encourage high-tech investments as well as persuade domestic firms to address low salaries and economic migration. To manage valuable human resources and keep competitive advantages, foreign firms need to authentically implem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itiatives focusing on workers' benefits, especially providing workforce housing. This will bring about win-win outcomes of improved employee well-being and business sustainability.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 -재독한인노동이주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Practice of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s Analysis -An Example of an Interview with a Korean Migrant Worker in Germany-)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271-29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를 보여주는 데에 있다. 이에, 한 재독한인노동이주자의 인터뷰를 사례로 하여 생애사적 데이터의 연속적 분석, 텍스트분석과 주제적 영역분석, 체험된 생애사의 재구성과 연속적 세밀분석, 이야기된 생애사와 체험된 생애사의 비교 분석의 절차에 따라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를 보여주었다. 이어, 이러한 연구가 사회복지학 분야 생애사 연구와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Workers)

  • 김지현;김보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277-2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을 파악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편의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충청 남 북도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 1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6년 6월 1일부터 9월 27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연구 자료는 SPS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r=-.465, p<.001)와 자아존중감(r=-353, p<.001)은 유의한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별 다중회귀분석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beta}=-.21$, p<.001), 직업(${\beta}=-.02$ p<.05)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변수는 자아존중감이었다. 모형의 설명력 23.0%로 나타났다(F=27.672, p<.001). 이러한 연구결과 볼 때,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아시아 외국인 근로자의 폐활량검사 결과해석을 위한 예측식 제안 (Spirometry Reference Equations for Asian Migrant Workers in Korea: A Proposal)

  • 이화연;원용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9-36
    • /
    • 2023
  • 이 연구는 특수건강진단 폐활량검사 시 아시안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적절한 예측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지리적 분포에 따라 중앙아시아, 동북아시아, 남아시아태평양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그룹별 폐활량검사 결과와 예측식간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국내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폐활량검사 시 적절한 예측식을 제안하였고, 제안한 예측식을 적용할 수 없는 폐활량검사기에는 보정계수를 제안하였다. Global lung function initiative 2012 (GLI2012)-동북아시안식과 동남아시안식의 해석일치도는 남성 0.819, 여성 0.770이었고, GLI2012-동남아시안식과 남아시안식의 해석 일치도는 남성 0.881, 여성 0.886이었다. GLI2012-동북아시안식과 중앙아시안식의 해석일치도는 남성 0.831, 여성 0.833이었다. 따라서 동북아시안, 중앙아시안 그룹에 속하는 외국인 근로자는 GLI2012-동북아시안식을 적용하고, 동남아시안, 남아시안 그룹에 속하는 외국인 근로자는 GLI2012-동남아시안식을 제안한다. GLI2012-동남아시안식을 선택할 수 없는 폐활량검사기의 경우 최정근식(Dr. Choi equation)에 보정계수 0.87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키르키즈스탄 이주민 마을 지역사회기반 영유아 건강증진 예비사업 평가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Child (Infants and Toddlers) Health Promotion Pilot Project in a Migrant Village in Kyrgyzstan)

  • 신현숙;이유나;이숙정;장윤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06-416
    • /
    • 2019
  • Purpose: Children in migrant villages in Kyrgyzstan have a high incidence of anemia and need effe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pilot study of a health promotion project for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The project was carried out by nurses at a public health center, community health workers, and local residents in a migrant village. After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project was established, health assessments, child-care education, provision of vouchers for iron supplements, and activities to improve residents' awareness were conducted during 6 months among 100 children, of whom 85 were finally analyzed. Results: In international health projects, close cooperation of the project team with community residents and health workers is important. Access to the community-based program was feasible in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poor migrant village, and improvements were shown in children's anemia and awareness of health care. Conclusion: By focusing on the effective aspects of this preliminary project, plans to utilize community health workers and promotion strategies can be added to the main project to improve health promotion among children in this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