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al plant

검색결과 3,137건 처리시간 0.035초

야생 호밀 염색체 첨가 밀 계통의 단백질 발현 양상 비교 분석 (Identification of the Protein Function and Comparison of the Protein Expression Patterns of Wheat Addition Lines with Wild Rye Chromosomes)

  • 이대한;조건;우선희;조성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4호
    • /
    • pp.373-383
    • /
    • 2019
  • 야생 호밀 염색체 첨가 계통의 단백질 발현 양상을 보통 밀과 비교함으로써 발현의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의 기능을 동정함으로써 야생 호밀의 작물학적 유용 가치를 확인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야생 호밀 염색체 첨가계통은 보통 밀의 유전적 배경을 바탕으로 건조와 열에 대한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관련 단백질과 바이러스성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 관련 단백질 및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는 생리대사에 관련된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아직 야생 호밀의 단백질 기능에 대한 정보와 작물학적 이용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앞으로 국내 야생 호밀의 유용 유전자원으로써의 작물학적 이용과 기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큰까치수영의 항산화 및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Inhibitory Activiti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 Lysimachia clethroides Duby)

  • 방진기;성낙술;이승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65-269
    • /
    • 2004
  • 생리활성 보유 식물자원 발굴 및 이용을 위해 큰까치수영 지상부에 대한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을 검정하였으며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이 2.62%, 물 추출물이 0.23%였고 메탄올 추출물에서 얻어진 용매별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차세테이트 분획이 37.76%로 가장 함량이 높았다. Linoleic acid 자동산화에 대한 저해효과는 메탄올 추출물이 반응 6일째에 83%이상의 저해율을 보여 ${\alpha}-tocopherol$의 -2%보다 탁월하게 우수였으며 각 분획물 중에서는 핵산 및 에텔 분획이 매우 효과적으로 자동산화를 저해하였다. Superoxide anion 라디칼에 대헤서는 큰까치수영의 메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5{\sim}200\;{\mu}g/ml$의 농도에서 $86{\sim}109%$$96{\sim}122%$로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의 $-4{\sim}69%$보다 월등하게 우수한 소거능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이 $26.8\;{\mu}g/ml$$RC_{50}$로 좋은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ACE에 대한 저해활성은 $4,000\;{\mu}g/ml$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33%)보다는 메탄올 추출물(71%)이 효과적이었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n-hexane fraction(133%), ether fraction(100%) 및 ethylacetate fraction(88%) 분획이 매우 효과적인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하고초 추출물의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랫트 사구체 손상 개선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Prunella Vulgaris on Glomerular Injur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윤정주;박지훈;정다혜;한병혁;최은식;이윤정;강대길;이호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64-269
    • /
    • 2017
  • Prunella vulgaris, well-known traditional medicinal plant, is used for the cure of abscess, scrofula, hypertension and urinary diseases. Diabetic nephropathy is the most common cause of end-stage renal disease. The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abetic nephropathy are glomerular and tubular basement membrane thickening.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runella vulgaris, on diabetic glomerular injur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rats.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by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STZ; 45 mg/kg) and confirmed by random glucose level higher than ${\leq}300mg/dL$. The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control group (Male SD rats), STZ group (Male SD rats injected STZ), Aminoguanidine group (Male SD rats injected STZ + AG 100 mg/kg/day), Low dose group (Male SD rats injected STZ + APV 100 mg/kg/day), High dose group (Male SD rats injected STZ + APV 300 mg/kg/day). AG or APVs were administered once a day for 8 weeks. Body weight and food/water intake were measured every four weeks. At the end of study, the kidneys were collected and cut into pieces for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Our study showed that body weight and water/food intak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treated STZ-induced diabetic rat and APV treated-STZ rat. However, phosphorylation of receptor-regulated Smads (Smad3)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PV treated-STZ rat as compared with the diabetic group. In addition, APV was improved nephrin level in kidney tissue. Therefore, we suggest that APV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STZ-induced diabetic glomerular injury.

일부 한약재의 수지상세포 활성화 효과 (Effect of Some Herbal Plant Extracts on the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 김도순;박정은;조현욱;주우홍;이성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3호통권83호
    • /
    • pp.427-434
    • /
    • 2007
  • 본 실험에서는 일부 한약재를 이용하여 수지상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한 여섯 가지 한약재 중 선별된 천궁과 당귀는 수지상세포의 항원 제시 능력에 영향을 미쳐, T 세포 증식 반응을 증가시켰고, IL-2와 IFN-r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T 세포의 활성은 수지상세포의 세포표면 단백질인 MHC classII와 CD86, 그리고 CD11c의 발현 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본 실험에서 선별된 천궁과 당귀는 수지상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비꽃속(Viola) 식물에서 tryptophan과 tryptamine 공급이 멜라토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Supply of Tryptophan and Tryptamin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Melatonin in Viola Plants)

  • 김여재;윤영하;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28-333
    • /
    • 2011
  • 동물호르몬으로 알려진 멜라토닌(melatonin)은 동물뿐 아니라 고등 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명체에 존재한다. 식물에서는 쌍떡잎 식물과 외떡잎 식물에 멜라토닌이 널리 존재하며 일부 약용 식물에는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지만 아직 그 생합성 과정과 생리학적 기능은 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reverse phase HPLC 분석을 통하여 이제까지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여러 제비꽃속(Viola) 식물들에 멜라토닌이 고르게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제비꽃속 식물들의 잎 절편을 배양하며 멜라토닌의 최초 전구체로 제안된 tryptophan (Trp)과 이의 탈카르복시화(decarboxylation) 중간산물인 tryptamine (TAM)을 공급하였다. 그 결과 Trp을 공급하면 멜라토닌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TAM을 공급한 경우에는 멜라토닌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TAM은 Trp에서 유래하므로 Trp-TAM 경로가 제비꽃속 식물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Trp 공급이 멜라토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는 Trp을 TAM으로 전환하는 탈카르복시화 과정이 식물 멜라토닌 생합성 과정의 속도결정 단계일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도라지 유기재배시 피복재료에 따른 생육 및 약용성분 변화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Growth and Medicinal Ingredients in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Organic Cultivation)

  • 전승호;노일래;김영국;조영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7-201
    • /
    • 2017
  • 이 연구는 도라지의 유기재배를 위하여 피복물 처리에 따른 도라지 뿌리의 생육특성 및 사포닌,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3년근 도라지를 이식 후, 흑색 비닐, 톱밥, 쌀겨 및 무피복구의 뿌리의 길이는 비닐, 톱밥, 무피복구에서 24.0~27.5 cm로 길었으며, 직경에서는 비닐 피복구에서 가장 굵은 30.0 mm로 나타났다. 지근의 수도 비닐 피복구에서 가장 많은 36.0개로 조사되었으며, 수량과 관련성이 있는 생체중은 지근의 수와 직경이 가장 굵었던 비닐 피복구에서 13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무피복구에서 56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lantycodin D3와 deapioplatycodin D 함량은 톱밥 피복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라지의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비닐 피복구에서 각각 11.0, 8.6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olygalacin D와 ABTS와의 상관관계는 $-0.591^*$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나머지 성분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라지 유기 재배 시 피복재료에 따른 뿌리의 특성, 사포닌함량과 항산화성분 등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흰쥐에서 황칠나무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와 숙취 해소 효과 (Eliminatory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Alcohol-induc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Rat)

  • 나주련;김은;박소이;이기훈;정의선;김진석;김용재;김선오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7-27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와 황칠나무 추출물을 복합하여 in vitro 및 in vivo에서 알코올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HepG2세포에서 300 mM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LDH 수치가 감소하였으나 황칠나무 추출물을 제외한 복합물인 SBJ-복합물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In vivo에서 SBJ 혼합물의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흰쥐에 알코올과 SBJ 혼합물을 투여한 결과, 알코올 투여 후 1시간까지 급격하게 혈중 알코올 수치가 EtOH군에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SBJ 혼합물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으며 또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확인하였다. ADH 및 ALDH 활성의 증가는 SBJ 혼합물의 알코올 분해 및 대사산물의 제거 활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알코올에 의하여 증가한 LDH의 농도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GST, SOD, GPx 및 reduced glutathione와 같은 항산화 인자 및 효소의 활성은 대조군보다 EtOH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SBJ 혼합물에 의해 개선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SBJ 혼합물은 ADH, ALDH 활성 증가 및 항산화 방어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간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간보호에 미치는 주요한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를 첨가한 식빵의 제조 및 관능적 특성 (Prepar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Plant))

  • 박나영;이신호;김석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37-643
    • /
    • 2010
  • 오미자 과육의 건조 분말, 착즙액 건조분말 및 95% 에탄올추출 농축물을 식빵 제조 시 각각 밀가루 대비 0.5% (w/w)로 첨가하여 대조구와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과 식빵의 pH는 3가지 형태의 모든 오미자 첨가구에서 감소하였고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는데 과육 및 착즙액 분말이 에탄올추출 농축물보다 더 효과가 컸다. 반죽의 발효 팽창능은 과육 분말 및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굽기손실율은 모든 오미자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식빵 표면의 색도분석 시 명도 (L) 값은 착즙액 분말과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나 적색도 (a) 및 황색도 (b) 값은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식빵 내부의 경우, a 값은 모든 오미자 첨가구에서, b 값은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나 L 값의 변화는 없었다. 맛, 풍미, 색상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고려한 관능검사 결과, 오미자 과육 분말 첨가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착즙액 분말 및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구의 경우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점수가 낮았다.

Heavy Metal(loid) Levels in Paddy Soils and Brown Rice in Korea

  • Kunhikrishnan, Anitha;Go, Woo-Ri;Park, Jin-Hee;Kim, Kwon-Rae;Kim, Hyuck-Soo;Kim, Kye-Hoon;Kim, Won-Il;Cho, Nam-J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15-521
    • /
    • 2015
  •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over heavy metal(loid) contamination of soil in agricultural areas including paddy soi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background levels of heavy metal(loid)s, arsenic (As), cadmium (Cd), copper (Cu), mercury (Hg), nickel (Ni), lead (Pb), and zinc (Zn) in major rice growing soils and its accumulation in brown rice in Korea.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82 sites nationwide in the year 2012. The mean and range values of As, Cd, Cu, Hg, Ni, Pb, and Zn in paddy soils were 4.41 (0.16-18.9), 0.25 (0.04-0.82), 13.24 (3.46-27.8), 0.047 (0.01-0.20), 13.60 (3.78-35.0), 21.31 (8.47-36.7), and 54.10 $(19.19-103.0)mg\;kg^{-1}$,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heavy metal(loid) levels in all sampled paddy soils are within the permissible limits of the Korean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e mean and range values of As, Cd, Cu, Hg, Ni, Pb, and Zn in brown rice were 0.146 (0.04-0.38), 0.024 (0.003-0.141), 4.27 (1.26-16.98), 0.0024 (0.001-0.008), 0.345 (0.04-2.77), 0.113 (0.04-0.197), and 22.64 $(14.1-35.1)mg\;kg^{-1}$, respectively. The mean and range BCF (bioconcentration factor) values of As, Cd, Cu, Hg, Ni, Pb, and Zn in brown rice were 0.101 (0.01-0.91), 0.121 (0.01-0.70), 0.399 (0.05-2.60), 0.061 (0.016-0.180), 0.033 (0.004-0.44), 0.005 (0.003-0.013), and 0.473 (0.19-1.07), respectively, with Zn showing the high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levels of all metal(loid)s in all sampled brown rice are generally within the acceptable limit for human consumption.

양도락을 이용한 사봉혈과 배수혈의 사혈요법 효과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Bloodletting on Back-Shu Points and Sabonghyeul with Ryodoraku)

  • 구진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73-18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장관 및 순환기 질환에 대한 치료법인 배수혈 습식부항과 사봉혈 점자출혈을 통하여 나타나는 양도락 상의 변화를 분석하여 경락의 존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장관 및 순환기 질환으로 배수혈 습식부항과 사봉혈 점자출혈 치료를 받은 30명 환자의 기록지를 선별하였다. 환자는 먼저 안정된 상태에서 양도락 검사를 받았다. 그리고 침대에서 안정을 취한 후 사봉혈 자락 시술을 받고, 엎드린 자세를 취한 후 배수혈 부위에 습식부항 치료를 받았다. 이후 부항 부위를 깨끗하게 알콜 소독한 후 다시 양도락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시술은 우측 F5 (담), H4 (소장), H6 (대장) 부위와 좌측 H5 (삼초) 부위의 전류값과 각 장부의 양도점의 평균 전류와의 차이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p<.05, p<.05, p<.001, p<.05). F3 (신) 부위에서의 좌측과 우측의 전류값의 격차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배수혈 습식부항과 사봉혈 자락요법은 임상에서 소화기와 순환기 증상을 완화시켰으며 양도락 검진 상에서도 F5 (담), H4 (소장), H6 (대장), F3 (신), H5 (삼초) 양도점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임상 증상과 양도락 진단의 동일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경락체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