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 librarie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19초

학교도서관에 대한 초·중등 학생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3-97
    • /
    • 2017
  • 학교도서관은 공간임과 동시에 장소이다. 가정과 집의 개념이 다르듯이 공간은 물리적 형태를 말하고, 장소는 각 개개인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 개념이다. 초 중 고 학생은 사회적, 인지적 발달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학교도서관에 대한 느낌 즉, 장소성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 간에 장소성 형성요인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 이 장소성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의도로 이어지는지 그 과정을 검증하였다. 590명의 초 중 고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설문 데이터는 SPSS 19와 AMOS 19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 심리적 요소 모두 초 중 고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장소성은 장소애착,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려는 행동의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서관과 학생수련시설에 대한 교육시설 안전인증 요소의 확대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xpande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Toward Libraries and Student Training Facilities)

  • 한승훈;김재향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3호
    • /
    • pp.107-123
    • /
    • 2023
  •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 및 교육 질 향상을 위하여, 2021년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시설 안전 인증 운영 규정」이 수립되었으며,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 대학 및 기타 교육시설의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평가되어진다. 기타 교육시설에는 도서관, 학생수련원이 포함된다. 하지만, 학생수련원, 도서관은 수련, 독서 등의 특수 활동이 발생하는 시설로 학교와 차이점을 두고 있다. 때문에 학생수련원 도서관 시설만의 특수성이 「교육시설 안전 인증 운영 규정」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기타시설에 해당되는 학생수련원과 도서관의 특수성을 「교육시설 안전 인증 운영 규정」이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선행 인증제도 및 가이드라인과 비교 분석되었으며, 현장 조사방법이 이용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서관과 학생수련원에 대하여 각각 9가지의 세부 기준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학교도서관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eacher-Librarians' Autonomy Support on Middle School Library User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he Mediating Role of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 김지원;박지홍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9-87
    • /
    • 2021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학교도서관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도서관 만족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욕구(basic psychological needs)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33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귀분석 및 Hayes의 병렬다중매개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직·간접적으로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과 유능성은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도서관 만족도 사이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만족도는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사서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독서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전라북도교육청 독서교육 담당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the Reading Education for Policy Development in Jeollabukdo, Korea)

  • 김성준;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70
    • /
    • 2013
  • 이 연구는 전라북도교육청의 효과적인 독서교육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단위학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주요 조사내용은 그동안의 독서교육 사업평가, 단위학교 독서교육 현황, 독서교육 정책개발의 고려요소이며, 전라북도교육청 소속 전체 학교의 31%에 해당하는 239개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와 효과성은 비교적 높고, 단위학교는 연간 4개 정도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의 독서교육 수준이 중 고등학교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독서교육 정책수립시 고려해야 할 우선순위로는 사서교사와 같은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충원과 학교도서관 시설 및 장서와 같은 독서환경의 개선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의 기조유지와 개선, 학교도서관 환경개선 사업의 지속추진, 초등학생 대상의 전문화된 정책개발,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배치와 전문성 신장, 독서교육 정보의 공유체계 마련을 독서교육의 주요 정책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다중지능을 활용한 100대 교육과정의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Program Types for School Reading Education Included in the 100 Excellent Curriculum by Multiple Intelligences)

  • 이경화;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5-1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적용된 2016학년도 100대 우수 교육과정 보고서에 포함된 학교 급별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을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인간친화지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는 지역사회 연계 독서를 가장 많이 운영하고, 중 고등학교는 학생 독서 동아리 활동을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언어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책읽어주기, 중학교는 문학작품으로 쓰기, 고등학교는 감상문 쓰기를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공간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학교급에서 매체제작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자연친화 지능과 관련된 독서 프로그램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하에서 학교도서관이 독서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이바지할 방안을 교육 공동체 중심지로서 교사 학생 학부모 연계 프로그램 개발, 창작 공간설치 운영, 사서교사의 프로그램 관리 및 탐구기반학습 역량 신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청소년의 여가환경이용과 희망 여가공간의 위치구조 (Using & Structure of Leisure Spaces Perceived by Adolescents)

  • 오은미;박경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7-31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leisure space planning desirable for adolescents through survey on their using leisure space. Four hundred sixty-six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Chongju city, Gwesan-gun and Eumsung-gun responded the first basic questionnaire and 160 students among them answered again the second questionnaire for more information on the site of leisure space they want. Frequency, percentage, $x^2-test$ and Multi-Dimensional Scale were methods of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dolescents are wasting their leisure time because of insufficient facilities for productive activities. They use the time, when observed in one week, roaming around downtown, studying in off-school academies, visiting shops and playing in the game rooms. And when observed in a month, they use time meeting friends in coffee shops, visiting restaurants, studying in the libraries, playing in the ground and visiting sports facilities. Adolescents' leisure tim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age,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occupation, household income, and living area. Students hoped the leisure spares to be located in the neighborhood where they can access easily, and facilities they wanted were small shop-buildings, game rooms, off-school academies, schools, sports facilities, studying moms and libraries. It is necessary that adolescents have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use their leisure time healthy in the leisure space. And consideration on adolescents living in the remote rural area have to be dealt importantly in the beginning of various planning.

  • PDF

사서교사와 국어교사의 협동수업이 중학생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Korean Language Teacher on a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 기민진;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3-14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정보활용교육용 교과서인 "도서관과 정보생활"과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를 협동수업을 통해서 운영하고, 협동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자료를 기반으로 사서교사와 국어교사가 상호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평가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국어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협동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위 학교 수준에서는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충분한 기교재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활용력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자료 활용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탄력형 시간표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도서관의 도서반 활동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마케팅 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Marketing Effectiveness of the Student Assistants Activities in the School Library)

  • 최예윤;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3-165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도서반 활동이 이용자인 학생들과 학교도서관에 미치는 영향을 마케팅 관점에서 살펴보고, 도서반을 이용한 학교도서관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소재 중학교 9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충성도를 포함한 학교도서관의 마케팅 효과는 내부 및 체험마케팅 요소와 같은 도서반의 활동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서반의 활동이 효과적인 구전마케팅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학교도서관 마케팅에 도서반을 활용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대 일본 중학교 건축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Middle School Architecture)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68-67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중학교 건축 계획 시 참조점을 구하기 위해 관련 연구가 부족했던 일본의 중학교 건축을 대상으로 그 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준공된 14개 학교들을 선별해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 기타 주요 공간 등의 영역별 계획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학교들의 계획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대상 학교들은 학교 운영방식에 따라 교과교실형 학교와 특별교실형 학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 되는 교육 및 생활공간의 계획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2) 교과교실형 학교는 교과교실, 홈베이스, 미디어 스페이스, 교사공간 등의 요소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며 홈베이스와 교과교실과의 인접여부에 따라 교실 부속형과 독립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3) 특별교실형 학교는 학급교실과 다목적 공간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는데, 다목적 공간과 학급교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유형과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4) 특별교실은 지역개방과 과목별 특성을 강조할 수 있는 계획특성이 나타나며 부속 공간들의 연계로 공간의 분화특성이 나타난다. 5) 도서실은 개별실이 아닌 컴퓨터실, 시청각실, 다목적 홀 등과 연계된 복합구성으로 계획되며 벽으로 구획하지 않고 개방적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다. 6) 체육시설로는 옥내 체육관이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이와 함께 무도장, 옥외 수영장 등의 설치 빈도가 높다. 이들은 체육수업뿐만 아니라 방과 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측면도 크다. 7) 테라스, 발코니, 외부계단 등의 적극적인 계획을 통해 외부공간을 입체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계획하고 있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시설 공동 활용 - 성동구의 중학교와 지역사회의 시설 교차 이용을 중심으로 - (School-Community Cooperation - A Case Study of Facility Share between the Middle School and the Community in Seong Dong Gu -)

  • 민창기
    • 교육시설
    • /
    • 제4권1호
    • /
    • pp.5-20
    • /
    • 1997
  • This paper is to survey the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share of their facilities.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hat the share of facilities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is helpful for the two. That is, the community, using the school facilities, can educate to upgrade its people to higher social level. The school, using the community facilities, can compensate insufficient school facilities and facilitate student learnings. This paper employed both a literature survey and a case study approach explained by the case of Seong Dong Gu and its schools. This paper argued that the share of the facilities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is needed to facilitate student learnings and to upgrade community people to higher level. Thus, government should encourage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This paper found that the school can use other schools' facilities, camping facilities, various types of private institute, community libraries, social welfare centers, athlentic facilities, and park facilities in the community. Most of the facilities are rested during school hours and are vacant more or less after school hours, so that there are still room for share the facilities with the students. This paper found that the community can easily use school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house-wife classes, athlentic programs for daily life, recreation classes for community people because the school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mmunity. These programs using school facilities can encourage to upgrade community persons' social levels. However, this paper found that the degree of community use is insufficient to fulfil the school facilities. Only a few percent of the school class rooms and other facilities are used by the community. Therefore this paper asserted that community education programs using school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This paper recommended, based on the findings, that governments should encourage the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to facilitate student's learnings and to upgrade community people to higher level. Also it recommended that the school should share more community facilities and that the community should share more school fac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