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al food ite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산업체 위탁급식소의 웰빙 메뉴 특성 및 현황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Well-being Menus Served in Contract-managed Workplace Foodservice)

  • 권수연;이상묵;이영미;윤지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1호
    • /
    • pp.1-1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well-being menus and to examine the service frequency and profitability of those served in the contract-managed workplace foodservi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ersons who were in charge of menu management in the headquarters of six differen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during March, 2007. In addition, 122 set menus consisting of 777 menu items, which were on one month menus served during January to April, 2007, were collected from three workplace operations managed by three differen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s, four categories of well-being menu items were extracted: 'medicinal functional menu item', 'environmentally-friendly menu item', 'natural food menu item', and 'harmful components-limiting menu item'. Accordingly, a well-being menu item was defined as 'a menu item with increased nutrition value or decreased health risk by changing food material or cooking method'. When the menu items (n=777)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definition and categories, approximately 14% of the items were identified as well-being menu items and most of them were either medicinal functional (65%) or natural food menu items (33%). Approximately 59% of the 122 set menus included at least one well-being menu item, and therefore they were named the well-being set menus. These well-being set menus, howev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t set menus in terms of profitability as measured by the contribution marg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to develop and plan well-being menus targeting workplace foodservice operations.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약선음식 제공에 의한 섭취량 증가 (Serving Yaksun(Medicinal) Food Items at a Long-Term Senior Care Hospital and an Increase in the Food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 김민정;이혜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03-31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rving medicinal food items on the dietary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A total of 77 elderly inpatients at a long-term senior care hospital in Yeongju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trol and medicinal food items were provided for 20 days (March 24 through April 12, 2014, and April 14 through May 3, 2014, respectively).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both control and medicinal food items on the last day of the respective serving perio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dows ver. 21.0).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for medicinal food items than for control food items. The leftover rate was higher for control food items than for medicinal food items. The intake of energy, carbohydrates, proteins, fats, vitamin A, thiamin, niacin, potassium, and zinc was higher for medicinal food items than for control food ite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etary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was higher for medicinal food items than for control food items. This suggests that medicinal food items can help increase the nutrient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and implies that such food items may be more desirable for a long-term senior care hospital diet. A prospective analysis of the long-term control is needed to establish the effects of medicinal food items on elderly patients.

삼채의 급여가 제 2형 당뇨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lium hookeri on Lipid Metabolism in Type II Diabetic Mice)

  • 이선혜;김남석;최봉겸;장환희;김정봉;이영민;김대근;이창현;김유석;양재헌;김영수;김현주;이성현
    • 생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8-153
    • /
    • 2015
  • Allium hookeri is a plant species native to India, Sri Lanka, Myanmar, and China. The plant is widely cultivated in Korea lately as a medicinal food i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llium hookeri (A. hookeri) on lipid metabolism in Type II diabetic mice (n=8/group, 5 groups). High fat diets with dextrin as a positive control (Dex), leaf (AL), root (AR), and fermented root (FAR) at 3% of diet were fed to all experimental mouse, respectively for 8 weeks. Body weight gain, liver and epididymal fat weights, and excreted fecal lipid levels were measured. Serum and hepatic lipid profiles were analyzed, and fat accumulation in liver was evaluated. In this study,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fat weight were lower in the FAR group, while serum HDL-cholesterol level and excreted fecal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r in AL or FA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hookeri, specially fermented root can be a useful food item to control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mice.

고려 시대 인삼과 의약서에 대한 기록 (Records on Ginseng and Medical Book during the Goryeo Dynasty)

  • 이성동
    • 인삼문화
    • /
    • 제5권
    • /
    • pp.21-31
    • /
    • 2023
  • 우리나라의 특산품인 고려인삼은 삼국시대 이래 가장 중요한 수출품 중 하나였다. 그러나 고려 시대까지 우리 역사에서 인삼에 관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 본 고에서는 고려 시대의 인삼에 관한 국제 수교 및 교역 기록과 당시 출판된 것으로 알려진 의약서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주변 국가인 발해, 송, 왜, 후진, 원나라와 외교적 예물로 또는 교역품으로 인삼이 활발하게 거래되었다. 주로 고려에서 주변 국가로 인삼이 수출되었지만 발해와 거란으로부터는 인삼을 외교적 예물로 받기도 하였다. 아라비아 상인은 고려의 대표적 국제무역항이었던 벽란항에 와서 인삼을 교역하였다. 몽골 침입 이후 원나라의 인삼 요구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큰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제중입효방』, 『어의촬요방』, 『향약고방』, 『삼화자향약방』, 『향약혜민경험방』, 『향약구급방』, 『비예백요방』 등 여러 의약서가 출판되었다. 『향약구급방』은 조선시대에 중간된 것이 전해지고 있으나 나머지 책들의 원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다. 최근 후대의 여러 의약서에 인용된 것들을 연구하여 그 일부가 복원되기도 하였다. 궁중에서 사용되었던 의약서에는 인삼을 포함한 처방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주로 평민을 위한 『향약구급방』에는 인삼 처방이 한 건도 수재(收載) 되지 않았다. 이는 당시 인삼이 매우 귀하고 고가이어서 평민이 접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글로벌 융복합을 위한 사찰음식 세분화 연구 - 인식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 (A Segmentation Study of Temple Food for the Global Convergence - Focusing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

  • 이용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34-15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사찰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내국인과 외국인 간의 한국사찰음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한국 전통사찰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한국인 134명과 외국인 86명을 대상으로 총 220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미국인(11.4%), 캐나다인(5.9%), 싱가포르인(5.5%), 프랑스인(5.0%), 네덜란드인(4.1%), 영국인(2.7%), 이탈리아인(2.7%), 독일인(1.8%)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사찰음식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 지역별로는 아시아인들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국인>미주지역인>유럽인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사찰음식은 약선식이라 생각한다.' 항목의 평균값(4.3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시아인(4.58) > 한국인(4.43) > 미주지역인(4.13) > 유럽인(3.94)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으로 분류한 분석에서는 치유음식(p<.05), 성인병 예방 음식(p<.001), 절약정신 내포(p<.05), 약선식(p<.001) 등의 항목에서 외국인과 한국인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찰음식 선호도 분석결과, 글로벌 지역 외국인과 한국인 간의 선호도는 밥류(p<.001), 죽류(p<.001), 나물류(p<.01), 무침류(p<.001), 튀김류(p<.01), 찜류(p<.001), 김치류(p<.001), 떡류(p<.001), 면류(p<.01), 다과류(p<.05) 등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사찰음식은 스토리텔링 마케팅이 필요하다.' 항목의 평균값(3.94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시아인(4.33) > 한국인(3.99), 미주지역인(3.97) 순으로 나타났다(p<.05). 사찰음식 홍보 추진전략으로 한국전통사찰을 배경으로 한 음식, 영화 등을 제작하여 TV, 스마트폰 등 매체를 통한 홍보를 강화시켜야 한다.

백굴채(Chelidonium majus) 추출물의 Fischer 344/N 랫드를 이용한 90일간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A 90-day repeated-dose oral toxicity study on Chelidonium majus extract in Fischer 344/N rats)

  • 김도형;장호송;김광호;강상철;김학수;길기현;공광한;안태환;배진숙;고현규;김갑호;박찬구;이현걸;송시환;한충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3-34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repeated-dose oral toxicities of Chelidonium majus extract in Fischer 344/N rats. Chelidonium majus extract was administered orally to rats at dose levels of 0, 25, 74, 222, 666 and 2,000 mg/kg/day. Each group consisted of 10 rats of each gender. The Chelidonium majus extract was given once a day, 5 times a week, for 90 day repeatedl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tocol of Korea National Toxicology Program (issued by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ical Research) and The Standards of Toxicity Study for Medicinal Products (issu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the present study, There were no toxicolog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mortality, clinical signs, body weight gains, ophthalmoscopy, urine analysis,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necropsy findings, organ weights, histopathology, estrus cycle and sperm examination of all animals treated with Chelidonium majus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no observed adverse-effect level of the test item, Chelidonium majus extract, in rats is higher than 2,000 mg/kg/day in both genders. The target organs were not established.

강원과 전남 지역 오일장에서 신선 나물류의 유통 실태 분석 (Actual Distributing States of the Fresh Wild Vegetables at Five-Day Traditional Markets in Gangwon and Jeonnam Districts)

  • 조자용;박용서;곽수년;임명희;이미경;허북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16-721
    • /
    • 2007
  • 산채자원 및 신선나물류의 개발과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강원도 태백, 홍천, 횡성과 전남 나주, 담양, 장성의 오일장에 출하된 신선 나물류의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오일장에서 신선 나물류를 판매하는 곳은 나주 22개소를 제외하고는 34개에서 49개소까지 다양하였다. 신선 나물류의 출하 품목은 강원도는 27-29종류였는데 산채 종류가 많았다. 반면에 전남은 15-19종류였는데 원예식물의 종류가 많았다. 참취, 머위, 고사리, 아욱, 들깨 잎, 상추, 고추 잎, 미나리는 모든 조사지역 오일장에서 유통되고 있었다. 신선 나물류 판매자들의 연령은 51세 이상이 88%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61세이상의 고령자는 66.4% 이상이었다. 신선 나물류의 판매처당 판매품목 수는 72.1%이상이 6종류 이하를 판매하고 있었다. 신선나물류의 포장은 77% 이상이 비닐봉지를 이용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