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ccording to Mental Capacity and Cognitive Style of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에 따른 과학탐구능력

  • Published : 199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science process skills. mental capacity and cognitive styles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e study 264 fifth-grade students were sampled. The Test of Science Process Skills(TSPS) was used as a measure of science process skills. Figural Intersection Test(FIT) was used as a measure of mental capacity. Group Embedded Figure Test(GEFT) was also used as a measure of cognitive sty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cience processskills increases progressively as the mental capacity increases. The field independent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p<.05) science process skills than the field dependent ones.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mental capacity and cognitive styles on science process skill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may be evidence to argue that mental capacity and cognitive styles play a important role in develop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The present study provided a possibility of Neo-Piagetian approach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also showed an importance of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performance of science inquiry task.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에 따라 과학탐구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구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5학년 2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과학탐구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과학탐구능력 검사(TSPS), 정신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FIT(Figural Intersection Test), 인지양식을 측정하기 위한 잠입도형검사(GEFT) 등 3가지 지필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들의 정신용량이 클수록 과학탐구능력의 성취도가 높았다. 장독립적인 학생이 장의존적인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 (p<.05)하게 과학탐구능력의 성취도가 높았다. 그러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이 과학탐구능력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과학교육 연구에서 신피아제적 접근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과학 탐구과제의 수행에 인지 발달이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