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sopor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9초

Studies on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Based on Mesoporous Activated Carbon

  • Meigen, Deng;Yihong, Feng;Bangchao, Yang
    • Carbon letters
    • /
    • 제6권2호
    • /
    • pp.86-88
    • /
    • 2005
  • Mesoporous activated carbon (AC) was prepared from aged petroleum coke through chemical activation. The AC has a specific surface area of 1733 $m^2/g$ and a mean pore diameter of 2.37 nm. The volume fraction of 2 to 4nm pores is 56.74%. At a current density of 10 mA/$cm^2$, a specific capacitance of 240 F/g is achieved representing the use factor of the surface area of 69.2%. And the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 (EDLC) based on the AC shows an excellent power performan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resence of high fraction of mesopores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C and enhance the power performance of EDLC based on the efficient surface area of the AC.

  • PDF

The Effect of Surface Area of Silicas on Their Reinforcing Performance to Styrene-butadiene Rubber Compounds

  • Ryu, Changseok;Kim, Sun Jung;Kim, Do Il;Kaang, Shinyoung;Seo, Go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1권2호
    • /
    • pp.128-137
    • /
    • 2016
  • The effect of the surface area of silicas on their reinforcing performance to styrene-butadiene rubber (SBR) compounds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the Brunauer-Emmett-Teller surface area ($S_{BET}$) as a parameter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licas was discussed compared to the mesopore volume, c value, oil absorption, and uptake of silane. The increase in $S_{BET}$ of silicas caused a considerable increase in Mooney viscosity, minimum torque, and hysteresis loss of the silica-filled SBR compounds, while significantly enhancing their abrasion property. These changes were explained by the attrition between the hydrophilic silica surface and the hydrophobic rubber chains. As expected, the change in $S_{BET}$ did not induce any remarkable changes in the cure, processing, tensile, and dynamic properties of the silica-filled SBR compounds because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rubber chains mainly determined these properties.

Non-Covalent Immobilization of Chiral (Salen) Complexes on HF-treated Mesoporous MFI-type Zeolite for Asymmetric Catalysis

  • Lee, Kwang-Yeon;Lee, Choong-Young;Kim, Geon-Jo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2호
    • /
    • pp.389-396
    • /
    • 2009
  • MFI structural zeolite (ZSM-5 or Sililcalite) was treated with HF solution to introduce mesoporous channels in the microporous crystals. Inner mesopore size could be controlled from 2.5 to 3.5 nm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HF solution. The pore structure of HF-treated MFI zeolite was studied by instrumental analysis. The active Co (III) salen complex monomers were successfully anchored non-covalently on the surfaces of mesoporous MFI-type zeolite. These heterogeneous catalysts could be applied in asymmetric ring opening of terminal epoxides by phenol derivatives. It showed very high enantioselectivity and yield up to 95% in the catalytic synthesis of optically active $\alpha$-aryloxy alcohol compounds.

주형 합성법을 통해 합성된 다공성 주석 산화물을 적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재 연구 (Template Synthesis of Ordered-Mesoporous Tin Oxide for Lithium-ion Battery Anode Materials)

  • 서경주;최재철;이용민;고창현
    • 전기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6-93
    • /
    • 2014
  • 5 nm의 중형기공(mesopore)을 지녔으며 5~7 nm 굵기의 산화주석($SnO_2$) 나노선 다발이 잘 정렬된 meso-$SnO_2$를 주형합성법을 이용해서 제조하였다. 또한 주형합성법을 변형시켜서 5~7 nm 굵기의 동일한 나노선 다발 사이에 존재하는 중형기공에 주형으로 사용되었던 실리카($SiO_2$)를 일부 남긴 meso-$SnO_2$와 실리카의 복합체인 meso-$SnO_2$/$SiO_2$도 제조하였다. X-선 회절, 질소흡착법,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서 meso-$SnO_2$와 meso-$SnO_2$/$SiO_2$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meso-$SnO_2$/$SiO_2$는 meso-$SnO_2$에 비해서 충방전시 발생하는 부피 팽창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으며, 순환전압전류곡선, 교류 임피던스 분석, 충방전 전압 Profile 변화를 통해 부피 팽창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수명 특성 측면에서는 구조 제어 효과가 미비하여, 향후 이를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폐타이어로부터 활성탄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from waste tire)

  • 김진욱;임기혁;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947-9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 열분해 잔류물(char)을 이용하여 활성탄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활성탄 제조는 고정층 석영관 반응기에서 수증기를 이용한 물리적 활성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주요한 실험 변수는 활성화 온도, 활성화 시간, 승온속도 및 활성화제의 주입량 등이다. 활성탄 제조 후 세공분포를 분석한 결과, 활성화 온도 $850^{\circ}C$, 승온속도 $5^{\circ}C$/min, 활성화 시간 3 hr의 조건에서 제조한 활성탄이 미세세공(micropore), 중간세공(mesopore) 및 거대세공(macropore)이 가장 많이 발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폐타이어 열분해 잔류물을 이용한 활성탄 제조의 최적 조건은 활성화 온도 $850^{\circ}C$, 활성화 시간 3 hr, 승온속도 $5^{\circ}C$/min, 활성화제 공급량 3 g $H_2O/char-g{\cdot}hr$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 조건에서 제조한 활성탄의 BET 비표면적은 $517.6m^2/g$, 총 세공부피 $0.648cm^3/g$으로 나타나 활성탄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화수소산과 스팀처리한 모더나이트상에서 진공가스유의 분해반응 (The Cracking Reaction of Vacuum Gas Oil on Mordenite Modified by HF and Steaming)

  • 이경환;하백현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925-937
    • /
    • 1996
  • 스팀처리된 모더나이트인 $SM_{6.5}$$SM_{6.5}$를 불화수소산처리한 경우($FM_a$) 그리고 $SM_{6.5}$를 불화수소산처리후 다시 스팀처리한 경우($FM_b$)인 세 형태의 변형된 모더나이트를 제조하였다. 이들 시료의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고정층 반응기에서 진공가스유의 촉매 분해반응을 실시하였다. 시료의 특성은 XRF와 XPS로 평균과 표면의 원소조성을 구하였고 XRD로 단위격자 상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질소가스의 흡/탈착에 의해 세공성을 구하였고 피리딘흡착에 의한 IR에 의해 표면의 산성질을 측정하였다. 낮은 실리카/알루미나비를 가진 $SM_{6.5}$는 산량은 많지만 세공용적중 85% 정도가 미세공이었다. $SM_{6.5}$를 불화수소산처리한 경우는 $SM_{6.5}$에 비해 산량은 감소하였지만 세공성은 우수하였다. 이 불화수소산처리된 것을 더욱 많은 중세공의 형성을 위해 다시 스팀처리한 경우는 탈알루미늄에 의해 산량은 급격히 감소하지만 미세공이 중세공으로의 전환에 의해 중세공은 급격히 발달되었다. 이들 촉매상에서 큰 분자인 진공가스유의 분해반응에 의해 얻은 전화율과 가솔린, 등유+경유 그리고 옥탄가가 높은 가지달린 방향족 화합물의 수율은 산량은 크지만 미세공 구조인 $SM_{6.5}$ 보다는 이를 불화수소산처리한 경우가 산량은 감소하였지만 세공성이 우수하여 향상되었으며 $SM_{6.5}$를 불화수소산처리한 것을 다시 스팀처리한 경우가 중세공경의 발달로 더욱 우수하였다. 이로부터 모더나이트상에서 큰 분자인 진공가스유의 분해반응은 반응물질의 세공내로 확산의 한계 때문에 세공구조의 영향이 큼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내 칠선계곡 탐방로의 회복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Restoration of Visiting Roads of Stream of Chilsun in Jirisan National Park)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3
    • /
    • 2010
  • To investigate the restoration procedure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t the surface of visiting road affected by rest-year 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visiting roads of stream of Chilsun in Jirisan. Mean soil strength in 20cm of soil depth was low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1.5-1.9 times in Site 2, 1.1-7.5 times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Site 1). Soil strength was recovered by the Rest-Year System in the national park. Mesopore rate (pF 2.7) in 0-15 cm of soil depth was high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1.2 times) than in the control. This indicates that mesopore rate is rapidly restoring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Pore space rate in 0-7.5 cm of soil depth was high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23.2% in Site 2, 23.6%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22.4% in Site 1). Pore space rate in 7.5-15 cm of soil depth was also high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22.9% in Site 2 and Site 3) than in the control (18.9% in Site 1). Soil pore space was remediable by the Rest-Year System. Bulk density in 0-7.5 cm of soil depth was low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1.674g/$cm^3$ in Site 2, 1.668g/$cm^3$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1.723g/$cm^3$ in Site 1). Bulk density in 7.5-15 cm of soil depth was low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1.785g/$cm^3$ in Site 2 and 1.721g/$cm^3$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1.721g/$cm^3$ in Site 1). Soil bulk density was decreased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of the national park. Amount of soil erosion was lower in the Rest-Year System areas ($0.017m^3$/km/yr in site 2, $0.023m^3$/km/yr in site 3) than in the control ($0.054m^3$/km/yr in site 1).

카올린나이트로부터 중기공성 ${\gamma}-Al_2O_3$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soporous ${\gamma}-Al_2O_3$ Prepared from Kaolinite)

  • 이광현;고형신;김윤섭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2호
    • /
    • pp.845-852
    • /
    • 2000
  • 국내산 kaolinite를 소성한 다음 실리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중기공성 ${\gamma}-Al_2O_3$를 제조하였다. $1000^{\circ}C$에서 24시간 소성된 kaolinite는 소량의 무정형 실리카와 ${\gamma}-Al_2O_3$으로 이루어진 스피넬 상의 미세구조로 전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공성 ${\gamma}-Al_2O_3$$25~90^{\circ}C$의 반응온도, 0.5~4h의 추출시간 및 1~8M의 KOH 농도범위에서 무정형 실리카를 선택적으로 용해하여 제조할 수 있었다. $90^{\circ}C$, 1시간 및 4M의 KOH 농도조건에서 얻어진 ${\gamma}-Al_2O_3$는 약 $40~80{\AA}$ 정도의 매우 좁은 하나의 기공크기 분포를 가지고 있었으며, mesopore의 기공이 많이 생성되었다. 비표면적은 $250\textrm{m}^2/g$이고, 총 기공부피는 $0.654\textrm{cm}^3/g$로 나타났다.

  • PDF

탄소 나노튜브 주형물질에 의해 제조된 메조 세공 SAPO-34 촉매상에서 경질 올레핀으로의 DME 전환 반응 (Conversion of DME to Light Olefins over Mesoporous SAPO-34 Catalyst Prepared by Carbon Nanotube Template)

  • 강은지;이동희;김효섭;최기환;박주식;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25권1호
    • /
    • pp.34-40
    • /
    • 2014
  • 메조 세공을 갖는 SAPO-34 촉매를 2차 주형 물질로서 탄소 나노튜브(CNT)를 이용한 수열 합성 방법에 의해 성공적으로 합성했으며, CNT 첨가량(0.5, 1.5, 2.5 및 4.5 mol%)이 촉매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합성된 촉매들은 X-선 회절 분석(XRD), 주사 전자 현미경(SEM), 질소 흡탈착 등온선 및 암모니아 승온 탈착($NH_3$-TPD)을 통해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촉매 중에서 1.5 mol% CNT를 첨가하여 제조된 SAPO-34 (1.5C-SAPO-34)가 가장 큰 메조 세공부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총 산점의 양도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CNT의 함량을 그 이상 첨가하여 제조한 촉매들의 경우 결정의 크기가 너무 작아 오히려 메조 세공의 부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된 촉매들의 dimethyl ether to olefins 반응에서 CNT 함량에 따른 촉매 수명과 경질 올레핀($C_2{\sim}C_4$)의 선택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1.5C-SAPO-34 촉매는 기존의 SAPO-34 촉매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경질 올레핀 선택도와 약 36%의 향상된 촉매수명을 나타났다.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땅밀림지의 지질 및 토양물리성의 변화 (The Geology and Variations of Soil Properties on the Slow-moving Landslide in Yangbuk-myun, Gyungju-si, Gyeongsangbuk-do)

  • 박재현;박성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2호
    • /
    • pp.216-223
    • /
    • 2019
  • 이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일원의 산지 땅밀림의 지질특성 및 땅밀림 후 변화되는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의 지질은 생성시대가 백악기의 경상누층군으로 주된 구성 암석은 흑색셰일이며, 동쪽으로는 석영 장석질 반암이 분포하고, 그보다 아래쪽은 제4기 연일층군 역암이 분포한다. 암석은 매우 풍화된 풍화암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어 땅밀림 지질로 나타났다. 땅밀림으로 무너진 최대 깊이는 12.0 m까지 붕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땅밀림 방향은 비탈면 하부는 $N46^{\circ}E$, 땅밀림지 상단부는 $N62^{\circ}E$로 절리 및 주향 방향으로 발생하였다. 땅밀림으로 교란된 토양에서는 토양깊이 20 cm 까지는 토양경도가 기록되지 않는 완전교란상태이었고, 토양깊이 25 cm~90 cm까지는 자연산림지 및 교란이 발생되지 않은 지역에 비해 토양경도는 1.4~-4.7배 낮게 나타났다. 또한 땅밀림지역의 토양용적밀도는 $1.24{\sim}1.29g/cm^2$로 자연산림지보다 각각 약 1.6배 높게 나타났다. 토양의 공극률은 51.5~53.3%로 자연산림지보다 각각 약 1.3~1.4배 낮았다. 흑색 셰일지역의 토양투수계수는 8.75E-06 cm/s, 토양의 조공극률은 9.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