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capacit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9초

문제해결자의 정신용량과 문제의 요구정신용량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ntal Capacity and Mental Demand on Problem Solving)

  • 안수영;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14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mental capacity and mental demand on problem solving. Two kinds of tests were used for this study. One was FIT 752 test which required general knowledge, the other was Ohm's law test which required domain specific knowledge. The items of each test had the same logical structure and content knowledge but had different sizes of mental dem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s mental demand of the items increased, the success rates decreased. The analysis of the hierarchical relation among items was that items with large mental demand were higher than those with small demand or at least the same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mental of an item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olving the problem. Effect of mental capacity on problem solv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 of required knowledge to solve. Mental capacity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olving the FIT 752 task which required general knowledge. On the contary, solving the task which required domain specific knowledge, the resul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ubjects' chunk size. The results of problem solving of the groups which had small chunk size were that mental capacity was appeared a significant factor. However, results of problem solving of groups which had large chunk size were that mental capacity was not.

  • PDF

의사능력에 기반한 후견제도와 정신건강복지법의 융합 - 북아일랜드 정신능력법[Mental Capacity Act (Northern Ireland) 2016]의 제정 과정과 그 의의를 중심으로 - (Fusion of the Guardianship System and Mental Health Law Based on Mental Capacity - Focusing on the Enact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ntal Capacity Act (Northern Ireland) 2016 -)

  • 유기훈
    • 의료법학
    • /
    • 제24권3호
    • /
    • pp.155-206
    • /
    • 2023
  • 의사결정능력이 저하된 자가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거부하거나 적절히 의사를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후견주의적·예방적 개입이 언제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규범적 판단이 쟁점이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정신의료에서의 비자의 입원의 경우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며, 국내에서는 전통적으로 '정신질환의 존재'와 '자타해 위험'을 주된 요건으로 하는 정신건강복지법에 근거하여 비자의 입원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2011년 민법 개정으로 민법상 후견제도를 통한 비자의 입원의 방식이 새롭게 도입되며, 국내의 비자의 입원은 형식상 이원화된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때, 후견제도를 통한 비자의 입원은 당사자에게 '의사결정능력의 저하'가 있고, 개입이 '당사자의 복리 증진'에 부합할 것을 실행의 요건으로 한다는 점에서 정신건강복지법에 근거한 비자의 입원과 그 목적과 성질을 달리한다. 정신적 능력이 저하된 당사자에 대한 비자의 입원이 이처럼 정신보건법을 통한 방식과 후견제도를 통한 방식으로 이원화되는 양상은 해외에서도 유사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대상자가 고령화되어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의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의 구분이 모호한 노인성 정신질환의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민법상 '최선의 이익-대리의사결정' 패러다임과 정신보건법상의 '사회방위-예방적 구금' 패러다임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법적 규율 영역에서 중첩되고 서로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이원화된 체계가 비효율적이고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는 지적이 이어졌으며, 나아가 '정신질환'이 있을 것을 근거로 하여 후견주의적·예방적 개입을 정당화하는 정신보건 법제의 비자의 입원 요건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당한 차별에 해당한다는 비판도 꾸준히 이루어졌다. 이에 해외에서는 '의사능력'을 기초로 후견제도와 정신보건 법제를 융합(fusion)하여, 능력이 저하된 개인에 대한 후견적·예방적 개입을 일관되게 규율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는 의사능력 저하자의 신체질환과 정신질환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동일한 체계 속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지 '정신장애'를 지니고 있다는 것만으로 차별적으로 대우하는 정신보건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능력을 기반으로 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을 융합(fusion)하여 정신의료 서비스 체계를 새롭게 재구성한 전 세계 최초의 사례인 영국 북아일랜드 정신능력법(Mental Capacity Act 2016)의 제정 과정과 구체적 작동방식을 분석하였다. 후견제도와 정신보건 간의 충돌의 문제를 1990년대부터 고민하여 최근 2016년 '의사능력' 이라는 단일하고 비차별적인 기준을 제시한 영국 북아일랜드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후견 및 정신보건 제도에의 함의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의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에 따른 과학탐구능력 (A Study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ccording to Mental Capacity and Cognitive Style of Elementary Students)

  • 임청환;남진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1-447
    • /
    • 1999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에 따라 과학탐구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구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5학년 2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과학탐구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학탐구능력 검사(TSPS), 정신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FIT(Figural Intersection Test), 인지양식을 측정하기 위한 잠입도형검사(GEFT) 등 3가지 지필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들의 정신용량이 클수록 과학탐구능력의 성취도가 높았다. 장독립적인 학생이 장의존적인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 (p<.05)하게 과학탐구능력의 성취도가 높았다. 그러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이 과학탐구능력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과학교육 연구에서 신피아제적 접근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과학 탐구과제의 수행에 인지 발달이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 PDF

The Effects of Mental Capacity and Size of Chunk of Problem Solver and Mental Demand of Problem on Science Problem Solving

  • Ahn, Soo-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030-1043
    • /
    • 2002
  •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sychology provides us a theoretical base from which we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human problem solving. On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problem solving of the two kinds of tasks (content free, content specific). And the other purpose was to find out the existence of critical situ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Even the items of tasks with the same logical structure and content knowledge could have different sizes of mental dem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ntal demand of the problem, and the problem solver's mental capacity, might be the main factors in problem solving. Critical situation of both a group and an individual existed in the tasks that need content free knowledge (FIT 752 task). But the critical situation of a group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dividual in the tasks that need content specific knowledge (electric circuit task).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chievement for each individual in the task that need content specific knowledge, the critical situation of an individual existed in problem solving, but the critical situation of a group was not existed by were summed up the individual results.

성년후견법률에 나타난 의사결정능력의 개념에 관한 연구 - 영국 정신능력법(Mental Capacity Act, 2005)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s of Legal Competence Concerning Adults Guardianship Acts)

  • 김문근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241-269
    • /
    • 2010
  • 본 연구는 그동안의 국내의 성년후견제도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간과되었던 의사결정능력과 관련한 주요 쟁점과 의사결정능력의 개념적 구성요소 및 평가와 판정절차에 관한 쟁점을 검토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모범적인 성년후견법률의 하나로 인정받는 영국의 정신능력법(Mental Capacity Act, 2005)이 의사결정능력의 개념과 평가절차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정신능력법은 의사결정능력을 의사결정대상과 환경, 시간적 맥락에 의존적인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정신능력법의 의사결정능력 평가 및 판정절차는 본인의 의사결정능력을 최대한 규명하기 위한 환경적 지원의 제공, 의사결정능력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고려, 의사결정의 중요성에 따른 의사결정능력 평가의 위계적 접근 등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성년후견법률 도입과 관련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풀이 방법에 따른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과정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Balancing Redox Equations by Senior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ental Capacity and Problem Solving Methdos)

  • 김충호;이상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3-363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풀이 방법에 따른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여 산화 환원 단원의 교수학습 지도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일반고 학생 79명과 과학고 학생 57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요량 검사,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 유형별로 학생들의 문제 풀이 실패 유형과 성공 유형을 추출하여 분석틀을 개발하고 개발한 분석틀에 의하여 정신용량과 풀이 방법에 따라 실패 사례와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나타나는 특징을 알아보았다. 일반고 학생들과 과학고 학생들 모두 산화 환원 개념 이해 정도가 낮을수록 미정계수법을 많이 선택하였으며 미정계수법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신용량이 클수록 문제 풀이의 성공률이 높았다. 또한, 산화 환원 개념 이해 정도가 높은 학생들은 산화수법이나 이온 자법을 더 많이 선택하였고 정신용량에 관계없이 문제 풀이의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풀이 과정을 분석한 결과 성공 유형은 산화 환원의 개념 이해 정도가 높고 풀이 방법에 관계없이 풀이 단계 수를 줄이 학생들이었다. 실패 유형은 물이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미정계수법을 선택한 학생들의 실패 유형은 계산 과정 중 틀린 경우, 미정방정식을 잘못 세운 경우 문제 풀이 과정중 고려해야 할 변인을 모두 고려하지 못한 경우 풀이 과정이 복잡하여 중단한 경우였다. 산화수법을 선택한 학생들의 실패 유형은 산화수를 잘못 결정한 경우 질량균형 또는 전하균형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였다.

문제에 포함된 조작단계수에 따른 문재해결 결과의 차이 (The Results of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Mental Demand of Items)

  • 안수영;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9-59
    • /
    • 1992
  • New-Piagetian theory has proposed that mental capacity and mental demand do a critical role in human cognitive processes. In this study, the students' mental capacity and the mental demand of the given problems were examined. The principal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chievement scores of subjects (3r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2n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3r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in the items of balance that needed specific content knowledge. But, in the Newton's 2nd law items that needed specific content knowledg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 ween3r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2nd, 3rd). According to increase of mental demand,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score appeared to decrease linearly. However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score didn't change untill they faced the items of critical mental demand. When mental demand was beyond critical mental demand,their score was decreased rapidly. (2) According to hierchical analysis of items, the more mental demand an item needed, the higher or at least the same hierachical item was. These results showed that mental demand was the main factor which decided diffculties of problem solving (3) It was possible for students to solve the newton's 2nd law item that had one or two more mental demand relative to balance beam item. Although the item needed the same mental demand.students recognized that the Newton's 2nd law items were easier than the balance beam items.

  • PDF

초등학교 학생들의 귀납-연역적 추론 능력과 정신 용량 및 보속 오류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ctive-Deductive Reasoning Ability and Mental Capacity and Perseveration Err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설한;정진우;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47-6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 solv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correlations between the functional mental capacity, the perseveration error and the Creature Card Task solving ability. To study this purpose, four categories were selected through pilot test. The sample consisted of 231, the 4th grade students and the 5th grade students in Inchon, Korea and selected 32 students among them. Three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Creature Card Task, FIT(Figural Intersection Test) and WCST(Wisconsin Card Sorting Test). Researcher interviewed 32 students about Creature Card Task solving strategies and tests with FIT, WCST.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reature Card Task solving strategies of the selected 4th & 5th grade students were different. Some students solved problems during individual interviews. 2. Creature Card Task solv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unctional mental capacity and the perseveration error.

  • PDF

Actoprotective effect of ginseng: improving mental and physical performance

  • Oliynyk, Sergiy;Oh, Seikw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144-166
    • /
    • 2013
  • Actoprotectors are preparations that increase the mental performance and enhance body stability against physical loads without increasing oxygen consumption. Actoprotectors are regarded as a subclass of adaptogens that hold a significant capacity to increase physical performance.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studying adaptogen herbs of genus Panax (P. ginseng in particular) and their capabilities as actoprotectors. Some animal experiments and human studies about actoprotective properties of genus Panax attest that P. ginseng (administered as an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hysical and intellectual work capacities, and the data provided suggests that ginseng is a natural source of actoprotectors. Preparations of ginseng can be regarded as potential actoprotectors which give way to further research of its influence on physical and mental work capacity, endurance and restoration after exhaustive physical loads while compared with reference actoprotectors.

지역 주민의 사회적 자본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ocial Capital of Local Residents: Focusing on Gyungsangnam-Do)

  • 장유미;염동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764-77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주민의 보편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주관적인 정신건강이 지역 주민들의 삶에 내재되거나 변화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인 신뢰, 사회참여, 네트워크역량, 지역사회의식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이다. 지역 주민의 삶의 질과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자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하듯이 사회적 자본의 축적과 변화가 지역 주민의 주관적인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2010년도는 지역사회의식만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도는 지역사회의식과 네트워크역량이 높을수록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점수도 높았지만, 사회참여는 참여가 많을수록 정신건강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2012년도는 지역사회의식과 네트워크역량이 높을수록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모든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가 높은 주민들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정신건강 점수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자본이 높은 주민들이 더 많았다. 사회적 자본 축적의 정도와 변화는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에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