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u preference by tast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3초

식초기반 소스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분석: IPA기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Vinegar-Based Sauce: Focus on IPA Skills)

  • 진양호;권혁성;배세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65-47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vinegar-based sauce and menu for foodservice institution and restaurant. To accomplish thi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adopted as the major research method by analyzing the overall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of vinegar-based sauc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all items except package design for importance and satisfaction (p<0.01). Highest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determined for taste and convenience, respectively. Price and additive belonged to quadrant 2, where level of importance is low but satisfaction is high. Preference and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p<0.05). Meat and seafood belonged to quadrant 2 where level of importance is low but satisfaction is high. Developing a variety of vinegar-based sauces that meet consumers' well-being needs is needed.

제주지역 고등학생의 기숙사급식 만족도 및 급식메뉴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foodservice satisfaction and menu preference of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in Jeju)

  • 김경자;채인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1호
    • /
    • pp.77-88
    • /
    • 2014
  • 본 연구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제주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기숙사급식 만족도와 급식에서 제공되는 메뉴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기숙사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고 기숙사 급식의 질적 향상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성별은 남자가 71.1%, 학년은 2학년 46.0%, 기숙사 거주기간이 2~3학기인 학생이 45.3%, 월평균 용돈은 3만원 미만이 39.0%, 동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이 68.3%로 나타났다. 방학 중 외식횟수는 한 달에 1~2회가 51.4%, 부모가 맞벌이를 하는 학생은 73.7%,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이 46.9%,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60.3%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기숙사급식 만족도에 있어서는 메뉴 품질에 대한 만족도 (3.26)보다 서비스 및 위생에 대한 만족도 (3.46)가 높았고, 메뉴 품질에 있어서는 주식 (밥)의 양 (3.70), 음식의 온도 (3.50), 음식의 신선도 (3.42), 음식의 맛 (3.14)의 순으로, 서비스 및 위생에 있어서는 급식 정보 제공 (3.66), 식당 분위기(3.53), 급식 위생 (3.48), 식사질서 지도 (3.43), 원활한 배식 (3.34), 조리종사자의 친절도 (3.33)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끼니별 급식 만족도는 저녁식사 (3.70), 점심식사 (3.50), 아침식사 (3.1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있어서는 아침식사의 경우 여학생의 만족도 (3.36)가 남학생의 만족도 (2.93)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1). 조사대상이 기숙사급식에서 제공받은 음식의 섭취량을 끼니별로 분석한 결과 저녁식사 (3.70), 점심식사 (3.50), 아침식사 (3.14)의 순으로 나타났고 점심식사와 저녁식사는 남학생의 섭취량 (각 4.12, 4.17)이 여학생 (각 3.72, 3.76)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p < .001).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기숙사급식에 대한 개선점에 있어서는 맛의 향상 (43.4%), 메뉴의 다양성 (31.0%), 배식량 증가 (17.4%), 급식위생 (3.8%), 급식환경 (3.3%)의 순으로 응답율을 보였고 남학생의 경우 맛의 향상 (49.2%), 메뉴의 다양성 (28.7%), 배식량 증가 (14.9%), 급식환경 (4.6%), 급식위생 (1.3%)의 순으로, 여학생은 메뉴의 다양성 (36.6%), 맛의 향상 (29.3%), 배식량 증가 (23.6%), 급식위생 (8.1%), 급식환경 (1.6%)의 순으로 나타났다 (p < .001). 조사대상의 주식류에 대한 기호도는 면류 (4.06), 일품음식류 (3.92), 밥류 (3.66)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밥류에 있어서는 검정쌀밥 (3.80), 일품음식류는 볶음밥 (4.05), 면류에 있어서는 스파게티 (4.21)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 및 찌개류에 대한 기호도는 갈비탕 (4.10), 김치찌개 (3.99), 된장찌개 (3.92), 순두부찌개 (3.79), 육개장 (3.78)의 순으로 나타났고 동태찌개 (2.72)와 북어국 (2.61)은 보통 이하의 기호도를 보였다. 조사대상의 부식류에 대한 기호도에 있어서는 찜류 (3.95), 튀김류 (3.87), 볶음류 (3.57), 김치류 (3.54), 구이류 (3.49), 조림류 (3.27)의 순으로 나타났고 무침류는 3점 미만인 2.89를 나타내 보통 이하의 기호도를 보였다. 메뉴 아이템에 있어서는 갈비찜 (4.24), 닭튀김 (4.23), 닭볶음 (4.19), 돈까스 (4.17), 탕수육 (4.10), 돼지고기볶음 (4.04)의 순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5점 만점에 대해 4점 이상을 나타냈으며, 콩조림 (2.94), 시금치무침 (2.94), 애호박무침 (2.89), 느타리버섯볶음 (2.84), 생선구이 (2.81), 마늘쫑무침 (2.69), 취나물무침 (2.67), 청경채 겉절이 (2.71), 톳무침 (2.65), 생선조림 (2.63), 건파래 무침 (2.59)은 5점 만점에 대해 3점 미만을 나타내 보통 이하의 기호도를 보여 생선이나 채소류보다 육류를 이용한 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후식류에 있어서는 쥬스류의 기호도 (4.52)가 가장 높았고 요구르트 (4.50), 생과일 (4.42), 빵류 (4.33), 우유 (4.08), 떡류 (4.0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빵류 (p < .05) 와 떡류 (p < .01)에 대해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메뉴 기호도는 기숙사급식 만족도 (r = 0.369), 메뉴 품질 (r = 0.348), 서비스 및 위생 (r = 0.344), 끼니별 급식 만족도 (r = 0.418), 제공된 음식 섭취량 (r = 0.220)과 정 (+)의 상관관계를 (p < .01), 기숙사급식 만족도는 메뉴품질 (r = 0.944), 서비스 및 위생 (r = 0.931), 끼니별 급식 만족도 (r = 0.707)와 다소 높은 정 (+)의 상관관계를 (p < .01), 메뉴품질은 서비스 및 위생 (r = 0.758), 끼니별 만족도 (r = 0.717)와 다소 높은 정 (+)의 상관관계를 (p < .01), 서비스 및 위생은 끼니별 급식 만족도 (r = 0.604)와 정 (+)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p < .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기숙사급식에의 의존도가 높은 기숙사생들이 영양적으로 균형 있는 음식을 섭취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병행되어야 하며 배식량 및 배식방법 등을 개선하고 다양한 조리법 및 이벤트 메뉴 등을 개발하는 등 학생들이 성장기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충남 지역 일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식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Eating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 정혜경;김미혜;우나리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6-18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university students feel as stress in their daily lif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and their eating habits. The subject are students enrolled at 'H' university in Asan. There are 801 students who response for this research.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 stress and eating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analyzed that the objects suffered stress most by 'schooling' and 'job complication.' Surveying the general eating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found that they do not eat meal regularly, i.e., 'average meals (40.9%)' and 'irregular meal(35.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regularity of meals between sexes. When it comes to overeating or voracity, male students answered 'sometimes(77.6%)' or 'often(22.5%)', but female students answered 'sometimes(66.2%)' or 'often(28.2%)', which means that female students are more frequent in overeating or voracity.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 is more than once a day 60.1% in female students and 47.3% in male students, which shows that the rate of female student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Survey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that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uffer and the regular meal, we found that both of them tend to eat meal irregularly if they are stressed. Comparing the stress for its factor, male students eat meal irregularly if they are stressed by 'schooling' and female students eat meal irregularly if they are stressed by 'figure.'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time spent for meal, it is found that while male students eat meal in a hurry when they are stressed by 'job affair', female students do so when they are stressed by 'home econom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snack and stress, both male and female tend to eat snack more frequently when they are stressed more. In general, males like the oily food more than male, but when students get stresses, females want to eat oily food than male.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preferential menu, males like green vegetables, sea food in the life get less stresses than others Females like a menu of meat get higher stress than others.

중국유학생의 한식 메뉴 선호도 및 기숙사 급식만족도 - 목포대 일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 (Preference for Korean Food and Satisfaction of Dormitory Foodservice by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 정현영;전은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83-289
    • /
    • 2011
  •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 한식메뉴 선호도와 급식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목포대학교에 재학중인 중국유학생 총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한식재료 총 40종의 기호도, 중국학생들의 식습관, 한국음식의 인지도와 선호도, 기숙사 급식실태, 급식서비스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자'가 90명(53.9%), 한국체류 기간은 '1학기 거주'가 97명(58.1%), 건강상태는 '건강함'이 80명(47.9%)임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음식에 대한 인식도로는 '맛이 담백'이 $3.36{\pm}0.95$점, 한국음식 식품군별 기호도는 고기류에서 '쇠고기'가 78명(46.7%), 생선류는 '갈치'가 48명(28.7%), 야채류에서는 '배추'가 39명(24.4%), 과일류는 '귤'이 82명(49.1%), 우유 및 유제품은 '흰우유'가 65명(38.9%) 등이 가장 높았다. 식습관 중 편식여부는 큰 차이가 없었고, 식사하는 이유로는 '공복감 해소'가 72명(43.1%)으로 가장 높았다. 한끼 식사량으로는 '적당하게'가 98명(58.7%), 식사를 거르는 이유로는 '시간이 없어서'가 81명(48.5%),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가족의 식습관'이 92명(55.1%), 식습관 중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는 '불규칙한 식사시간'이 67명(40.1%)으로 가장 높았다. 한식 메뉴별 인지도에서는 배추김치, 불고기, 깍두기, 삼겹살, 떡볶이, 갈비탕, 곰탕 순, 선호도에서는 불고기, 돼지갈비찜, 소갈비찜, 닭갈비찜, 삼겹살, 갈비탕, 닭도리탕 순이었다. 인지도와 선호도간의 차이검증 결과는 비빔밥, 떡국, 된장찌개, 김치찌개, 떡볶이, 잡채, 배추김치, 깍두기(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복죽, 비빔국수, 소갈비찜, 돼지갈비찜, 닭갈비찜, 생선매운탕, 곰탕(p<0.01), 호박죽, 불고기, 닭도리탕(p<0.05)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숙사 급식실태는 하루 중 식사 횟수로 '2회'가 79명(47.3%), 식사소요시간으로는 '10~20분 미만'이 109명(65.3%), 급식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의무식 규정이어서'가 62명(37.1%), 급식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맛이 없어서' 76명(45.5%)이 가장 높았고, 식사 시 가장 많이 남기는 음식종류로는 '김치류' 46명(27.5%)이 가장 높았다. 급식서비스 중요도에서는 '식기의 위생'이 $4.22{\pm}0.77$점, 만족도에서는 '식사 후 냅킨 거울 급수시설의 설비'에서 $3.64{\pm}0.8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검증 결과는 식당의 위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었다. 이와 같이 중국유학생들의 급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맛과 다양성을 추구하고 이를 반영하여 음식 맛을 개선하고 음식 맛을 돋을 수 있는 형태나 외관에 대해서도 만족할 수 있는 조리법을 개발하는 단체급식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지역 직영 중학교급식의 냉동가공식품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Utilization of frozen foods in directly managed middle school meal services in Daegu)

  • 최미자;이정인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70
    • /
    • 2011
  •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use of frozen convenience food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Daegu district. Objectives: These schools have directly managed school meal servic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45 students and 66 dieticians. The study involved a survey on food preference and quantity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and the frequency of use of frozen convenience food in the daily menu. Results: As the result, 50.0% of the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eat and poultry quantity from school meals(felt small), and 25.0% of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vegetables(felt much). The majority of students (50.7%) who were not satisfied with vegetables said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school food because of the taste. On the other hand, 36.6% said they were dissatisfied because they dislike vegetables in general. As for the use and frequency rate of frozen convenience food, the survey results were revealed in the order of dumpling 58.3% > processed meat 50.0% > chicken 50.0% > frozen marine food 40.4% > cuttlefish 30.3% > miscellaneous 26.3% > vegetable & potatoes 14.4%. It was found that many schools employing more than five workers did not use flour-based frozen foods in their menu. As for the use of the frozen processed food, many schools which had an average food cost of more than 1,700 Won were found to use frozen foods more than once a month. In addition, chicken was not used often at the schools whose average food cost was less than 1,500 Won while many schools, whose average food items cost was more than 1,500 Won, incorporated chicken into the menu once a month. Processed flour food [hot dog] was used often by schools whose average food cost was between 1,500 Won and 1,600 Won. As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frozen convenience foo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chicken in relation with the number of food service recipients. As a result, the use of frozen convenience food has been shown to be related with food cost, number of food preparers, and the number of school students.

  • PDF

부산 지역 전통음식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이 분석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Food by Generations in Busan Area)

  • 이복섭;박헌진;정진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14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세대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은 부산 지역에 소재하는 중학생, 고등학교, 대학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2008년 8월 1일부터 30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별로 전통음식을 선호하는 빈도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찾을 수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전통음식을 좋아하였으며, 반대로 젊은 층에서 전통음식을 좋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모든 세대에서 가장 좋아하는 식사 형태는 한식이며, 셋째, 가정에서 식사를 준비할 때 아버지를 위주로 하여 식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을 만드는 방법에는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좀 더 단순화시키고 표준화하여 조리하기 쉽게 하는 조리법이 필요하다. 부산 지역 한국음식의 세대별 차이의 개선점으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통음식의 맛 개발에서 전통음식은 발효음식의 냄새는 허브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모던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고, 또한 전통적인 방식도 식품의 재료를 현대식으로 교체와 조리 방법을 변화를 주어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지역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좀 더 균형 있는 표본의 선정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

경기 일부지역 중학생의 야식 섭취실태 (Night Eating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 조유진;김미현;김명희;최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00-3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 705명을 대상으로 야식 섭취형태, 야식 선택 시 고려사항, 야식 메뉴별 기호도 및 섭취빈도, 야식 섭취에 따른 식습관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야식 섭취상태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 1회 이상 야식을 한다는 대상자를 '야식군'으로 분류하였고, 전체대상자 중 야식군은 422명(59.9%)이었다. 야식을 먹는 주된 이유는 배가 고파서(79.1%)로 나타났으며, 야식을 먹게 되는 경로는 가족이 구입해서가 39.3%로 가장 높았고, 야식을 먹는 장소는 집이 96.2%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야식을 먹는 시간은 밤 10~11시가 40.3%로 가장 높았으며, 야식 대상자의 32.9%가 야식 후 1시간 이내에 잠자리에 들고, 야식을 먹고 난 후 다음날 아침의 변화에 대하여 69.2%가 변화가 없다고 답하였다. 야식 메뉴를 선택할 때 맛, 위생, 양 등의 순서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가 높은 야식 메뉴는 빙과류, 과일류, 치킨, 과일주스, 라면, 피자, 자장면 순이었으며, 섭취빈도가 높은 것은 과일류, 빙과류, 라면, 치킨, 요구르트, 과일주스 순이었다. 야식군은 비야식군보다 편식(P<0.01), 과식(P<0.01), 짜게 먹기(P<0.01), 불규칙한 식사시간(P<0.001)의 점수가 높아 식습관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조사대상 중학생의 약 60%가 주 1회 이상 야식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늦은 저녁 시간에 배고픔으로 인하여 가족과 함께 야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고, 야식 메뉴에 있어서도 탄수화물 및 지방이 주를 이루며 영양밀도가 낮은 메뉴들에서 기호도 및 섭취빈도가 높았다. 또한 야식군이 비야식군에 비해 식습관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 많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올바른 야식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야식에 대한 정의가 다소 불분명하고 여름 한 철에 조사되어 야식 메뉴가 한정적으로 제시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다양한 야식시간과 양 그리고 계절에 따른 야식 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구지역 고등학생의 학교급식서비스 공급 유형에 따른 석식만족도 조사 (A Study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Dinner by School Meal Service in Daegu)

  • 이은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7-291
    • /
    • 201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교급식서비스 공급유형에 따른 급식만족도를 비교해보기 위해 대구시내 석식 운영위탁 급식고등학교 133명과 운반위탁 급식고등학교 119명을 대상으로 총 252명(남학생 138명, 여학생 114)에게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을 실시한 결과 BMI는 남학생 68.1%, 여학생 41.2%가 정상인 반면에 남학생은 10.1%, 여학생의 경우 50.0%가 저체중으로 분류되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식 섭취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두 학교 모두에서 맛, 영양, 위생, 기호도의 순이었으며,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 가족이 가장 많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침결식은 여학생(17.5%)이 남학생(8.0%)보다 많았다. 학교급식(석식) 만족도는 운영위탁 급식 학교의 68.4%, 운반위탁 급식학교는 9.2%가 '만족한다'고 답해 급식형태별 만족도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만족한 경우 이유를 묻는 질문에서는 두 학교 모두에서 "음식의 맛'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나, 운반위탁 급식학교의 경우 '음식의 양'이 36.3%로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메뉴 만족도, 음식의 온도에 대한 만족도, 음식의 양에 대한 만족도에서 운반위탁 급식학교의 불만족도가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급식(석식) 서비스 만족도, 시설 위생 관련 만족도에 대한 조사에서는 모든 항목의 만족도에서 운영위탁 급식학교의 만족도가 높게 조사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급식(석식)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은 운영위탁 급식학교에서는 음식의 맛 25.6%, 식단의 다양성 21.1%, 위생상태 17.3%, 균형 잡힌 영양과 음식의 양이 각 10.5% 등이었으며, 외부운반 급식학교는 음식의 맛 62.2%, 음식의 양 17.6%, 위생상태 8.4%, 식단의 다양성 8.4%로 응답해 운영 위탁급식학교와 외부운반 위탁급식학교와의 석식 개선사항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위탁급식의 운영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운반위탁급식에 있어서 불만족한 응답이 많았다. 이는 운영형태에 따른 한계라고 판단하기보다는 민간위탁을 통한 학교급식서비스가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측정지표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정간편식 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의 요구도 및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A Study on Domestic Consumers' Need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Selective Attributes for Developing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 박성배;이현준;김혜영;황혜선;박대섭;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2-35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as well as it examined the consumers' needs and willingness to buy HMR products to explore the need for developing more HMR produc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domestic consumers living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s, in the age range from the 20s to the 50s, and who had experience in purchasing HMR products. From the 490 surveys retrieved, 472 (96.3%) valid surveys were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consuming HMR produc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247 respondents answered '1-3 times a month' (52.3%); 167 respondents stated '1-2 times a week' (35.3%). With respect to the reason of purchase, 'simplicity of the recipe' was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188 respondents (39.8%), followed by 'time efficiency' accounting for 172 respondents (36.4%). Analysis of the demand for bibimbap (mixed rice) HMR products showed that 'chicken bibimbap' had the highest preference with 5.32 points, followed by 'bulgogi bibimbap' (5.08 points), and 'kimchi bibimbap' (4.96 points). In the case of HMR products that need to undergo further development, 'low-sodium products' received the highest points of 5.41 points, followed by 'small packaged products' (5.05 points), and 'functional products' (4.98 points). The factor analysis of the 13 selective attributes showed that they can be divided into 3 factors. The IPA analysis of the selective attributes of HMRs showed 'hygiene', 'taste', 'easy to go packaging', 'convenience in intake', and 'accessibility' in the 1st quadrant. In the 2nd quadrant, 'price' and 'freshness' were shown as the factors. In the 3rd quadrant, 'easy to serve', 'familiar food menu', and 'consistent menu' were shown as the leading factors, and in the 4th quadrant, 'saving labor' was the only factor.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concludes that with respect to developing HMR products, there is a high demand for low sodium, low calorie, small packaged products; thus, showing the need to develop various HMR products for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developing HMR products that can maintain freshness at an affordable price.

냉동 가공 식품, 식품 표시 및 영양 표시에 대한 냉동 식품 산업 종사자와 비종사자의 인식 차이 조사 연구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Frozen Processed Food, Food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between Employees and Non-employees in the Frozen Food Industry)

  • 이민진;윤기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33-543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opinion, purchasing behavior, and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of frozen processed food between employees and non-employees in the frozen food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urvey study showed that the group working in the frozen food industry had a positive opinion of frozen processed food compared to the non-employee group who was not working in the food industry. The main reason for the positive opinion of frozen processed food was because it was convenient and easy to prepare while the main concern with consuming frozen processed food was that it was bad for one's health. The most popular menu was western style. Sixty one percent of employees in the frozen food industry preferred the microwave-cooking method, while only 37.9% of non-employees preferred the microwave-cooking method followed by cooking in boiling water (27.6%). There was a significant (p<0.001)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cooking method between these two groups. Most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ast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32.9% of the respondents selected 'sanitation/health' as the most serious concern for the consumption of frozen processed food. Both groups checked the food & nutrition label to verify the expiration date and the presence of food additives. The non-employee group recognized the need for nutritional information on total calorie, carbohydrate, protein, fat, saturated fat, cholesterol, minerals, vitamins, sodium, and fiber on the nutrition label of frozen processed fo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