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suppression effect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박테리오신을 분비하는 비병원성 돌연변이주에 의한 무름병 방제 효과 (Suppression Effect on Soft-rot by Bacteriocin-producing Avirulent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21-M15)

  • 노은정;이승돈;허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36-140
    • /
    • 2010
  •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은 채소 무름병의 원인균이다. 박테리오신인 carocin D는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21 균주가 생산한다. Pcc21 균주의 비병원성인 돌연변이주를 선발하기 위해 Tn5을 이용하여 무작위적 삽입 돌연변이체들을 대상으로 병원성 검사를 하였다. 실험 결과 선발된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21-M15과 carocin D 유전자의 형질전환체인 E. coli(pRG3431)은 비병원성인 동시에 carocin D를 생산하여 무름병균인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3의 생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Pcc21-M15와 E. coli (pRG3431)를 무름병균인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3과 함께 미네랄 오일법으로 상추에 처리한 결과 Pcc3 균주를 단독 처리했을 경우에는 3일만에 90%가 무름병에 걸린 반면, Pcc21-M15와 E. coli(pRG3431)를 함께 처리한 경우는 6일 후에도 25%의 상추에서만 무름병 증상을 보였다.

닭 우모로부터 추출한 아미노산 생화학제의 고구마뿌리혹선충 증식억제 효과 (Nematicida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Amino Acids Biochemical Agent Extracted from Chicken Feather)

  • 김세종;황경숙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47-252
    • /
    • 2012
  • 본 연구는 뿌리혹선충의 화학적 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선충방제제 개발을 목적으로 닭 우모분으로부터 추출한 아미노산 생화학제(feather amino acid; FAA)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을 대상으로 고구마뿌리혹선충 유충 치사효과를 조사한 결과, 5종류(L-asparagine, L-aspartic acid, L-methionine, L-tyrosine, _L-cysteine)의 아미노산이 50 mM 농도에서 50% 이상의 치사율을 나타내었고, L-asparagine 50 mM에서 치사율이 94%로 가장 높았다. 닭 우모분으로부터 추출한 FAA 생화학제의 고구마뿌리혹선충 2령 유충의 치사력과 알 부화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1/50 농도에서 80% 이상의 유충 치사력과 74%의 알 부화 억제율을 보였다. 토마토 근권토양에 FAA 생화학제를 처리하고 60일간 재배시험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 토양 내 유충밀도는 63%, 난낭수는 59%, 뿌리혹 형성 61%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닭 우모분으로부터 추출한 FAA 생화학제는 뿌리혹선충의 친환경 선충방제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setin Suppresses Macrophage-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by Blockade of Src and Syk

  • Kim, Jun Ho;Kim, Mi-Yeon;Kim, Jong-Hoon;Cho, Jae You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5호
    • /
    • pp.414-420
    • /
    • 2015
  • Flavonoids, such as fisetin (3,7,3',4'-tetrahydroxyflavone), are plant secondary metabolites. It has been reported that fisetin is able to perform numerous pharmacological rol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however, the exact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fisetin is not understood. In this study, the pharmacological action modes of fiseti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acrophage-like cells were elucidated by using immunoblotting analysis, kinase assays, and an overexpression strategy. Fisetin diminished the release of nitric oxide (NO) and reduced the mRNA levels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cyclooxygenase (COX)-2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without displaying cytotoxicity. This compound also blocke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p65/nuclear factor (NF)-${\kappa}B$. In agreement, the upstream phosphorylation events for NF-${\kappa}B$ activation, composed of Src, Syk, and I${\kappa}B{\alpha}$, were also reduced by fisetin. The phospho-Src level, triggered by overexpression of wild-type Src, was also inhibited by fisetin. Therefor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fisetin can be considered a bioactive immunomodulatory compound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rough suppression of Src and Syk activities.

Anthocyanins from Hibiscus syriacus L. Inhibit Oxidative Stress-mediated Apoptosis by Activating the Nrf2/HO-1 Signaling Pathway

  • Molagoda, Ilandarage Menu Neelaka;Karunarathne, Wisurumuni Arachchilage Hasitha Maduranga;Lee, Kyoung Tae;Choi, Yung Hyun;Jayasooriya, Rajapaksha Gedara Prasad Tharanga;Kim, Gi-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91
    • /
    • 2019
  • Hibiscus syriacus L.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Eastern and Southern Asia and its root bark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remedy. Recently, the extracts of H. syriacus L. exerts anti-cancerous,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However, the effect of anthocyanin-rich fraction of H. syriacus L. petals (PS) has not been studied under excessive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 of PS in HaCaT human skin keratinocytes under hydrogen peroxide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conditions. PS at below $400{\mu}g/ml$ did not show any cell death; however, over $800{\mu}g/ml$ of PS gradually increased cell death. PS at below $400{\mu}g/ml$ significantly inhibited $H_2O_2$-induced apoptosis in HaCaT cells concomitant with downregulation of Bax and upregulation of pro-PARP and p-Bcl-2. Additionally, PS remarkably reversed $H_2O_2$-induced excessiv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apoptosis, and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mitochondrial ROS production concomitant with suppression of $H_2O_2$-induced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H_2O_2$-mediated ratio of Bax to Bcl-2, and caspase-3 activation were markedly abolished in the presence of PS. Moreover, the inhibition of HO-1 function using zinc protoporphyrin, an HO-1 inhibitor,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PS against $H_2O_2$, indicating the significance of HO-1 in PS mediated cytoprotective effect, which was mediated by activating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2 (Nrf2).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cytoprotective effect of PS in HaCaT keratinocytes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s mediated by inhibiting cellular and mitochondrial ROS production, which is downregulated by activating Nrf2/HO-1 axis.

  • PDF

자외선 LED 포장용기 시스템에 의한 포장절단당근의 품질보존 (Quality Preservation of Shredded Carrots Stored in UV LED Packaging System)

  • 김남용;이동선;안덕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5-140
    • /
    • 2014
  • 신선농산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저장용기에 장착된 자외선영역의 LED는 저온 냉장시스템에서 지속적 조사처리 또는 간헐적 조사 처리 방식으로 활용되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다. 저장용기에 자외선영역의 280 nm, 365 nm, 405 nm LED를 각각 장착하고 대표적 신선편이식품의 하나로서 절단당근을 선택하여 $10^{\circ}C$ 온도에 저장하면서 LED 조사 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저장용기의 뚜껑 안쪽 부분에 장착된 자외선 LED는 절단당근의 표면으로부터 2 cm 높이에서 조사되도록 하였으며, 하루에 30분 간격으로 on/off를 2회 반복하여 조사하였다. 공기조건에서 절단당근에 Escherichia coli 균주를 접종한 경우와 자연적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해 본 결과, 280 nm 자외선 LED 조사 처리를 한 경우 다른 파장(365 nm, 405 nm)의 조사 처리구보다 더 큰 미생물 성장 억제능력을 보여 가장 효과적이었다. 공기 조건에서 절단당근의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365 nm와 405 nm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MA 조건에서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산소농도 1.2~4.3%, 이산화탄소 농도 8.4~10.6%의 가스농도로 유지하여 LED 처리에 따른 내부기체조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280 nm 자외선 LED 조사 처리가 가장 큰 미생물 성장 억제를 보였다.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LED 조사 효과보다 MA 포장 효과에 의해 카로티노이드 보존이 지배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여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MA 조건에서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은 365 nm와 405 nm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자외선 LED를 이용하여 신선농산물 포장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저장용기에 자외선 LED를 장착함으로써 수확 후 수송, 판매, 저장 단계에서 신선농산물을 더욱 신선하게 유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활성 락토페린을 첨가한 저지방 세절소시지의 냉장 저장(8°C)중 이화학적, 조직적 및 저장 특성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nd Shelf-Life Effects of Low-fat Sausages Manufactured with Various Levels of Activated Lactoferri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강인혜;이홍철;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8-414
    • /
    • 2008
  • 본 연구에서 제조한 저지방 훈연 소시지는 활성락토페린을 각각 0, 0.3 및 0.6%로 함량을 달리하였고, 냉장저장($8^{\circ}C$)중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 특성과 접종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제조된 저지방 훈연소시지의 pH, 수분, 지방, 및 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6.04-6.08, 72-76%, 1-2%, 12-14%로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활성락토페린을 0.6% 첨가한 처리구는 0.3% 첨가구와 달리 무첨가 대조구에 비해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p<0.05), 유의적으로 높은 부서짐성을 보였다. 그러나 젖산나트륨 3.3%를 첨가에 의한 항균활성 효과보다는 낮은 효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락토페린은 육제품에 있어서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성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항균활성을 부여하는 좋은 기능성 물질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thocyanins from Clitoria ternatea Attenuate Food-Borne Penicillium expansum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as Food Biopreservative

  • Leong, Chean-Ring;Azizi, Muhammad Afif Kamarul;Taher, Md Abu;Wahidin, Suzana;Lee, Kok-Chang;Tan, Wen-Nee;Tong, Woei-Yen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125-131
    • /
    • 2017
  • Clitoria ternatea or Commonly known blue pea, is a perennial climber crop native to Asian countries.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C. ternatea extract on food borne microorganisms and its antifungal effect on Penicillium expansum. The extract showe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3 Gram positive bacteria, 2 Gram negative bacteria and 1 filamentous fungus on disc diffusion assay. The extract also showed good biocidal effect on all Gram positive bacteria tested and P. expansum. However, the kill cur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ungicidal activity of the extract against P. expansum conidia was depen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and the time of exposure of the conidia to the extract.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extract treated P. expansum culture showed alterations in the morphology of fungal hyphae. The germination of P. expansum conidia was completely inhibited and conidial development was totally suppressed by the extract, suggesting the possible mode of action of anthocyanin. Besides, the extract also exhibited 5.0-log suppression of microbial growth relative to control in the rice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use of the C. ternatea anthocyanin as food biopreservative.

대나무추출액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Extract Against Oral Microbes)

  • 정기옥;서수연;윤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54-459
    • /
    • 2020
  • 구강질환의 주된 원인은 치면세균막 형성이며, 억제하는 방법의 하나로 화학제재로 된 구강세정제를 사용한다. 하지만 화학제재는 부작용이 발생할 염려가 있어 본 연구에서 천연물질인 대나무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구에 소재한 대학교 학생으로 대조군, 실험군 각 15명씩을 선정 후 대조군은 증류수 양치액, 실험군은 대나무 추출물의 사용 전, 후의 구강병원성 미생물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ver.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그룹간의 양치액 사용 후 병원성 미생물의 변화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으며, 총 병원미생물수가 실험군은 -1.27±1.26, 대조군이 0.26±1.21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부작용이 적으면서 우수한 구강양치액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H2AX의 BRCA1 NLS domain과 BARD1 BRCT domain 각각과의 in vitro 상호 결합 (H2AX Directly Interacts with BRCA1 and BARD1 via its NLS and BRCT Domain Respectively in vitro)

  • 배승희;이선미;김수미;최태부;김차순;성기문;진영우;안성관
    • KSBB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403-40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H2AX의 생리학적인 기능 및 분자세포 생물학적 기전 해석에 대한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H2AX 관련 단백질들을 literature review 및 생물정보학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결합 단백질체를 40개를 예측하곤 이들 가운데 상호작용 가능성이 높은 BRCA1와 BARD1 단백질을 선별하여 in vitro 결합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 이들 두 가지의 유전자를 발굴하여,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두 가지 단백질을 발현 및 정제하였으며, 단백질들의 자체적인 구조에 의한 결합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in vitro binding assay법을 실시하였다. 단백질의 구조적 안정과 비특이적 결합을 억제하는 detergent만이 포함된 상태에서, 구조학적 및 물리학적 상호 결합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BRCA1과 BARD1은 모두 H2AX에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이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단백질에 대해 H2AX와의 최적 결합 부위를 알아내기 위해 각 유전자의 domain을 생물정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RING domain, NES, NLS 및 BRCT domain에 해당하는 유전자 부분을 새로 클로닝하여, 다시 in vitro 결합실험 및 실험결과에 대한 literature review를 통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H2AX는 BRCA1의 NLS, BARD1의 BRCT domain 부분과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2AX에 대한 BRCA1과 BARD1과의 결합은 DNA repair에 있어 BRCA1의 NLS와 BARD1의 BRCT domain을 통해 H2AX foci의 관련 세포 신호전달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전체적으로 genomic stability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농후할 것으로 사료된다.

양파즙 첨가 설기의 특성과 저장 효과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Sulgi Added with Onion Juice)

  • 손두호;황용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77-683
    • /
    • 2012
  • 양파즙을 추출하여 수분과 설탕비를 맞추어 쌀가루 대비 1%, 3%, 5%를 첨가하여 백설기를 제조하여 $4^{\circ}C$, $18^{\circ}C$, $30^{\circ}C$에 저장 중 품질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설기의 pH 변화는 양파즙 첨가 설기가 무첨가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4^{\circ}C$에 저장한 pH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도를 측정한 결과, 양파즙 5% 첨가군이 가장 낮았고, 무첨가군이 높았으며, $18^{\circ}C$보다 $4^{\circ}C$, $30^{\circ}C$에서 더 빨리 노화가 진행되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양파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는 높게 나타났으며, 적색도(a값)는 감소하였다. 황색도(b값)는 양파즙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수분활성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양파즙을 첨가할수록 수분 활성도는 높았다. 호기성균과 곰팡이균도 양파즙을 첨가할수록 적게 나타났으며, $4^{\circ}C$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삼킨 후의 느낌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1%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나, 무첨가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관능 결과를 통하여 양파즙 1~2%를 첨가하는 것이 최적의 범위로 판단되었고, 양파즙을 첨가함으로 인해 건강, 기호성 식품일 뿐만 아니라, 제품의 저장 기간도 연장시켜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파즙 1% 첨가 설기 제조 시 $4^{\circ}C$, $18^{\circ}C$에서는 3일 저장, $30^{\circ}C$에서 1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