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민주, 심혜원 (2020).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혼만족도와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13(2), 23-50. https://doi.org/10.47801/KJIMH.13.2.2
- 강보람, 이강이 (2018). 미디어사용시간과 부모의 미디어중재가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5(1), 1-23. https://doi.org/10.45284/kjhd.2018.25.1.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2020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권연정, 이승연 (2013). 만 2세반 영아를 둔 어머니들의 스마트기기 이용지도 양상과 어려움 및지원요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73-109.
- 권혜림, 이완정 (2022). 디지털 환경에서 영유아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과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1), 1-22.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1.001
- 금정연, 정정희, 정효진 (2019).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2), 75-97. https://doi.org/10.22154/JCLE.20.2.4
- 김대웅, 김창숙, 박윤현 (2019). 공공 문화시설 및 여가시설 이용 편리성, 양육 스트레스, 유아 미디어 이용시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4(5), 1-18. https://doi.org/10.20437/KOAECE24-5-01
- 김민석,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분석 및 부모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77-99.
- 김선희, 윤재희 (2021). 영유아기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된 위험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5(3), 197-225. https://doi.org/10.32349/ECERR.2021.6.25.3.197
- 김윤경, 김호정, 윤미경, 박주희 (2018). 유아의 스마트 기기 최초 이용시기 및 이용시간이 외현화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 개입행동의 조절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6(6), 541-533. https://doi.org/10.6115/fer.2018.039
- 김윤나, 박희숙 (2016).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4), 337-353.
- 김은영, 임신일 (2021).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유튜브 시청 실태, 아동교육, 30(1), 79-101. https://doi.org/10.17643/KJCE.2021.30.1.04
- 김은지, 전귀연 (2020).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자기효능감과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 경향성간의 관계: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지도와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시간의 이중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8(4), 59-79. https://doi.org/10.7466/JFBL.2020.38.4.59
- 김은진 (2020). '유튜브 육아' 연구: 육아 과정에서 어머니의 유튜브 이용과 통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5(3), 41-85. https://doi.org/10.47020/JLC.2021.08.25.3.41
- 김지선, 이강이 (2019).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스마트미디어 중재,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 사회적 유능감의 구조적 관계. 아동학회지, 40(6), 63-76. https://doi.org/10.5723/kjcs.2019.40.6.63
- 김지은, 신나리 (2014). 유아기 어머니의 놀이성, 놀이지지신념 및 양육스트레스가 친밀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4), 571-585. https://doi.org/10.5934/kjhe.2014.23.4.571
- 김진경, 강은영, 윤혜주 (2021).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6), 149-168. https://10.14698/jkcce.2021.17.06.149
- 김진경, 윤혜주 (2020).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53-7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053
-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 김환남, 이선애, 이은경, 천재현, 김성희 (2014). 스마트미디어 노출 환경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4), 127-153.
- 남경희 (201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미디어 중재역할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3(1), 117-137. https://doi.org/10.16978/ECEC.2018.13.1.005
- 문경임 (2017).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사용과 부모 관련 변인.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라진 (2016). 유아의 실행기능 및 부모중재가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 박세령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에 대한 개념화. 열린부모교육연구, 13(1), 213-237. https://doi.org/10.36431/JPE.13.1.11
- 박선영 (2013). 아동의 스마트기기 중독성과 부모 중재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소영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배병렬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제2판). 청람.
- 서민영, 임은미 (2010).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게임중독경향과 인성특성의 관계. 아동교육, 19(4), 163-175.
- 석민아, 문인경, 이병호 (2021). 코로나 19로 인한 부모의 가정보육 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6(3), 199-230. https://doi.org/10.20437/KOAECE26-3-08
- 소혜진, 임성민, 조상연, 고민숙, 문진화 (2018).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의 변화: 2015-2016년과 2017년의 연구결과 비교. 대한소아신경학회지, 26(4), 251-262. https://doi.org/10.26815/jkcns.2018.26.4.251
- 심숙영 (2009). 아동놀이와 뉴미디어 게임, 아동과 권리, 13(1), 107-129
- 안수빈, 홍예지, 박영아, 이강이 (2020). 스마트기기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스트레스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함께 사용여부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발달연구, 27(1), 185-205. https://doi.org/10.15284/kjhd.2020.27.1.185
- 오주현, 박용완 (2019). 영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 실태 및 부모 인식 분석. 육아정책연구, 13(3), 3-26. https://doi.org/10.5718/kcep.2019.13.3.3
- 윤대현 (2021. 05. 04). 자식에게 가장 큰 선물은 행복한 부모.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05/04/7AASWIZ7IFHWLDLIT6HO3R3N54/?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에서 2022년 11월 10일 인출
- 윤정민, 홍정순 (201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다차원적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11(3), 151-174. https://doi.org/10.36431/JPE.11.3.8
- 이금희, 김성재, 유혜진 (2020).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한 부모요인 규명: 체계적 고찰및 메타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0(3), 349-368. https://doi.org/10.4040/ jkan.19186
- 이병호 (2012). 가정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연구. 유아교육학논문, 16(6), 511-532.
- 이정림, 도남희, 오유정 (2013).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 실태 및 보호대책. 육아정책연구소.
- 이현주, 채선미, 방경숙, 최희승 (2015).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문제행동및 어머니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2), 107-114. https://doi.org/10.4094/chnr.2015.21.2.107
- 이혜미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부모와 또래집단의 중재유형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임명희, 박윤조 (2011).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발달과 영아특성변인, 어머니특성변인 간의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4), 57-82.
- 장지우, 김선희 (202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유아의 자기통제력 및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정도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학회지, 41(1), 61-74. https://doi.org/10.5723/kjcs.2020.41.1.61
- 전주혜 (2020).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의 지속적 예방을 위한 요인 탐구 : 스마트폰리터러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전초원 (2014).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유아의 단어 및 도형 기억과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경미, 이경숙, 박진아, 김혜진 (2008).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Korean-Parenting Stress Index: KPSI) 의 표준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3), 689-707. https://doi.org/10.15842/kjcp.2008.27.3.007
- 정여주, 신윤정, 장유진, 고경희, 윤제현, 이도연, 김소아, 전보성 (2022). 청소년 게임이용문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아시아교육연구, 23(2), 421-445. https://doi.org/10.15753/aje.2022.6.23.2.421
- 장채욱, 성창훈 (2016).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잠재 변인과 합성 점수의 추정방법 비교. 스포츠과학연구지, 29, 13-26.
- 제정희 (2021).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와 과의존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윤희 (2022). 어머니 우울 증상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순차매개효과와 유아 발달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하지영 (20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대상 스마트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3(3), 187-213. https://doi.org/10.36431/JPE.13.3.9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2016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미래창조과학부.
- 홍정은, 홍수종, 이경숙 (2022). 24 개월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특성 분석과 양육군집 탐색에 대한 연구.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15(1), 19-47. https://doi.org/10.47801/KJIMH.15.1.2
-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ediatric Psychology.
- Beyens, I., Valkenburg, P. M., Piotrowski, & J. T. (2019).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arental mediation across early and middle childhood.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45(2), 226-250. https://doi.org/10.1093/hcr/hqy016
- Braune-Krickau, K., Schneebeli, L., Pehlke-Milde, J., Gemperle, M., Koch, R., & von Wyl, A. (2021). Smartphones in the nursery: Parental smartphone use and parental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within parent-child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0-5 years): A scoping review.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42(2), 161-175. https://doi.org/10.1002/imhj.21908
- Bremer, J. (2005). The internet and childre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Child and Adolescents Psychiatric Clinics, 14(3), 405-428. https://doi.org/10.1016/j.chc.2005.02.003
- Clark, L. S. (2011). Parental mediation theory for the digital age. Communication theory, 21(4), 323-343. https://doi.org/10.1111/j.1468-2885.2011.01391.x
- Christakis, E. (2018). The dangers of distracted parenting. The Atlantic, 322(1), 11-16.
- Crum, K. I., & Moreland, A. D. (2017). Parental stress and children's social and behavioral outcomes: The role of abuse potential over tim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11), 3067-3078. https://doi.org/10.1007/s10826-017-0822-5
- Dalope, K. A., & Woods, L. J. (2018). Digital media use in families: Theories and strategies for interventio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27(2), 145-158. https://doi.org/10.1016/j.chc.2017.11.001
- Erickson, P. G. (1995) Harm reduction: What it is and is not, Drug and Alcohol Review, 14(3), 283-285, https://doi.org/10.1080/09595239500185361
- Evans, G. W., Brooks-Gunn, J., & Klebanov, P. K. (2011). Stressing out the poor. Pathways, 23(2), 22-27. https://doi.org/10.4324/9780429494642-55
- Jackson, L. A., Von Eye, A. Fitzgerald, H. E. Witt, E. A. & Zhao, Y. (2011). Internet use, videogame playing and cell phone use as predictors of children's body mass index(BMI), body weight,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and over all (1), self-esteem.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1), 599-604, https://doi.org/10.1016/j.chb.2010.10.019
-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Guilford.
- Kuss, D. J. & Griffiths, M. D. (2012). Internet and gaming addic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neuroimaging studies. Brain Sciences, 2(3), 347-374. https://doi.org/10.3390/brainsci2030347
- Livingstone, S., & Helsper, E. J. (2008).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Electronic Media, 52(4), 581-599. https://doi.org/10.1080/08838150802437396
- Marlatt, G. A. (1996). Harm reduction: Come as you are. Addictive Behaviors, 21(6), 779-788. https://doi.org/10.1016/0306-4603(96)00042-1
- MacCallum, R., Browne, M.,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149. https://doi.org/10.1037/1082-989X.1.2.130
- Neuman, S. B. (1995). Literacy in the television age: The myth of the TV effect. Ablex.
- Sanner, C. M., & Neece, C. L. (2018). Parental distres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behaviors as mediato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7(2), 591-601. https://doi.org/10.1007/s10826-017-0884-4
- Suarez-Alvarez, R., Vazquez-Bar io, T., & de Frutos-Torres, B. (2022). Parental Digital Mediation According to the Age of Minors: From Restraint and Control to Active Mediation. Social Sciences, 11(4), 178. https://doi.org/10.3390/socsci11040178
- Raudaskoski, S., Mantere, E., & Valkonen, S. (2017). The influence of parental smartphone use, eye contact and 'bystander ignorance'on child development. In Media, family interaction and the digitalization of childhood. (pp. 173-184). Edward Elgar Publishing.
- Rideout, V. (2014). Learning at home: Families' educational media use in America. In Joan Ganz Cooney Center at Sesame Workshop. Joan Ganz Cooney Center at Sesame Workshop.
- Rodriguez, C. M. (2010). Parenr-child aggression; Association with child abuse potential and parenting style. Violence and Victims, 25(6), 728-741. https://doi.org/10.1891/0886-6708.25.6.728
- Wartella, E., Rideout, V., Lauricella, A. R., & Connell, S. (2014). Revised parenting in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A national survey. [Report for the center on media and Human development school of communic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Northwestern University.
- Warren, R., & Aloia, I. (2019). Parenting style, parental stress and mediation fo children's media use, Western Journal of Communication, 83(4), 483-500. https://doi.org/10.1080/10570314.2019.1582087
- Wu, C. S. T., Fowler, C., Lam, W. Y. Y., Wong, H. T., Wong, C. H. M., & Yuen Loke, A. (2014). Parenting approaches and digital technology use of preschool age children in a Chinese community. Italian Journal of Pediatrics, 40(1), 1-8. https://doi.org/10.1186/1824-7288-40-44
- Ziegenhain, U., & Deneke, C. (2012). Entwicklungspsychopathologische Voraussetzungen der Erlebensund Verarbeitungsweisenvon Kindern psychisch kranker Eltern. In M. Kolch, U. Ziegen-hain, & J. M. Fegert (Eds.). Kinder psychisch kranker Eltern. Herausforderungen fur eine interdisziplinare Kooperation in Betreuung und Versorgung (pp. 14-39). BeltzJuven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