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methacrylate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3초

Ferrocene-Based Diimine Pd(II) 촉매로 얻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oly(methyl methacrylate) Obtained with Ferrocene-Based Diimine Pd(II) Catalyst)

  • 박태학;이동호;김태정;박동규
    • 폴리머
    • /
    • 제26권3호
    • /
    • pp.410-414
    • /
    • 2002
  • 중심 금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ferrocene-based diimine 리간드를 가지고 낮은 산소 친화성을 가진 후전이금속인 Pd 촉매를 합성하여, 극성 단량체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의 중합에 사용하였다. 중합계 내의 impurity scavenger로 triisobutylaluminium (TIBA)를 사용하였을 때에, 중합온도와 [TIBA]/[Pd] 몰비가 생성 중합체(PMMA)의 수율 및 유리전이온도 ($T_g$)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MMA의 수율은 40~$50^{\circ}C$의 중합온도 및 2000~3000의 [TIBA]/[Pd] 몰비에서 가장 높았다. PMMA의 $T_g$는 중합온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TIBA]/[Pd] 몰비에 의존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PMMA의 $T_g$의 변화를 PMMA의 미세구조와 연관시켜 조사한 결과, PMMA의 $T_g$ 이소탁틱도와 직선적 관계를 가짐을 알았다.

Resistance of Methyl Methacrylate-Impregnated Wood to Subterranean Termite Attack

  • Hadi, Yusuf Sudo;Massijaya, Muh. Yusram;Zaini, Lukmanul Hakim;Abdillah, Imam Busyra;Arsyad, Wa Ode Muliastuty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748-755
    • /
    • 2018
  • Timber from fast-growing tree species is susceptible to by biodeterioration attack, particularly subterranean termites. Impregnation with methyl methacrylate (MMA) potentially increases wood resistance to subterranean termite attack. Four wood species, namely sengon (Falcataria moluccana), jabon (Anthocephalus cadamba), mangium (Acacia mangium), and pine (Pinus merkusii), were impregnated with MMA, and samples of untreated and imidacloprid-preserved wood were prepared for comparison purposes. Small stakes, sized 0.8 cm by 2 cm in cross section by 20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ere inserted into the ground for 3 months, and the weight loss of each specimen was determined at the end of the test period. A factorial $4{\times}3$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rst factor was wood species, and the second factor was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MMA polymer loadings were 27.88%, 24.91%, 14.14%, and 17.81% for sengon, jabon, mangium, and pine, respectively, and amounts of imidacloprid retention were $7.56kg/m^3$, $5.98kg/m^3$, $5.34kg/m^3$, and $9.53kg/m^3$,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analysis of variance, wood species, treatment, and interaction of both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weight loss of wood specimens. Mangium had the smallest weight loss, followed by pine, sengon, and jabon. MMA impregnation into the wood increased the resistance of wood samples to subterranean termite attack during in-ground testing, but the resistance level was lower than that of imidacloprid-preserved wood. Except for mangium wood, the MMA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sistance.

PNIPAAM-PMMA Random Copolymer의 합성 및 단량체 반응성비 측정 (Synthesis and Monomer Reactivity Ratio of PNIPAAM-PMMA Random Copolymer)

  • 이창배;조창기
    • 폴리머
    • /
    • 제24권2호
    • /
    • pp.168-173
    • /
    • 2000
  • 자유 라디칼 개시제인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사용하여 1,4-dioxane 용매하에서 N-isopropylacrylamide (NIPAAM)와 methyl methacrylate (MMA)를 공중합하였다. 온도에 따른 NIPAAM과 MMA의 반응성비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50, 60, 7$0^{\circ}C$에서 중합하여 전환율이 10 wt%이하가 되도록 반응을 정지시켰다. 단량체 반응성비는 Finemann-Ross법으로 구하였으며, 그 값은 5$0^{\circ}C$에서는 ${\gamma}$$_2$=0.259, ${\gamma}$$_2$=2.782, 6$0^{\circ}C$에서는 ${\gamma}$$_1$=0.271, ${\gamma}$$^2$=0.819, 그리고 7$0^{\circ}C$에서는 ${\gamma}$$_1$=0.286, ${\gamma}$$_2$=2.915로 나타나, 반응온도가 높아질수록 ${\gamma}$$_1$, ${\gamma}$$_2$ 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응온도와 반응성비와의 관계로부터 활성화에너지의 차를 구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반응성비는 온도 의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ethyl Methacrylate의 Emulsion Polymerization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 이형규;민태익
    • 대한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1
    • /
    • 1968
  • With the selected emulsifiers for the emulsion 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the HLB of the emulsifier in the reaction system has been studied on the effect of the ratio of tetra sodium-N-(1,2-dicarboxy ethyl)-N-octadecyl sulfosuccinamate(Aerosol 22) to polyethylene glycol nonyl phenyl ether (Noigen EA 160), and also sodium lauryl sulfate(Quolac EX-UB), Disodium-N-octadecyl sulfosuccinamate (Aerosol 18) and Aerosol 22 as emulsifiers having various hydrophilic groups in the molecules have been studi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iscosity of the emulsions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s have maximum values at a constant HLB value of emulsifiers, but their stabilities show minimum point at the value with the titration with the three kinds of mono, bi, tri-valent electrolytes. These results are agreed on the theory of Greth & Wilson in which the properties of polymer emulsions depend upon the HLB system of emulsifiers. 2) The viscosity of the emulsions and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produced polymers increase more in the case of blending of Aerosol 22 to Noigen EA-160 than of the separate using. 3) The coagulation effects of the divalent electrolytes($ex,\;Ca^{++},\;Zn^{++}$) are contrast to the effects of monovalent($ex,\;Na^+$) and trivalent($ex,\;Al^{+++}$) in the emulsions with Aerosol 18 or Aerosol 22 which have more than two hydrophilic groups. It seems that the stability of the O/W emulsions by electrolyt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arameters of surface physical chemistry such as surface geometry of surface chemical constitution of polymer particles.

  • PDF

수분산 아크릴 폴리우레탄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에 의한 전도성 코팅용액 제조 (Preparation of Conductive Coating Solutions by Blending Waterborne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 with Carbon Nanotube)

  • 허우영;윤동구;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1호
    • /
    • pp.73-79
    • /
    • 2013
  • Polycarbonate diol (PCD), isophorone diisocyanate (IPDI)와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를 출발물질로 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WPUD)을 합성하였다. WPUD에 아크릴 단량체인 methyl methacrylate (MMA)를 첨가하여 수분산 아크릴 폴리우레탄(waterborne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 AUD)을 합성하였다. 이 AUD와 물에 분산되어 있는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를 혼합하여 전도성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polycarbonate 시트 위에 도포하여 코팅 도막을 형성하였다. AUD 중의 MMA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코팅 도막의 연필경도,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은 향상되었으나 전기 전도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전도성 코팅 용액 중의 MWCNT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코팅 도막의 연필경도,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은 감소되었으나 전기 전도도는 증가하였다.

Microcrystalline cellulose에 자유 라디칼을 이용한 methyl methacrylate의 그래프팅 반응과 이를 이용한 천연복합필름의 제조 (Grafting of MMA onto MCC through free radical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all natural cellulose composite film preparation)

  • 이수;박상희;진석환;이선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9-468
    • /
    • 2008
  • Methyl methacrylate(MMA) was grafted onto microcrystalline cellulose(MCC) with ceric ammonium nitrate(CAN) as a redox initiator at the various conditions. The cellulose triacetate(CTA) composite films added MCC and MMA-grafted MCC powders were prepared on a glass plate. The graft yield(GY) and graft efficiency(GE) of the grafted MCC were calculated with the simple equations by the weight balance method. The double bond of C=O on the grafted MCC surfaces was confirmed by th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with attenuated total reflection(FT-IT ATR) spectrophotometer. After grafting, the degree of crystallinity of cellulose powders was decresed by judging from x-ray diffraction(XRD) dat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photos showed the only solvent and CAN solution could change the roughness of MCC powders and the effect of powder dispersions in composite matrix. The tensile strength of MCC/CTA composite films was decreased with increase of MCC powder contents. When 5% grafted MCC was added, the tensile strength of grafted MCC/CTA composite films was increased from 82.3 MPa to 97.2 MPa. The thermal property of powders was also analyzed by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염화코발트(Ⅱ)에 의한 비닐단위체의 중합 (Polymerization of Vinyl Monomers Initiated by Cobalt (II) Chloride)

  • 이동호;안태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3-64
    • /
    • 1975
  • Co$Cl_2$-THF-MMA계에 대한 중합반응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았다. 즉 중합시간에 따른 중합변화율이 6${\sim}$7% 미만의 초기에는 직선적인 관계가 있으나 차차 중합속도가 감소했다가 그 후에는 라디칼중합의 경우와 같이 자동가속화현상을 볼 수 있었다. 개시물인 염화 코발트(II)의 농도가 증가하면 중합속도가 증가했다가 약 $3.4{\times}10^{-4}$mole/l 이상이 되면 반대로 중합속도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단위체인 MMA의 농도에 따라 중합속도는 1.38의 반응차수를 가지고 증가하였다. 라디칼중합에 대한 억제물인 DPPH를 첨가하면 억제기간이 생기고 이 억제기간은 DPPH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 중합계에 대한 겉보기 총 활성화 에너지는 13.2kcal/moe임을 알았다. MMA($M_1$)과 styrene($M_2$)의 공중합체에 대한 단위체 반응성비는 $r_1$=2.35, $r_2$=0.78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결과에서 이 계에 의한 중합개시 메카니즘을 논의하여 디라디칼에 의한 중합이 우세하게 일어난다고 생각되었다.

  • PDF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삼원 공중합체의 투명성 및 기계적 물성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tyrene/Butyl Acrylate/Methyl Methacrylate Terpolymers)

  • 장상진;박해윤;서관호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191-199
    • /
    • 2015
  • 대표적인 범용 플라스틱인 폴리스티렌의 장점인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단점인 낮은 내충격성을 보완하고자 투명한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의 단량체인 butyl acrylate(BA)와 methyl methacrylate(MMA)를 styrene(SM) 단량체와 현탁중합으로 중합하여 3원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SM/BA 2원 공중합체와 SM/BA/MMA 3원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각각의 물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가장 충격강도가 좋은 3원 공중합체에 가교제인 dicumyl peroxide(DCP)의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가교반응시켰다. 단량체의 중합조성비 및 가교제의 함량이 공중합체의 열적, 기계적 물성과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butyl acrylat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충격강도는 높아지지만 SM/BA 2원 공중합체는 특정 조성에서 불투명하게 된다. 하지만, SM/BA/MMA 3원 공중합체는 모든 조성에서 투명하면서 비교적 높은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DCP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계적 물성을 높일 수 있었으나 투명성은 점차 낮아졌다.

양친성 빗 모양 고분자의 PDMS 표면 고정화 및 세포독성 평가 (Surface Immobilization of Amphiphilic Comb-like Polymer on Polydimethylsiloxane and in vitro Cytotoxicity Assay)

  • 최재유;정재연;정걸;이종환;현진호;김현중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2호
    • /
    • pp.70-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양친성 빗 모양 고분자인 methyl methacrylate-based polyethylene glycol (PMMA-b-PEG)의 박막을 polydimethylsiloxane (PDMS) 표면에 형성하여 표면 친수성을 증진시키고 고분자 코팅에 따른 세포 독성의 증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PMMA-b-PEG 고분자 용액을 스핀 코팅의 방법으로 PDMS 표면에 도포하였으며, 장기간의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표면 성질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박막의 표면 안정성은 전계 방출 주사전자현미경과 원자힘 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안정적으로 형성된 PMMA-b-PEG 박막의 세포 독성여부는 MTT 시험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세포 독성 평가(in vitro)는 생체주입 후에 있을 조직적합성 평가(in vivo)에 앞서 주요한 결과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PMMA-b-PEG 박막이 형성된 PDMS의 경우 생체주입이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MMA/BA의 단량체 비에 따른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및 내구성 (Strength and Durability of Polymer Modified Mortar according to Monomer Ratio of Methyl Methacrylate and Butyl Acrylate)

  • 문경주;형원길
    • 폴리머
    • /
    • 제32권6호
    • /
    • pp.603-60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MMA(methyl methacrylate)와 BA(buthyl acrylate)를 단량체로 이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단량체 비에 따른 성질을 파악하고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MMA/BA를 이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전 세공용적은 MMA/BA의 단량체 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특성에서는 전체적으로 MMA/BA의 단량체 비가 70 : 30, 그리고 80 : 20일 때, 폴리머 시멘트 비가 15%일 때 가장 우수한 증진효과를 나타냈다.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흡수율,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중성화 저항성에서는 단량체 비에 따른 개선보다는 폴리머 시멘트 비에 따른 개선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