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 행정직원들의 감정부조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taff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 이정민;홍민희;장기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39-249
    • /
    • 2021
  • 본 연구목적은 대학 행정직원들의 감정부조화와 우울, 불안, 신체증상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 행정직원 191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Sobel Test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들 다수가 감정부조화(52.36%), 우울(47.12%), 불안(58.12%), 신체증상(62.83%)의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감정부조화 위험군이 정상군에 비교하여 우울, 불안, 신체증상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감정부조화와 심리적 유연성은 우울, 불안, 신체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감정부조화와 정신건강 요인(우울, 불안, 신체증상 각각)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 행정직원들의 감정노동과 정신건강에 개입할 필요성과 그 개입 및 예방 방안으로서 심리적 유연성을 제언하였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Cloud Service Acceptance Intention)

  • 니에신위;경성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3-29
    • /
    • 2022
  • 디지털서비스는 기존 구매계약 방식을 개선하고 코로나19 등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이 시급한 상황에서 최상의 디지털 서비스를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게 되었고 디지털 서비스 이용과 관련 클라우드 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에서 신기술에 대한 개인의 기술준비도(낙관성, 혁신성, 불편성, 불안성)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기술준비도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전환을 매개효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낙관성과 혁신성이 디지털전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불편성과 불안성이 디지털전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낙관성, 불안성과 수용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디지털전환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되었지만, 혁신성, 불편성과 수용의도간의 관계에 있어서 디지털전환의 매개효과가 없다는 것을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에 실무 시사점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부정적 정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 연구 (Mediating Effects of the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 최순미;정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45-154
    • /
    • 2019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이와 반대되는 부정적인 심리 정서인 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시기로 생애주기에 있어서 신체적 심리적 변화가 많은 시기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개인적 차원과 사회환경적 차원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정서와 청소년의 내적 감정을 보호할 수 있는 고통 감내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소재의 고등학생 362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22.0과 AMOS 22.0 을 사용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은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해 각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안녕감과 높은 부적 상관이 있음을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은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 모두에서 우울보다 불안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에 노출된 청소년을 돕고, 주관적 안녕감의 증진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자활 참여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Quality of Life of Workers Participating in Self-sufficiency)

  • 홍민희;이정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76-185
    • /
    • 2021
  • 본 연구는 대전, 대구 4곳의 지역자활센터 프로그램 참여 근로자 415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5일~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은 자활 참여 근로자들의 구강 증상을 살펴보고 심리적 불안의 매개변수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구강건조증, 악관절, 치주 질환 증상 모두 구강건강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불안 요인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주관적 구강 증상 경험은 부정적인 불안 상태로 이어져 구강건강 삶의 질을 더욱 저하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추후 자활 근로자들을 위한 심리 상담 프로그램 확대 및 정기적인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구강보건정책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과 죽음불안간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Death Anxiety among the Elderly)

  • 김진숙;송명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99-30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인식된 짐스러움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영성이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은 불안에 이르는 경로와 영성이 죽음불안에 이르는 경로, 인식된 짐스러움이 죽음불안에 이르는 경로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이 높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아졌고, 영성이 높을수록 죽음불안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된 짐스러움이 죽음불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인식된 짐스러움이 영성을 통해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를 가정한 부분매개모형과 간접 경로만을 가정한 완전매개모형에서 영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식된 짐스러움과 죽음불안과의 관계에서 인식된 짐스러움이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영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죽음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영성의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고 이 결과에 근거하여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Supervisor Supports on Novice Counselor's Psychological Burnout :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 현민홍;홍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01-31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퍼바이저의 사회적 지지가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역전이 관리 능력 및 각각의 하위요인들(자기통찰,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 개념화 기술)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경력 3년 이하의 슈퍼비전 경험이 있는 초심상담자 2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바이저의 사회적 지지는 역전이 관리 능력 및 5개의 하위요인 모두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수퍼바이저의 사회적 지지, 역전이 관리능력, 5개 하위요인 모두는 심리석 소진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수퍼바이저의 사회석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역전이 관리능력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바이저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석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하위요인들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찰, 개념화 기술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역전이 관리능력이 수퍼바이저의 사회석 지지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직업불안정, 정신건강 간의 관계 연구 - 호텔종사자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Job Instability, and Mental Health - Focusing on hotel workers -)

  • 이정민;홍민희
    • 산업과 과학
    • /
    • 제2권4호
    • /
    • pp.1-10
    • /
    • 2023
  • 본 연구는 호텔종사자의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직업불안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호텔종사자 633명에게 코로나19 위험인식, 직업불안정,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의 질문지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1. 직업불안정 위험군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정신건강 위험(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2. 코로나19 위험인식은 직업불안정과 정신건강(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3.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정신건강(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간의 관계에서 직업불안정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호텔종사자들이 코로나19 대유행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정신건강 취약성을 가지고 있고, 코로나19가 초래한 직업불안정으로 인하여 정신건강 위험성이 더 증가함을 논의하였다. 호텔종사자들을 위한 인적자원 관리 방안 및 심리 프로그램을 지원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문제도박 예방에 대한 설명모형 구축 및 검증 (Testing an Explanatory Model for Preventing College Students' Problem Gambling)

  • 박향진;김석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7-107
    • /
    • 2018
  • Purpose: A mediated model of Korean college students' problem gambling based on Blaszczynski and Nower's pathway model is developed and tested to explore mediating roles of self-control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i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ly vulnerable variables and problem gambling. Methods: 273 student participants recruited from 4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Korea responded.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rising measures of problem gambling, depression, anxiety, coping styles, irrational gambling belief, and self-control. Results: The modified research model provides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Depression, anxiety, reflective coping, irrational beliefs, and self-control turned out to have direct effects on problem gambling, while indirect effects were reported in some suppressive and reactive styles. These predictors account for 38% of the college students' problem gambling.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reducing depression, anxiety,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increasing reflective coping and self-control are needed to prevent Korean college students'problem gambling.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아의 문제행동 :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hildren's problems behavior : Mediating effects of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전영주;전숙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5호
    • /
    • pp.251-262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withdrawal,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and emotional instability). In order to expand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s,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possible mediator effects of mother's coping style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subjects were 305 mothers with children 4-5 years old residing in the cities of Cheonan and Seongnam. It was found that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children's withdrawal,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and emotional instability. The mother's coping style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mother's coping style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hildren's. This was especially so for internal problems behavior as like withdrawal, depression anxiety and emotional instability that were perfectly mediated by the mother's coping style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ggression, external problems behavior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mother's coping style.

Effects of the Subjective Family Class on the Suicide Ideation of Adolescents: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 Kim, Jiyoun;Ko,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9-278
    • /
    • 2020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family class and suicidal ideation and to deter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on their relationship.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2015 Korean Psycho-social Anxiety which was a population-based representative was performe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on suicidal ide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6) with bootstrapping methods. Results: Subjective family class directly influenced social support (β=.20, p<.001) and sense of coherence (β=.10, p<.001). Subjective family class directly influenced suicide ideation (β=-.08, p<.001). Sense of coherence was directly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β=.28, p<.001). Suicide ideation was indirectly influenced by subjective family class through social support (β=-.22, p<.001) and sense of coherence (β=-.36, p=.001). The size of direct effect of subjective family class on suicide ideation was 0.24 and the total size of indirect effect was 0.12. Conclusion: Intervention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is needed to prevent the suicide among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