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os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7초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 to Detect Citrus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from Citrus Melanose-like Symptoms

  • Choi, Cheol-Woo;Jung, Kyung-Eun;Kim, Min-Ju;Yoon, Su-Hyeon;Park, Suk-Man;Jin, Seong-Beom;Hyun, Jae-W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681-686
    • /
    • 2021
  •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melanose and melanoses-like symptoms with the naked eye because they appear similar. To accurately detect melanose symptoms caused by Diaporthe citri from melanose-like symptoms, we developed PCR-based specific primers Dcitri by align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D. citri with the ITS of Diaporthe cytosporella, Diaporthe foeniculin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otrytis cinerea, Alternaria citri, and Fusarium oxysporum found on citrus peel. PCR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 product was amplified in D. citri but not in other isolates including, C. gloeosporioides, B. cinerea, A. citri, F. oxysporum. In addition, specific products were observed in melanose symptoms caused by D. citri but not in melanose-like symptoms, such as copper-injury, sunscald, damages by yellow tea thrips, and pink citrus rust mite. Using the Dcitri primers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elanose caused by D. citri could be accurately distinguished from melanose-like symptoms.

Suppression of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on Citrus Leaves Pretreated with Bio-sulfur

  • Shin, Yong Ho;Ko, Eun Ju;Kim, Su Jeong;Hyun, He Nam;Jeun, Yong Chul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417-424
    • /
    • 2019
  •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is one of severe diseases in citrus, a major economic resource in Jeju island. To reduce the usage amount of organic synthetic fungicide, bio-sulfur was tested as an alternative chemical to control citrus melanose in the present study. Direct antifungal activity of bio-sulfur against D. citri was determined through in vitro experiment using artificial nutrient media. Disease severity of melanose on bio-sulfur pretreated citrus leaves was lower than that on untreated ones. To illustrate the mechanism of disease suppression by bio-sulfur, infection structures were observed with a fluorescen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fluorescent microscopic observation, most conidia rarely germinated. In addition, hyphal growth on leaves pretreated with bio-sulfur was inhibited compared to that on untreated ones.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s of bio-sulfur pretreated leaves, surfaces of most conidia were shrunk while hyphae were morphologically changed and frequently branched. Such microscopic observations were also found for leaves pretreated with a commercial fungicide Dithian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sulfur may be used to control citrus melanose as an environment friendly alternative to organic synthetic fungicides

식물근권세균 처리에 의한 감귤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방제 효과 (Suppression of Citrus Melanose on the Leaves Tre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after Inoculation with Diaporthe citri)

  • 고윤정;강소영;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31-337
    • /
    • 2012
  • 감귤 검은점무늬병은 감귤 재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병으로 감귤의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고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다른 감귤병과 마찬가지로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에는 주로 화학 농약이 사용된다. 최근 농약의 부작용 때문에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방제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귤 검은점무늬병균 Diaporthe citri에 항균효과가 있는 식물근권세균 TRH423-3, MRL408-3, THJ609-3, TRH415-2을 선발하였다. 이들 세균의 감귤 검은점무늬병에 방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감귤 잎에 전 접종한 후 감귤 검은점무늬병균을 접종하였다. 선발된 모든 식물근권세균이 감귤 검은점무늬병에 대해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방제 정도는 식물근권세균의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감귤 검은점무늬병균을 접종한 후 추가로 식물근권세균을 접종하였더니 모든 처리구에서 방제 효과가 증진되었다. 한편, 식물근권세균 rDNA의 internal transcript spaces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MRL408-3와 TRH423-3은 Burkholderia gladioli로, TRH415-2은 Pseudomons fluorescens로 그리고 THJ609-3은 Pseudomonas pudia로 동정되었다. 이들 선발된 식물근권세균은 화학적 방제 수단의 적용이 제한된 친환경 감귤 재배지에서 가치 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 황의 노지 감귤 검은점무늬병 및 귤응애에 대한 효과 (Effects of Using Bio-Sulfur on Open Field Citrus Melanose (Diaporthe citri) and Panonychus citri)

  • 오명협;박원표;현해남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997-1002
    • /
    • 202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co-friendly chemical bio-sulfur, on the citrus melanose-causing pathogen, Diaporthe citri, and on the pest, Panonychus citri. In an open field experiment with a plot-scale application of the chemicals: Mancozeb, lime sulfur, lime sulfur + machine oil, and bio-sulfur, the control group showed 70.6% disease severity compared with 10.3% for the Mancozeb-treated group. Among the eco-friendly treatments, disease severity was the lowest for the group treated with lime sulfur + machine oil (32.2%) and was 53.9%, 58.8%, and 58.1% following treatment with lime sulfur, and bio-sulfur diluted 500 and 1000 times,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diseased fruit showed similar results, suggesting that bio-sulfur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lime sulfur. Three days after treatment acaricidal effects on P. citri showed a 197.6% control survival rate whereas the machine oil, and bio-sulfur diluted 500 and 1000 times treatments showed rates of 2.9%, 5.8%, and 9.0%, respectively. After three days, the control value for bio-sulfur diluted 1000 times was 73.2% compared with the values for the machine oil (96.4%) and bio-sulfur diluted 500 times (94.6%) treatments. Therefore, we suggest that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combined application of bio-sulfur and oils to enhance the additive control effect on citrus melanose and Panonychus citri.

감귤 검은점무늬병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근권 세균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Rhizo-bacterium Inhibiting Diaporthe citri Causing Citrus Melanose)

  • 남명흔;신진호;최재필;홍석일;김영권;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2-335
    • /
    • 2009
  • 유기농 인증을 받아서 3년 이상이 경과한 농가의 토양을 수집하여 근권 세균을 450균주 분리하였고, 여러 가지 식물 병원균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는 세균 KB-401 균주를 선발하였다. KB-401 균주는 특히 감귤 검은점무늬병균(Diaporthe citri)의 균사 생장과 포자 발아를 억제하며, 발아하는 포자에 처리하였을 때 발아관의 선단이 팽윤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균주는 생리적인 특성과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전남지역 유과자원에서의 검은점무늬병 발생 양상 (Aspect of Occurrence of Melanose (Diaporthe citri Wolf) on Yuzu Trees (Citrus junos Sieb) in Jeonnam Area, in Korea)

  • 허길현;박서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15
    • /
    • 2005
  • 전남 고흥과 보성지역 재배과원에서의 유자 검은점무늬병 발생 실태를 1997년과 198년에 조사하였다. 잎의 경의 1997년에는 5월 하순, 1998년에는 5월 상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 가장 높은 발병도를 나타냈고, 과실의 경우 1997년에는 7월 상순, 1998년에는 6월 하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8월 상순에 가장 높은 발병도를 나타냈다. 잎의 경우 1998년에 20여일 더 일찍 발생한 것은 4, 5월의 더 높은 평균 기온과 관련이 있었고, 6월 하순에 피해가 더 컸던 것은 6월의 강우량 및 상대습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 병은 수령이 20년된 과원에서 가장 심하게 발생하였고, 수령이 낮은 과원일수록 적게 발생하였다.

파라핀유와 혼용 살포에 의한 만코제브 수화제의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 효과 증진 (Improvement of Control Efficacy of Mancozeb Wettable Powder against Citrus Melanose by Mixing with Paraffin Oil)

  • 이평호;현재욱;황록연;김광식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196-200
    • /
    • 2014
  • 본 연구는 파라핀유 첨가가 감귤 과실 표면에서의 만코제브 수화제의 내우성 증대에 대한 효과와 검은점무늬병 방제 효과 증진 여부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인공강우를 0시간, 5시간, 10시간 처리한 후 과실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만코제브 양을 분석한 결과, 강우 처리 10시간 후에는 만코제브에 파라핀유 0.1%를 혼용 처리한 구에서 과실 표면에 부착된 만코제브 함량이 $7.43{\mu}g/cm^2$으로 가장 많았다. 노지에서 재배하고 있는 온주밀감 나무에 만코제브 0.2%, 만코제브 0.2% + 파라핀유 0.1%, 만코제브 0.2% + 파라핀유 0.25% 그리고 만코제브 0.2% + 전착제를 살포하고 1일, 15일, 25일 후 과실을 채취하여 과실 표면에 부착된 만코제브 양을 조사해 본 결과, 2009년과 2010년 시험 모두 처리 1일, 15일, 25일 후 0.2% 만코제브 수화제에 파라핀유 0.1% 또는 0.25% 혼용하여 살포한 구에서 부착된 만코제브 가장 양이 많았다. 파라핀유를 혼용하여 살포하였을 경우 만코제브 수화제의 감귤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방제 효과 증진 여부를 조사해 본 결과, 2009년의 경우 만코제브 0.2%에 파라핀유 0.1% 또는 0.25%를 각각 첨가하여 5회 살포한 구에서의 발병도가 만코제브 0.2%만 처리한 구 보다 낮았으며 만코제브 0.2%를 6회 살포한 구의 발병도와 비슷하였다. 2010년, 2012년의 경우도 만코제브 0.2%만 처리한 구보다는 만코제브 0.2%에 파라핀유 0.1% 또는 0.25% 첨가한 구에서 발병도가 낮았다. 따라서 감귤 재배 농가에서 검은점무늬병 방제를 위하여 만코제브에 파라핀유 0.1%를 혼용하여 살포하면 훨씬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apid Identification of Diaporthe citri by Gene Sequence Analysis

  • Zar Zar Soe;Yong Ho Shin;Hyun Su Kang;Mi Jin Kim;Yong Chull Jeun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30-136
    • /
    • 2023
  • Citrus melanoses caused by Diaporthe citri, has been one of the serious diseases in many citrus orchards of Jeju Island. To protect melanose in citrus farms, a fast and exact diagnosis method is necessary. In this study, diseased leaves and dieback twig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9 farms within March to April in 2022. A total of 465 fung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a total of 358 isolated plant samples. Among these fungal isolates, 40 representatives of D. citri isolates which were isolated from 22 twigs and 18 leaves on 23 farms were found based on cultural characteristics on potato dextrose agar and conidial morphology. Additionally, the molecular assay was carried out and compared with those by morphological diagnosis. Al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D. citri by analyzing the sequences at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DNA region using primers of ITS1/ITS4 or at β-tubulin using primer Btdcitri-F/R. Therefore, based on the present study, where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conidial type were consistent with DNA sequence analysis of certain gene, choosing a suitable method for a fast diagnosis of citrus melanose was suggested.

감귤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검은점무늬병균 Diaporthe citri의 균학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Causal Fungus of Citrus Melanose, Diaphorthe citri Isolated from Blighted Twigs of Citrus in Jeju)

  • 권혁모;남기웅;김광식;김동환;이성찬;현재욱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53-158
    • /
    • 2003
  • 제주도 감귤원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검은점무늬병의 발병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병원균의 분리동정과 병원성을 조사하였다. 감귤의 마른가지로부터 분리된 병원균은 불완전세대인 Phomopsis citri(완전세대 Diaporthe citri)로 확인되었다. 각 지역 감귤원에서 수집분리한 18개 균주의 분생포자각의 크기는 11.2~614.4${\mu}m$ 범위로 평균 크기는 328.8${\mu}m$였으며 균주별로 크기가 다소 상이하였다. 병포자는 ${\alpha}$포자와 ${\beta}$포자 2종류가 관찰되었으며 ${\alpha}$포자는 무색 단포로 타원형이었고, ${\beta}$포자는 무색 단포로 사상형이며 활처럼 약간 구부러졌고 대개의 경우 한쪽 끝이 휘어 있었다. 크기는 ${\alpha}$포자가 평균 6.7 ${\times}$ 2.3${\mu}m$ 였고, ${\beta}$포자는 22.1 ${\times}$ 1.0${\mu}m$ 였다. 균주별 병원성 검정결과 모든 균주에서 검은점무늬병의 발병이 확인되었으며 균주에 따라 병원성의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