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ju fermentation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된장의 발효과정(醱酵過程)에 따른 N-Compounds의 소장(消長)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of N-Compound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he Korean Daenjang)

  • 윤일섭;김현오;윤세억;이갑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37
    • /
    • 1977
  • 양질(良質)로 인정되는 재래식(在來式)메주 1개군(個群)과, 대두(大豆)만의 원료(原料)와 B. subtilis sp. 단일균(單一菌)으로 만든 개량(改良)메주 1개군(個群), 및 대두(大豆)와 소맥(小麥)의 혼합원료(混合原料)(7 : 3)를 A. sojae로 만든 개량(改良)메주 1개군(個群)등 3종(種)의 메주시료로 된장을 담가서 90일간 발효시키면서 pH, 단백질분해효소력(蛋白質分解酵素力) 및 각종 질소화합물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된장발효중의 pH변화(變化)는 공통적(共通的)으로 담금당시에는 $pH6.45{\sim}6.75$로 부터 담금 후 30일 만에 약산성(弱酸性)인 $pH4.85{\sim}5.20$으로 되어 이 후 90일 경과하기까지 변화(變化)없이 일정치(一定値)를 유지하였다. 2. 단백질분해효소력(蛋白質分解酵素力)은 3가지 시료가 공통적(共通的)으로 담금초부터 계속 증가하여 30일 경과 후 147(J), 112(K), 및 52(L)로써 최고치를 보였다가 점차로 감소(減少)되어 재래식(在來式)메주 J 와 개량식(改良式)메주K는 발효 20일부터 각각(各各) 23.5, 20.5로 되고 개량식(改良式)메주L은 40일부터 18.0으로 되어 90일까지 거의 변화(變化)가 없었다. 또한 재래식(在來式)메주 J 와 개량식(改良式)메주K는 pH7.0에서 가장 활성(活性)이 컸으며 개량식(改良式)메주L은 pH10.0에서 활성(活性)이 가장 컸다. 3. PAA-N은 3가지 시료가 모두 거의 같은 비율로 점증하였다가 시료 J 와 K 는 발효 60일 만에 1.55%, 1.49%로써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내고, 시료 L은 80일 만에 1.28%로써 최고치가 되어 90일까지 지속(持續)되었다. 4. amino-N의 발효과정중의 소장(消長)은 시료(試料) J 의 경우 발효 50일 만에 0.36%로써, 시료(試料) K 와 L은 40일 만에 0.29와 0.21%로써 최고치를 나타냈다가 점차 감소하여 90일 후에는 각각(各各) 0.28%, 0.20% 및 0.14%로 되었다. 5. Ammonia-N은 B. subtilis sp. 단일균으로 발효시킨 시료(試料)K에서 을 생성량(生成量)이 가장 많았고, 소맥(小麥)을 혼용(混用)하여 Asp. sojae로 발효시킨 알메주시료 L이 가장 적었다. 6. Peptide-N은 시료(試料) J는 담금초의 0.49%에서 발효 20일까지 약간 증가되어 0.51%로 되었다가 30일 만에 0.39%로 최소치를 이루었고 다시 증가(增加)되어 90일 만에 0.64%로 되었다. 시료(試料)K는 담금 초에 0.83%에서 발효 10일 간에 0.85%로 증가되었고 점점 감소되어 40일 만에 0.73%까지 되였다가 다시 점증(漸增), 90일 만에는 0.82%를 보였다. 또한 시료(試料)L은 담금초에 0.60%에서 발효 10일 만에 0.74%로 증가되었다가 점감되어 0.62%로 최소치(最少値)를 이루었고 다시 증가되어 90일 만에는 0.86%가 되었다. 7.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는 60일이면 거의 완료(完了)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낱알형 개량메주의 품질수명에 관하여 (Studies on the Shelf-life of the Grain Shape Improved Meju)

  • 박충균;남주현;송형익;박학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76-883
    • /
    • 1989
  • 품질평가의 지표가 되는 메주의 성분 및 그 기준과 낱알형 개량메주의 품질수명을 측정할 목적으로 낱알형 개량메주를 제조하고 포장상태와 비포장상태로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메주의 성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저장기간을 달리하여 간장담금을 한 후 90일간 숙성시키면서 숙성기간 중 간장덧액의 성분변화와 관능시험을 통하여 개량메주의 저장기간이 간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개량메주의 저장 중 총 질소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수분함량, amylase 역가 및 protease 역가는 감소하였고 $NH_2-N$ 함량과 $NH_3-N$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들 중 저장기간 중에 변화가 큰 성분은 $NH_2-N$ 함량과 protease 역가였으나 간장발효의 가장 중요한 효소인 protease가 보다 좋은 지표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주의 pretense 역가와 그 메주로 담근 간장의 품질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메주의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간장의 품질이 저하되었다. 낱알형 개량매주의 품질은 protease역가로 평가하였을 때 저장 15일된 메주가 가장 좋았으며 그 이후에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메주의 품질이 저하되어 저장 90일 이후에는 비포장과 포장상태의 상대역가가 저장초기에 비하여 50%, 49%, 180일 이후에는 48%, 41%로 각각 감소함으로써, 메주의 품질수명 한계를 상대역가 50%(200O.D. at 660nm/g)로 정할 경우 낱알형 개량메주의 품질수명은 90일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본 실험조건하에서는 메주의 품질 및 간장덧액의 기호도 측면에서 포장상태 저장이 개량메주의 품질향상에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Genetic Diversity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s from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s

  • Lee, Jong-Hoon;Shin, Donghun;Lee, Bitnara;Lee, Hyundong;Lee, Inhyung;Jeong, Do-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5호
    • /
    • pp.916-924
    • /
    • 2017
  • Eighty-five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s collected from animals (40 isolates), meju (a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 27 isolates), humans (10 isolates), and various environmental samples (8 isolates) were subjected to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to identify genetic differences between samples of different origins. MLST analysis resulted in 44 sequence types (STs), and the eBURST algorithm clustered the STs into 21 clonal complexes (CCs) and 17 singletons. The predominant STs, ST695 (21.1%, 18/85) and ST694 (9.4%, 8/85), were singletons, and only contained isolates originating from meju. None of the STs in the current study belonged to CC2 or CC9, which comprise clinical isolates with high levels of antibiotic resistance. The E. faecalis isolates showed the highest rates of resistance to tetracycline (32.9%), followed by erythromycin (9.4%) and vancomycin (2.4%). All isolates from meju were sensitive to these three antibiotics. Hence, MLST uncovered genetic diversity within E. faecalis, and clustering of the STs using eBURST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the genotypes and origins of the isolates.

재래식 메주의 미생물군, 효소역가 및 유용 균주의 분리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y of conventional Meju, and isolation of useful mould)

  • 최성현;이미현;이석건;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88-196
    • /
    • 1995
  • 장류제조에 유용성이 높은 곰팡이를 분리할 목적으로 재래식 메주를 수집하여 aflatoxin 생성 유무를 확인하고 재래식 메주의 미생물 분포와 효소 역가를 측정한 후 효소역가가 높은 균주로 Aspergillus oryzae O4-5를 분리 선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994년 12월에서 1995년 2월 사이에 전국 각 지역에서 수집한 메주 중의 mycotoxin 생성을 검출하기 위하여 EZ-Screen Test Kit와 HPLC에 의해 분석한 결과 aflatoxin은 검출되지 않았다. 2. 메주 중의 곰팡이 수는 $1.3{\times}10^4-2.8{\times}10^6CFU/g$ 이었으며 효모수는 $1{\times}10^2-1.5{\times}10^6CFU/g$으로 시료별 차이가 대단히 컸다. 또한 호기성 세균수는 $2.0{\times}10^7-8.0{\times}10^7CFU/g$, 혐기성 세균은 $3.0{\times}10^6-7.3{\times}10^8CFU/g$ 이었다. 3. 메주 19 중의 ${\alpha}$-amylase는 5 - 80 units, gluco-amylase는 2 - 34 units로 지역별 메주 간의 차이가 심하였다. 4. 메주 1g 중의 산성 protease, 중성 protease 및 알칼리성 protease 역가는 5 - 33 units, 5 - 302 units 및 5- 363 units였으며 시중제품인 D회사의 개량메주는 산성 protease가 66 unitts로 재래식 메주 보다 높았다. 5. 재래식 메주로 부터 amylase와 protease가 높아 유용성이 높은 CNU O4-5는 Aspergillus oryzae로 동정되었다. 6. 우수 균주인 CNU O4-5균주의 산성 및 중성 protease는 장류공업에서 실제 이용하고 있는 Aspergillus oryzae JM 보다 10%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amlylase 역가는 비슷 하였다.

  • PDF

한국 재래식 메주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 손양도;최춘언;안봉전;손규목;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26-232
    • /
    • 1985
  • 재래식메주의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은 분리하였으며 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지방산 함량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지한 콩과 삶은콩으로부터 얻은 조지질의 분획은 중성지질이 각각 92.47%, 92.35%이었으며, 인지질 및 당지질이 4.64%, 4.88%로 각각 나타났나. 발효과정중 중성지질은 80.59%까지 감소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2. 침지한 콩과 삶은콩의 비극성 지질에서 triglyceride함량은 89.66%, 87.83%로 주류를 이루었고, sterol ester, free fatty acid, diglyceride 및 sterol이 발효과정중 그 함량이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는 크게 감소했다. 3. 침지한 콩과 삶은콩에서, 조지질, 증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54{\sim}58%$, oleic acid $22{\sim}20%$, palmitic acid $10{\sim}12%$, stearic acid $3{\sim}5%$였으며 myristic acid는 trace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과정 중 당지질에서 myristic acid가 발효 2주때 부터 나타나며 약 2%정도를 유지했다. 4. 메주 발효기간 동안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2주째 부터 점차 감소했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약간씩 감소했으며, linolenic acid는 인지질에서 크게 감소한 반면, 조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는 약간씩 증가했다. 5. 발효기간 동안 당지질 분획에서 myristic acid가 증가하였으며,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은 3주째 최대치를 보였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는 3주째 까지 증가한 후 차차 감소하였고 linoleic acid는 1주째 부터 6주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Mycoflora of Soybeans Used for Meju Fermentation

  • Kim, Dae-Ho;Kim, Seon-Hwa;Kwon, Soon-Wo;Lee, Jong-Kyu;Hong, Seung-Beom
    • Mycobiology
    • /
    • 제41권2호
    • /
    • pp.100-107
    • /
    • 2013
  • Diverse fungi are present in Korean traditional meju and they ar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To determine the origin of the fungi in meju, we examined the mycoflora of soybeans from 10 traditional meju factories. The samples were untreated or treated with sodium hypochlorite, and placed on malt extract agar (MEA), dichloran 18% glycerol agar (DG18), and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 (DRBC) medium. A total of 794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and they were identified as 41 genera and 86 species. From sodium hypochlorite untreated soybeans, the genera, Cladosporium (55%), Eurotium (51%), Fusarium (33%), Penicillium (22%), and Aspergillus (exclusion of Eurotium) (20%), were mainly isolated, and Eurotium herbariorum (22%), Eurotium repens (18%), Cladosporium tenuissimum (18%), F. fujikuroi (18%), Aspergillus oryzae/flavus (7%), and Penicillium steckii (6%)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In case of sodium hypochloritetreated soybeans, Eurotium (31%) and Cladosporium (5%) were frequently isolated, but Aspergillus (excluding Eurotium), Penicillium and Fusarium which were frequently isolated from untreated soybeans, were rarely isolated. Eurotium herbariorum (21%), Eurotium repens (8%), and Cladosporium tenuissimum (3%)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Of the 41 genera and 86 species isolated from soybeans, 13 genera and 33 species were also found in meju.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ungi on soybeans may influence the mycoflora of meju.

과일과 전통발효제로부터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비교 특성 (Characteristics of Crude Protease from Fruits and Traditional Korean Fermentation Starters)

  • 유선아;서승호;현서연;손홍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461-146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일(무화과, 키위, 파인애플)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와 전통발효제(개량누룩, 전통누룩, 메주, 입국)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전통발효제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는 과일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조효소보다 높은 온도($70^{\circ}C$), 높은 염 내성(1~3%), 그리고 낮은 pH(3~6)에서 활성을 보였다. 같은 조건에서 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바이오 누룩>입국>전통누룩>무화과>파인애플>메주>키위 순으로 활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과일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보다 전통발효제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 조효소의 활성이 우수하고 고온, 산성, 그리고 염의 조건에서도 활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소시지나 치즈 제조 등의 다양한 식품산업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메주 형태와 Starter 첨가에 따른 쌀된장의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doenjang during Fermentation by Differently Shaped Meju and Adding Starter)

  • 이선영;박나영;김지연;최혜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05-512
    • /
    • 2012
  • 된장은 콩을 주원료로 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발효, 숙성식품으로 식생활에서 주요 단백질 섭취원이자, 조미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해왔다. 쌀된장은 쌀을 첨가한 전통된장으로 전통장류와 메주에서 분리한 효소활성 및 항균효과 우수균주 B. subtilis(HJ18-4), A. oryzae(MD05)를 starter로 이용하여, 흩임메주(Rice 1), disc형 메주(Rice 2), 일반육면체메주(Rice 3)로 제형을 달리한 쌀된장의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기간에 따라 아미노태 질소, 암모니아태 질소, 환원당 함량, protease 활성, ${\alpha}$-amylase활성, 총 균수, 유산균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의 변화는 Rice 3이 21일까지 34.10~199.70 mg%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Rice 1이 639.29 mg%로 가장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0.024~0.498%로 실험군별 큰 차이는 없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은 Rice 2 및 3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95.55~95.92 unit/g으로 높았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alpha}$-Amylase 활성은 Rice 2, 3이 발효 14일째 36.65~341.27 unti/g으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쌀된장의 숙성기간에 다른 총 균수 측정 결과 발효기간 동안 일정하였으며 Rice 1이 42일째 $4.2{\times}10^8$ CFU/g으로 가장 높은 총 균수를 나타내었다. 유산균수는 발효기간 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B. subtillis와 A. oryzae를 접종하고, 메주 형태가 Rice 3(2,000 g, $20cm{\times}15cm{\times}5cm$)으로 제조 시 아미노태 질소, 암모니아태 질소 및 효소활성 측정 결과, 품질특성이 가장 좋았음을 알 수 있었다. 쌀된장의 숙성기간 동안 품질특성이 가장 좋은 Rice 3의 유기산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citric, lactic, succinic, fumaric, malic acid가 동정되었다. 이들 유기산 중 citric acid과 lactic acid의 함량이 각각 1,190.1 및 517.28 mg/kg 순으로 가장 높았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1,959.88 및 1,085.00 mg/100 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eucine, lysine, val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효소활성이 우수한 균주로 활용된 쌀된장의 제조에 있어서 제형별 특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