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acrylate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4초

REM 모델에 의한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 완화스펙트럼의 pH 영향 (pH Effect on Relaxation Spectra of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Copolymers by REM Model)

  • 김남정
    • 폴리머
    • /
    • 제37권2호
    • /
    • pp.135-140
    • /
    • 2013
  •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응력완화 실험은 용매기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여러 온도의 공기 중, 증류수, pH 3, 7, 11 용액에서 실행하였다. Ree-Eyring and Maxwell 모델로부터 얻은 완화스펙트럼 식에 실험적인 응력완화 곡선을 대입하여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완화스펙트럼을 얻었다. 완화스펙트럼의 계산은 Laplace 변환법을 사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들 시료의 완화스펙트럼은 유동단위의 분자량과 자체확산 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Glycidyl methacrylate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아크릴레이트의 분산중합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Acrylate Monomers in Supercritical $CO_2$ using GMA-functionalized Reactive Surfactant)

  • 박경규;강창민;이상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4호
    • /
    • pp.256-262
    • /
    • 2010
  • [ $80\;^{\circ}C$ ] 346 bar 상태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내에서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와 glycidyl methacrylate을 중합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분산매에서의 중합을 위하여 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사용하여 glycidyl methacrylate를 monoglycidyl ether terminated PDMS에 결합시킨 glycidyl methacrylate linked poly(dimethylsiloxane)(GMS-PDMS)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였다. $CO_2$에서 합성된 Poly(alkyl acrylate)의 수율은 acrylate 단량체의 알킬기가 커질수록 낮아졌다. Poly(glycidyl methacrylate)와 poly(methyl acrylate)는 구형으로 만들어진 반면, poly(ethyl acrylate)와 poly(butyl acrylate)는 점성의 액상으로 합성되었다. Poly(glycidyl methacrylate) 입자의 수평균직경은 2.45 ${\mu}m$이며 입자 직경의 분포는 매우 좁았다. poly(methyl acrylate)의 수평균직경은 0.52 ${\mu}m$이며 입자크기는 bimodal로 분포되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중합된 poly(glycidyl methacrylate)와 poly(alkyl acrylate)들의 유리전이온도는 통상의 방법으로 중합된 poly(glycidyl methacrylate)와 poly(alkyl acrylate)의 유리전이온도보다 4~9 K 높게 측정되었다.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응력완화 (Stress Relaxation of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Copolymers)

  • 김남정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3호
    • /
    • pp.223-230
    • /
    • 2012
  • 응력완화 실험 곡선을 Eyring-Halsey 비뉴톤 모델의 이론식에 적용하여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유변학적 파라메타를 얻었다. 응력완화 실험은 용매기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유동 파라메타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들 시료의 유동 파라메타는 유동 단위의 자체확산, 유동점성, 유동 활성화 에너지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자외선 경화형 변성 (3,4-epoxycyclohexane)methyl 3,4-epoxycyclohexylcarboxylate 아크릴레이트의 합성 (Synthesis of UV-Curable Modified (3,4-epoxycyclohexane)methyl 3,4-epoxycyclohexylcarboxylate Acrylate)

  • 이종민;이환표;이상건;박형남;최광식;김도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9-205
    • /
    • 2017
  • In this study, (3,4-epoxycyclohexane)methyl 3,4-epoxycyclohexylcarboxylate acrylate was synthesized by reacting (3,4-epoxycyclohexane)methyl 3,4-epoxycyclohexylcarboxylate with acrylic acid to minimize hardening shrinkage and to improve heat resistance, which are known as disadvantages of photopolymers for 3D printing application. Urethane acrylate was synthesized by reacting 1,3,5-triazine-2,4,6-triamino alcohol, 2-hexylethyl acryl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without deteriorating the heat resistance. The physical properties before and after the synthesis of the acrylate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when the urethane acrylate was applied were investigated. The reaction progress of the composite was examined by FTIR and $^{13}C$ NMR. The heat deflection temperature, flexural strength, and surface hardness of the molding were measured. The curing behavior by Photo-DSC ultraviolet irradiation was also examined.

메틸프룩토시드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Methyl Fructoside Acrylate and Methacrylate)

  • 성덕용;김해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9-94
    • /
    • 2000
  • 메틸프록토시드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를 효소적 배당화법으로 합성한 결과,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배당화 전화율은 각각 78%나 93%이었으며, 연성콘택트렌즈용 의용고분자를 제조하기 위한 생체 친화성 단량체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아크릴에멀젼 점착제에 대한 기능성 단량체의 영향 (Effect of Functional Monomers o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of Acrylic Emulsion)

  • 최용해;강진규;이원기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1호
    • /
    • pp.1-10
    • /
    • 2009
  • Butylacylate (BA)와 2-Ethylhexylacrylate (2-EHA)를 토대로 하여 수성 아크릴 점착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경질성(rigidity)을 부여 하기 위하여 methyl methacrylate (MMA)를 부가 단량체로 사용하였다. 기능성 단량체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능성 단량체를 각각 1, 2, 3%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을 하였다. 2-acrylamido-2-methyl-1-propanesulfonate acid를 사용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가 접착물성이 가장 좋았다. Acrylic acid와 dimethyl-2-imidazlidon acrylate를 포함하는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는 물성은 좋으나 응집력이 약해 점착력 시험 중에 피착체로의 전이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acrylamido-2-methyl-1-propanesulfonate acid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접착력이 좋아졌으나 7 w% 이상에서는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 PDF

Effect of Poly(butyl acrylate)-Poly(methyl methacrylate) Rubber Particle Texture on the Toughening Behavior of Poly(methyl methacrylate)

  • Chung, Jae-Sik;Park, Kyung-Ran;Wu, Jong-Pyo;Han, Chang-Sun;Lee, Chan-Ho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22-128
    • /
    • 2001
  • Monodisperse composite latex particles with size of ca. 300 nm, which consist ofn-butyl acrylate as a soft phase and methyl methacrylate as a hard phase with different morphology, were synthesized by seeded multi-stage emulsion polymerization. Three types of composite latex particles including random-, core/shell-, and gradient-type particles were obtained by using different monomer feeding methods during semi-batch emulsion polymerization. Effect of poly(butyl acrylate)-poly(methyl methacrylate) rubber particle morphology on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rubber toughened poly(methyl methacrylate) was investigated. Among three different rubber particles, the gradient-type rubber particle showed better toughening effect than others. No significant variation of rheological property of poly(methyl methacrylate)/rubber blends was observed for the different rubber particle morphology.

  • PDF

비닐아세테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계 에멀젼 공중합과 등온 열분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Isothermal Analysis and Emulsion Co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Alkyl Acrylate)

  • 조대훈;최성일;설수덕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2호
    • /
    • pp.64-72
    • /
    • 2012
  • 비닐아세테이트와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에멀젼공중합에서 개시제인 ammonium persulfate (APS)의 농도, 보호 콜로이드인 poly(vinyl alcohol) (PVA)의 종류와 농도, 공단량체인 methyl acrylate (MA), ethyl acrylate (EA), n-butyl acrylate (BA)의 혼합비를 변화시켜 중합하였다. 제조된 poly(vinyl acetate-co-methyl acrylate) (PVAc/PMA), poly(vinyl acetate-co-ethyl acrylate) (PVAc/PEA), poly(vinyl acetate-co-n-butyl acrylate) (PVAc/PBA)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등온 열분해법으로 $100{\sim}200^{\circ}C$ 영역에서 구한 비닐아세테이트와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한 등온 열분해 활성화에너지는 PVAc/PMA > PVAc/PEA > PVAc/PBA이었으며, 플라스마 처리 전과 후의 접착박리강도는 PVAc/PMA > PVAc/PEA > PVAc/PBA의 순이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물 블렌드의 결정화 거동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Ethylene-Meth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Blend)

  • 성상엽;이종관;이광희;진병석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48-854
    • /
    • 2001
  • 무정형 고분자인 ethylene-methyl acrlate-glycidyl methacrylate 공중합체 (E-MeA-GMA)와 결정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의 블렌드에서 그라프트 반응에 따른 PET의 결정화 거동을 조사하였다. PET와 E-MeA-GMA간의 그라프트 반응 수준을 torque-rheometer, FT-IR, S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른 결정화 거동 변화를 DSC와 광산란 방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라멜라 수준의 결정구조를 소각 X선 산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