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dia competenc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2초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교육 방안 (Media Education Methodology in Smart Media Era)

  • 도준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45-250
    • /
    • 2018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미디어의 확산은 기존 미디어 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미디어 현장의 직군별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현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두 번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미디어 현장에서 느끼는 변화, 직군별 요구되는 역량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대학의 미디어 교육 방안을 고찰 하였다. 고전적인 커뮤니케이션 이론 교육에서 탈피하여 보다 대학은 현재 미디어 현장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향후 대학의 미디어 교육은 새로운 매체 환경에서 미디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이슈에 대한 종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의 배양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중.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미디어 능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ddle.High School Students' Media Education Using Motive Effect in School Achievement: Focusing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Media Competence)

  • 이정춘;김은규;강진숙;박상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7권
    • /
    • pp.43-72
    • /
    • 2007
  •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받고 있는 중 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 학업적 자기 효능감, 미디어 능력 그리고 학업성적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는 '수업 편리성/도움 추구', '정보/교육방법 습득 추구', '새로운 수업/의사소통 추구', '능력향상 추구', '자율적 교육 추구', '시대 편승 추구', '새로운 지식/교육추구'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 중에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서는 '새로운 지식/교육추구' 동기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미디어 능력에는 '수업 편리성/도움 추구', '정보/교육방법 습득 추구', '새로운 수업/의사소통 추구', '자율적 교육 추구', '시대 편승 추구' 등 5개 동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적에는 '자율적 교육 추구'와 '새로운 지식/교육추구'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미디어 능력'보다 학업성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디어 교육은 어느 정도 새로운 수업방식과 능력향상 차원에서 의미가 있지만,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적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학생들의 미디어 능력 함양에는 미디어 교육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의 직무역량 탐색 (Exploring on the job competence of the staff i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 김정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63-6172
    • /
    • 2013
  • 본 논문은 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들이 바라는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무자의 직무수행 역량 요인은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규명하였다. 이들 직무역량을 기초로 하여 대전 충남지역의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수행 역량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무자에 요구되는 직무역량은 기초역량, 기획 분석역량, 프로젝트 운영관리역량, 평가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직무 역량에서 실무자가 지각하는 가장 높은 요인은 다음과 같다. 기초역량에서는 변화와 혁신의 태도 요인이 가장 높았으며, 기획 분석 역량에서는 수업분석 및 컨설팅, 운영관리역량에서는 인력관리 그리고 평가역량에서는 매체효과성평가 요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수학습지원센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수학습지원센터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 풀을 구성하고, 교수학습지원센터 실무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역량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Study for the Conceptual Variety of Media Education)

  • 김양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8권
    • /
    • pp.77-110
    • /
    • 2005
  •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2가지 차원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 수용자의 이용자로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의 3가지 차원에서의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미디어 교육의 다양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역사적으로 미디어 교육이 미디어 이론과 연관성을 맺으면서 발전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의 환경과 이론적 토대의 변화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이 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하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은 초기의 텔레비전에 대한 교육에서 새로운 학문영역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미디어 교육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에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으로 확장시켜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미디어 교육이 언어적 차원, 미디어 내용의 비판적 해석, 사회와의 소통이라는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어짐을 의미한다.

  • PDF

온라인 네트워킹 활동이 가상협업 역량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nline Social Networking on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 and Task Performance in Organizations)

  • 서아영;신경식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2권2호
    • /
    • pp.39-69
    • /
    • 2012
  • With the adv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electronic collaborative tools and conferencing systems provided over the Internet, virtual collabor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organizations. Virtual collaboration refers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eople working together are interdependent in their tasks, share responsibility for outcomes, are geographically dispersed, and rely on mediated rather than face-to face, communication to produce an outcome. Research suggests that new sets of individual skill, knowledge, and ability (SKAs) are required to perform effectively in today's virtualized workplace, which is labeled as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 It is also argued that use of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may influence not only individuals' daily lives but also their capability to manage their work-related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s, which in turn leads to better performance. The existing research regarding (1)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competence and task performance and (2)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networking and task performance has been conducted based on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so that little is known about how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virtual competence interplay to predict individuals' task performance. To fill this gap, this study rai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 required for better adjustment to the virtual collaboration environment? (2) How does online networking via diverse social network service sites influence individuals' task performance in organizations? (3) How do the joint effects of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 and online networking influence task performance? To address these research questions, we first draw on the prior literature and derive four dimensions of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 that are related with an individual's self-concept, knowledge and ability. Computer self-efficacy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an individual beliefs in his or her ability to use computer technology broadly. Remotework self-efficacy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an individual beliefs in his or her ability to work and perform joint tasks with others in virtual settings. Virtual media skill is defined as the degree of confidence of individuals to function in their work role without face-to-face interactions. Virtual social skill is an individual's skill level in using technologies to communicate in virtual settings to their full potentia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cept of virtual social skill is different from the self-efficacy and captures an individual's cognition-based ability to build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virtual settings. Next, we discuss how online networking influences both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 and task performance based on the social network theory and the social learning theory. We argue that online networking may enhance individuals' capability in expanding their social networks with low costs. We also argue that online networking may enable individuals to learn the necessary skills regarding how they use technological functions, communicate with others, and share information and make social relations using the technical functions provided by electronic media, consequently increasing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online networking, virtual competence, and task performance, we developed research models (the mediation, interaction, and additive models, respectively) by integrating the social network theory and the social learning theory. Using data from 112 employees of a virtualized company, we tested the proposed research models. The results of analysis partly support the mediation model in that online social networking positively influences individuals' computer self-efficacy, virtual social skill, and virtual media skill, which are key predictors of individuals' task performance.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artly support the interaction model in that the level of remotework self-effic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task performance. The results paint a picture of people adjusting to virtual collaboration that constrains and enables their task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research and practice. First, we suggest a shift of research focus to the individual level when examining virtual phenomena and theorize that online social networking can enhance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 in some aspects. Second, we replicate and advance the prior competence literature by linking each component of virtual competence and objective task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how human resource responsibilities assess employees' weakness and strength when they organize virtualized groups or projects. Furthermore, it provides managers with insights into the kinds of development or training programs that they can engage in with their employees to advance their ability to undertake virtual work.

  • PDF

미디어 환경과 사용에 관한 아동의 심성모형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f Children's Mental Model on Media Environment and the Use)

  • 이란;현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01-61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환경과 미디어 사용에 대한 아동의 심성모형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0명의 초등 4-5학년 연령대 아동과의 인터뷰, 그림 그리기, 연상 단어 제시하기, 문장 완성하기의 네 가지 활동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연구자 2인에 의해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문장 완성활동과 연상 단어 활동을 통해 도출된 의미 구성요소는 미디어 기기, 소통성(소외감), 유능함(공급원), 오락성, 역기능, 양면성의 총 6개 요소였다. 두 번째로, 참여자들의 그림에서 추출된 미디어 심성모형의 구성요소는 기능성/유능함, 오락성, 책(종이)과의 갈등/공유, 해악/양면성 등의 4개 요소였다. 세 번째로,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심성모형의 의미요소는 갈등(종이책과 전자 미디어), 소통 중심성, 두려움(중독), 그리고 사용자의 자격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이버 소통에 대한 관찰과 인식 강화, 중독예방 교육의 필요성, 학습 미디어와 책 미디어의 적극적 개발과 균형있는 활용, 건강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비판적 사고의 강화 등을 교육적 함축으로 제시하였다.

장애인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사례 연구 장애인 미디어교육 교사 및 학습자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A Recognition Case Study on Media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ople With Focuses on Focal Interview with Media Education Teachers and Learners)

  • 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6권
    • /
    • pp.148-17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장애인들의 미디어 능력 촉진을 위한 과제와 지원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 미디어교육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장애인 미디어교육 교사들과 학습자들과의 반개방형 집단심층인터뷰(FGI)를 실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인터뷰의 초점은 장애인 미디어교육의 목표, 장애요인, 교수법 그리고 활성화 방안 등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반개방형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기조를 유지하되 연구참여자들이 보다 자유로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구에서 FGI를 통한 질적 연구를 하는 이유는 상호 토론이나 의견 개진을 통한 다양한 인식과 경험들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사뿐 아니라 학습자 모두를 선정한 근거는 공통된 입장과 이견들을 비교함으로써 현실에 근접한 다각도의 인식 경험들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

협력적 신체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with peer competence for children)

  • 이만수;정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883-890
    • /
    • 2014
  • 본 연구는 협력적 신체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 K시의 협력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A유치원 만 5세 22명(남 11명, 여 10명)과 개별중심 신체활동을 실시하는 비교집단 B유치원 만 5세 22명(남 10명, 여 11명) 총 44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대상 유아들에게 10주간 동안 주당 2회 총 20번의 활동을 30분씩 실시하였다. 협력적 신체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적 신체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적 신체활동을 경험한 집단의 유아가 또래유능성의 하위 요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의 전 영역에서 비교집단의 유아에 비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협력적인 신체활동은 유아들이 또래들과 상호간에 원만한 친구관계를 형성해 주며 긍정적인 관계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passion Competence on Dental Hygiene Performance in Dental Hygienists

  • Kim, Sun-Mi;Kim, Young-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9-85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compassion competenc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It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 plan to increase the dental hygiene performanc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ntal hygiene work performance. Methods: This study is aimed at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the Jeollabuk-do Dental Clinic from April to June 2020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 online survey site program was used to explain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on social media including the dental hygienist community, and distribute a URL that allows you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only if you agree to the study. Results: In emotional lab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status, and in compassion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final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by group. In dental hygiene work performance, compassion competen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mpassion competence, the higher the dental hygiene work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years worked and the compassion competence that influenced dental hygiene work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 summary, in order to improve the dental hygiene work performanc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it is necessary to compassion competence with the subject. To this end, it is believed that various supports, measures, and systematic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to compassion competenc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미디어 방임적 중재 및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and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 장지우;김선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19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and the over use of smart media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Quant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to measure maternal parenting stress, smart media neglect mediation, and over use of smart media in preschool childre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neglectful smart media mediation i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was verified using the Amos 23.0 and SPSS 26.0 programs Results: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In addition, mother'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on preschooler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t role of maternal stress in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And maternal competence such as supervision and limit setting is an important role in preschool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and divers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redu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