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fertilizer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1초

어분, 골분 및 참깨박을 이용한 발효액비 제조에 따른 무 발아 및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Fertilizer Application using Fish-meal, Bone-meal and Sesame oil-cake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Tomato)

  • 안난희;이상민;조정래;이초롱;공민재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4호
    • /
    • pp.61-70
    • /
    • 2019
  • 본 연구는 농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농축수산 부산물인 어분, 골분, 참깨박을 대상으로 액비 발효과정 중 이화학성 특성과 제조된 액비 처리에 따른 무 종자 발아 및 토마토 처리에 따른 작물 생육과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어분, 골분, 참깨박 액비 제조 시 발효기간 동안 액비의 pH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골분 > 어분 > 참깨박 액비 순으로 높아졌으며 EC농도는 액비 3종 모두 30일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액비의 질소 함량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모두 증가하였으며 어분 > 골분 > 참깨박 액비 순으로 높았다. 인산 함량도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참깨박 액비가 1.0 %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액비 종류별 희석배수에 따른 무 종자의 발아율과 발아지수 결과는 어분과 참깨박 액비 10배 희석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모든 처리구에서 95 %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발아지수는 액비가 희석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액비 처리에 따른 토마토 생육 및 수량은 액비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화학비료 처리구에 비해 토양 중 유기물 함량, 미생물 밀도 그리고 미생물체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유기자원을 활용한 액비 특성은 재료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유기농작물 재배 시 액비 시용으로 양분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土壤)중 제초제(除草劑) alachlor 분해(分解)에 미치는 토양(土壤) 오염(汚染) 물질(物質)과 비료(肥料) 성분(成分)의 영향(影響) (Influence of Soil Pollutants and Fertilizers on Degradation Rate of Herbicide Alachlor in Soil)

  • 김영석;김용휘;문영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4-219
    • /
    • 1997
  • 토양중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 alachlor 분해(分解)에 미치는 퇴비(堆肥), 화학(化學) 비료(肥料), 중금속(重金屬), 합성(合成) 세제(洗劑)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土壤)중 alachlor는 1차 반응식(反應式)에 따라 분해(分解)되었으며 반감기(半減期)는 6.4일이었다. 퇴비(堆肥) 첨가(添加)는 alachlor의 분해(分解)를 촉진(促進)시켰다. 화학(化學) 비료(肥料)중 질소와 칼리 특히 질소 첨가에 의하여 alachlor의 분해(分解)가 촉진(促進)되었다. 토양중 alachlor의 분해(分解)는 중금속(重金屬)에 의하여 억제(抑制)되었으며 Cd, Cr, Ni, Zn, Cu 첨가(添加) 토양(土壤)중 반감기(半減期)는 각각 11.0, 8.3, 7.9, 7.2, 6.7일이었다. 합성(合成) 세제(洗劑) 첨가(添加) 또한 alachlor의 분해(分解)를 억제(抑制)시켰으며 반감기는 7.5일이었다. 각종(各種) 물질(物質)을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중에서 alachlor의 분해율(分解率)은 토양(土壤)의 microbial biomass나 호흡율(呼吸率)과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 관계(關係)를 보여 각종(各種) 첨가(添加) 물질(物質)이 alachlor의 분해(分解)를 촉진(促進)혹은 억제(抑制)하는 것은 이들 첨가(添加) 물질(物質)이 분해(分解) 미생물(微生物)의 생육(生育)을 촉진(促進)또는 억제(抑制)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유기질 비료 급원에 따른 배 과원의 토양특성과 엽 형질 및 화아 비교 (Soil Characteristics and Leaf and Bud Developments with Different Organic Fertilizers in a Pear Orchard)

  • 최현석;이웅;김월수;최경주;이연;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63-375
    • /
    • 2010
  • 생산성 위주의 집약적인 농업방식으로 인한 토양오염과 환경파괴가 갈수록 심화되어 현재 친 환경재배의 요구가 날로 중요시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배 과원의 토양에 여러 가지 유기질 비료를 시용하였을 경우 토양의 화학성 및 미생물성 그리고 엽형질과 엽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개화 전 8년생 '신고' 배 과원에 쌀겨, 커피박퇴비, '키친퇴비(미생물 지킴이'$^{(R)}$) 및 세 가지 유기질 복합처리구를 배치하고 각각 주당 10kg, 10kg, 10kg, 30kg씩 살포하였고 대조구는 NPK 복합비료로 주당 60g을 살포하였다. 유기질 비료 처리 대조구보다 토양 내 유기물과 P, K, Ca, 그리고 Mg 농도 및 미생물 생체량(biomass)을 증가시켰다. 엽비중은 유기질 복합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나머지 처리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엽내 P와 K 농도는 처리간에 유의성이 나타났지만 토양 내 무기성분 농도 수준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엽내 Ca와 Mg는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엽내 엽록소 함량은 모든 유기질 비료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꽃눈의 형질변화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은 1년간 유기질 퇴비를 통한 배 과원의 토양과 수체를 조사한 것으로 유기질 비료와 대조구간에 명확한 차이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장기간에 연용에 따른 토양 특성 변화와 이에 따른 수체생장에 걸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Effect of Long Term Fertilization on Microbial Biomass, Enzyme Activities, and Community Structure in Rice Paddy Soil

  • Lee, Chang Hoon;Kang, Seong Soo;Jung, Ki Youl;Kim, Pil Jo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87-493
    • /
    • 2013
  • The effects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soil biolog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plough layer in a rice paddy soil in southern Korea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s (NPK), straw based compost (Compost), combination these two (NPK + Compost) for last 40 years. No fertilization plot (Control) was installed for comparison. Though fertilization significantly improved rice productivity over control, the long-term fertilization of NPK and compost combination was more effective on increasing rice productivity and soil nutrient status than single application of compost or chemical fertilizer. All fertilization treatments had shown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il microbial properties, however, continuous compost fertilization markedly increased soil enzyme and microbial activities as compared to sole chemical fertilization. Result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evaluated by EL-FAME (ester-linked fatty acid methyl esters) method, revealed big difference among Control, NPK, and Compost. However, both Compost and Compost+NPK treatments belonged to the same cluster after statistical analysis. The combine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organic amendments could be more rational strategy to improve soil nutrient status and promote soil microbial communities than the single chemical fertilizer or compost application.

Aspergillus Ochraceus Group이 함유된 미생물제제(微生物製劑) 시용(施用)에 따른 토양미생물상 변화와 오이의 생장반응(生長反應) 및 수량(收量) (Effects of Microbial Fertilizer Included Aspergillus Ochraceus Group on Density of Soil Microorganism and Growth Responses and Yield of Cucumber)

  • 송범헌;이철원;정봉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5-411
    • /
    • 1999
  • 본 시험은 농가관행 재배방법에 퇴비 및 토양미생물제인 "활력토" 입제를 이용하여 오이의 생장반응, 수량성, 토양미생물의 변이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은성백다다기 오이 품종을 공시하며 충북 청원군 소재 농가 비닐하우스에서 시험한 결과이다. 정식후 20일까지의 초장은 NPK구에 퇴비와 활력토를 추가 시용한 시험구에서 다른 시험구들에서보다 높았다. 건전한 꽃수 역시 생육초기에는 화학비료와 퇴비 및 활력토를 추가 시용 한 시험구에서 유의성있게 많았으나 정식후 25일이후에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활력토와 화학비료에 활력토를 추가 시용한 시험구들의 정식후 60일째의 선충방제가는 각각 39%와 61.6%였다. 오이 정식후 재배 토양의 토양미생물의 밀도는 방선균, 세균, 진균 순이었으며, 시험처리구별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오이의 상품성이 인정되는 과실수량은 대조구에 비해 시험처리구들에서 약 40%에서 60%까지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화학비료에 활력토와 퇴비를 시용한 시험구들의 수량이 다른 시험구들의 수량에 비교해 높은 수량을 보여 화학비료, 퇴비 및 활력토를 단일시용하는 것보다 혼용해서 이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친환경농업을 위한 유용미생물 Azospirillum의 효율적 이용 (Beneficial Roles of Azospirillum as Potential Bioinoculant for Eco-Friendly Agriculture)

  • ;박명수;이형석;;정종배;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90-303
    • /
    • 2003
  • 현대 농업은 과도한 인구 증가에 따른 필요한 식량을 충족하기 위해 화학비료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이는 농작물의 집약적인 경작으로 인해 토양의 중요 식물영양소가 점차 고갈되고 유기물 함량이 낮아진 토양에서 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화학비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학비료의 무분별한 사용은 화학비료의 가격상승과 더불어 화석연료의 소모를 늘리며,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새로운 방안은 농업 환경을 유지시키는 토양에 인산과 질소를 높이는 bacteria, fungi, algae와 같은 미생물의 접종과 함께 유기물 비료를 시비함으로서 화학 비료의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화학비료의 대체 영양분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미생물비료 중 Azospirillum은 식물뿌리에 군집화 함에 있어 기주 식물에 특이성이 없으며, 넓은 범위의 pH 환경과 질소화합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질소고정이 가능하다. Azospirillum 균 접종은 10-25%의 수확량 증가를 나타냈으며 질소비료시비를 25% 절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질소고정 외에 Azospirillum은 뿌리의 생육을 증가시켜 무기양분과 수분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Azospirillum은 식물 생장 호르몬을 생성하여 뿌리호흡 및 물질대사와 뿌리의 생장 및 활력을 높이고 polyhydroxybutyrate를 생성 이용하여 thermosplastic을 분해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Azospirillum의 호르몬 생성 및 질소 고정 효능을 증대 향상시키기위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농업을 위한 유용미생물로써 Azospirillum의 효율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논과 밭 토양에서 토층간 미생물 군집의 차이 (Vari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long Depth in Paddy and Upland Field)

  • 김찬용;박기춘;이영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9-143
    • /
    • 2009
  • 인지질 지방산을 분석하여 특정 미생물군의 수직적 분포와 토층간 미생물 군집 패턴을 조사하였다. 경북 농업기술원에 위치하고, 질소, 인산, 가리의 화학비료만 장기 연용한 논과 밭 포장에서 15 cm 깊이까지 토양을 채취하였다. 인지질 지표 지방산을 주요인 분석으로 분석하여 토양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논과 밭 토양의 미생물 군집은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토층간 차이보다 논과 밭의 차이가 더 컸다. 논보다 밭은 토층이 깊어짐에 따라 미생물 군집이 급격하게 변하였는데, 미생물 군집 측면에서 밭보다 논의 표층이 더 두껍다고 볼 수 있다. cyclopropyl/monoenoic precursor 비율과 전체 포화지방산/전체 불포화 지방산 비율은 토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이는 토심이 깊어질수록 탄소원과 통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대체로 표토는 그램음성균, 곰팡이 등의 상대적 비율이 높고 토심이 깊어질수록 세균과 방선균의 상대적 비율이 높아졌다.

생균제 미생물비료의 고추시비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Microbial Fertilizers to the Red Pepper)

  • 김경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3-74
    • /
    • 1998
  • The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organic manure obtained from livestocks fed with BLCSs in the red pepper under structure were as follow. The no. of fruit. fruit weight. fruit length. fruit width. and sugar content of red pepper treated with dong of fowl(BLCS) were higher, also. The contents of total N, P2O5, K2O, CaO, MgO, and cap-saicin in the red pepper fruit of treated with Dung of fowl(BLCS) were the highest, and the second was cattle dropping(BLCS). The contents of OM, P2O5, K, Ca, Mg, and CEC of soil treated with microorganism were the highest in the cattle dropping(BLCS) in any other plots, however. In general, effect of cattle manure fed with BLCS on the red pepper yield and microbial activity were higher than cattle manure did not feed BLCS.

  • PDF

유류오염토양의 생물학적 복원을 위한 국내 토양경작기술의 적용 특성 (Characterization of landfarming for bioremediation of petroleum-contaminated soil in Korea)

  • 이광표;이철효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07-125
    • /
    • 2004
  • A bioremediation of petroleum-contaminated soil in Korea was evaluated for the optimization of enhanced biodegradation and the minimization of effects of seasonal variations, The short-term bioremediation in combination of biopile pretreatment and landfarming was performed by lowering contaminated levels and overcoming the inhibiting factors in the rainy and winter seasons. A microbial density was maintained with indigenous microbial addition for bioaugmentation and with fertilizers for biostimulation. A lesser volatile and biodegradable fraction due to their abiotic removals following the biopile pretreatment was effectively removed by the laterally applied landfarming. The optimal temperature in greenhouse was maintained by buffering of the soil temperature even with slight decreases in removal rates during the winter and extensive leaching of nutrients and contaminants was restricted with adjusting the water contents during the Korean rainy season. Although the tilling process was effective for biodegradation with aeration only, the simultaneous treatment due to apparent mixing of nutrients and microbes more favorably degraded the petroleum than the sequential treatment.

  • PDF

경운방법과 시비방법이 콩 재배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System and Fertilization Method on Biological Activities in Soil under Soybean Cultivation)

  • 오은지;박지수;유진;김숙진;우선희;정근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23-229
    • /
    • 2017
  • BACKGROUND: Tillage systems and fertiliz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crop growth and soil improv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illage and fertilization on the microbial biomass C and dehydrogenase activity of soils in a field under cultivation of soybean. METHODS AND RESULTS: An experimental plot, located in the temperate climate zone, was composed of two main sectors that were no-tillage (NT) and conventional tillage (CT), and they were subdivided into four plots,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ypes of fertilizers (non 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hairy vetch, and liquid pig manure). Microbial biomass C and dehydrogenase activity were evaluated from May to July in 2016. The microbial biomass C and dehydrogenase activity of NT soi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T in all fertilizer treatments, and they were further increased in hairy vetch treatment than the other fertilizer treatments in both NT and CT. The dehydrogenase activity was closely related to microbial biomass C.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application of green manure combined with no-tillage can provide viable management practices for enhancing microbial properties of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