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sured displacement

검색결과 1,726건 처리시간 0.029초

Usability testing of a novel interlocking three-dimensional miniplate for mandibular angle fractures

  • Prasetyanugraheni Kreshanti;Aria Kekalih;Ahmad Jabir Rahyussalim;Sugeng Supriadi;Bambang Pontjo Priosoeryanto;Deni Noviana;Mendy Hatibie Oley;Chaula Luthfia Sukasah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1-178
    • /
    • 2024
  • Background: We developed a novel interlocking three-dimensional (3D) miniplate design with an adjustable configuration. As this device is new, surgeons must become familiar with its applic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usability and learning curves associated with the novel interlocking 3D miniplate for mandibular fracture fixa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nine plastic surgeons, were asked to apply an interlocking 3D miniplate and a standard miniplate to polyurethane mandible models. The participants had completed the Basic Craniomaxillofacial Osteosynthesis course during residency and had operated on craniomaxillofacial fractures within the past 5 years. They were instructed to place the interlocking 3D miniplate three times and the standard miniplate once. We assessed the time required for implant placement, the comfort level of the surgeons, and the biomechanical stability of the plates. Biomechanical testing was conducted by subjecting the mandible to forces ranging from 10 to 90 N and the displacement was measured.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increasing comfort with each attempt at placing the interlocking 3D miniplat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third attempts. Additionally, a reduction in application time was noted with repeated attempts, suggesting improved efficiency. Biomechanical tests showed comparable stability between the tested plates. Conclusion: Multiple attempts at applying the interlocking 3D miniplate resulted in increased comfort and reduced application tim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espite its novelty, the interlocking 3D miniplate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to apply and has a short learning curve. However, surgeons must have specific qualifications to ensure proper training and minimize errors during placement.

50세 이상의 연령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The Clinical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over 50 year)

  • 이광원;김용인;서동욱;차용한;김갑중;최원식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3-78
    • /
    • 2010
  • 목적: 50세 미만 및 50세 이상의 환자에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시행의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50세 이상(평균 55.1세) 18예, 50세 미만(평균 31.2세) 19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50세 이상이 24개월, 50세 미만 군이 26개월 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Lysholm 점수 및 IKDC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평가 기준을 사용하였고 전방 전위 정도는 KT-2000 관절 계측기를 이용하였으며 두 군간의 최종 추시 시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Lysholm 점수는 50세 이상 군에서는 69.5점에서 93.6점으로 호전되었으며, 50세 미만 군에서는 69.0점에서 92.6점으로 호전되었다(p<0.05). IKDC 평가 기준에 의한 최종 평가상 50세 이상 군의 83% (15예)에서 거의 정상(B) 이상의 결과를 보였고, 50세 미만군의 86% (170예)에서 거의 정상(B)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p<0.05). KT-2000 관절 계측기를 이용한 전방 전위 검사 상 건측과의 평균 전위차가 50세 이상 군에서는 술전 7.4 mm에서 최종 추시 시 2.2 mm로 감소하였고, 50세 미만 군에서는 술 전 7.1 mm에서 최종 추시 시 2.0 mm으로 감소하였다(p<0.05). 결론: 50세 이상 군과 50세 미만 군에서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50세 이상 환자에서도 만족할 만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원격탐사의 지하수 수자원 적용 사례 고찰 (Review of Remote Sensing Studies on Groundwater Resources)

  • 이정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3호
    • /
    • pp.855-86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지하수 수자원의 부존 및 대수층의 역학적 변화를 원격 탐사 방법으로 해석한 연구사례를 고찰하였다. 지질 분포, 지표수 및 지형 고도차, 식생 분포, 강수량과 증발산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법에는 항공 자력 탐사 분석에 의한 지질 선구조 해석, DEM, 엽면적지수, 정규 식생 지수 및 지표면 에너지 밸런스 계산 등이 있으며, 모두 원격 탐사로 수득된 자료에 기반하며, 광역적 차원에서의 지하수 수자원 부존 여부를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위성 센서 자료의 직접 이용을 통한 지하수 부존 및 동력학의 정량적 해석은 현재까지 GRACE와 InSAR가 가장 각광받는 탐사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GRACE는 미소 중력장 변화를 지구 표면 및 내부 수체의 질량 변화로 전환할 수 있는 센서 보유 위성으로서, 센서 자료의 보정이 필요 없고, 지하수 부존 정량 분석을 위한 보조 자료를 모두 다른 위성 센서 자료에서 수득할 수 있으며, 자료처리 알고리즘의 지속적인 개선이 진행되고 있어서,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위성센서의 검출 한계로 인해 협소한 지역에서의 지하수 질량 변화 정량이 부정확할 수 있고, 현장 조사 자료와 연동할 경우 과대 추정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InSAR는 특정 대수층에서 지표의 수직 변위가 지하수위와 비례한다는 원리를 이용, mm 단위의 지표 수직 변위를 측정하여 대수층 및 대수층 내 지하수의 물리적 특징을 정량화할 수 있다. 그러나, 지표의 토지 피복이 단순한 건조-반건조 기후 지역에 한정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지표면과의 긴밀도 값 손실이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적용이 힘들다. 상기 두 위성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지하수 수자원의 질량 변화 및 흐름 특징을 광역적으로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지형 및 지질, 자연 조건에 알맞은 자료 전처리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진동대 시험을 이용한 중공블록 보강 기초의 내진성능분석 (Analysis on Seismic Resistance Capacity of Hollow Concrete Block Reinforced Foundation Ground by Using Shaking Table Test)

  • 신은철;이연정;양태철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85-93
    • /
    • 2021
  • 한반도의 70%는 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해와 남해의 수심은 상대적으로 얕은 편이다. 따라서, 공업단지, 주거단지, 항만 및 공항 부지를 위한 대규모 간척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매립지역의 일반적인 문제는 지반이 연약하여 지지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침하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중공블록은 중·저층 아파트 또는 단층의 공장건물을 건설하기 위해 계획된 느슨한 연약기초 지반보강을 위해 사용된다. 최근 4.0~5.0의 강도를 가진 지진이 서쪽과 남동쪽 해안지역을 따라 발생하고 있다. Lee (2019)는 정적 지지력시험을 통해 얕은 기초보강 중공블록의 장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블록 내부에 쇄석으로 채움된 보강된 모래지반의 중공블록 동적거동은 진동대 1000 mm × 1000 mm 시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3가지 지진파인 Ofunato, Hachinohe, Artificial 지진파와 2가지 가속도(0.154g, 0.22g)를 진동대 시험에 적용하였다. 중공블록으로 보강된 지반 위의 구조물 수평변위는 LVD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중공블록에 의한 지반보강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반의 상대밀도를 45%, 65%, 85%로 각각 구성하였으며, 수평변위를 측정하고 한계수평변위 0.015h(건축물 내진등급기준, 2019)와 비교하였다. 중공블록으로 보강된 모래지반에 대한 진동대 시험 결과에 기반해서 벌집 모양의 중공블록은 블록내부에 쇄석 채움으로서 큰 구속력을 가지며, 중공블록의 내부 및 외부를 따라 발생하는 관입저항력으로 인한 큰 주면마찰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은 진동대 시험 중에 수평변위를 상당이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공블록 보강 지반은 지진파와 가속도에 상관없이 중·저층 건물의 얕은기초 보강공법으로 매우 우수함이 입증되었다.

슬관절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의 진단에 있어서 KT-2000 기기의 유용성 (The Benefit of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r in Diagnosi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박재형;김형수;정광규;유정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2-88
    • /
    • 2004
  • 목적: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r를 이용하여 정상 슬관절의 전방 전위를 측정하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며, 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 슬관절의 전방 전위를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상인의 전방전위 정도를 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와 비교하여 이 기기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손상의 과거력이 없는 성인 남자 30명을 대상으로 2명의 검사자가 30lb의 힘으로 슬관절30$^{\circ}$굴곡에서 근육 이완 및 수축, 25$^{\circ}$내회전, 25$^{\circ}$외회전 자세로 전방 전위를 측정하여 두 검사자간의 전방 전위 및 좌우 차이를 비교하였고. 신체 조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차이에 따르는 전방 전위를 비교하였다 전방십자 인대 손상 환자 30명에서 슬관절을 이완시킨 상태로 3차례 이상 전방 전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검사자 1의 슬관절 전방 전위는 30$^{\circ}$굴곡 상태로 근육 완전 이완, 근육 수축 상태. 25$^{\circ}$내회전 25$^{\circ}$외회전위치에서 우측 슬관절은 6.5${\pm}$1.5 mm. 2.5${\pm}$0.9 mm, 4.8${\pm}$1.2 mm, 6.4${\pm}$1.3 mm였고 좌측 슬관절은 5.6${\pm}$1.3 mm, 2.1${\pm}$0.8 mm, 4.5${\pm}$1.2 mm, 5.2${\pm}$1.3 mm였으며. 검사자 2는 각각 6.9${\pm}$1.2 mm, 2.9${\pm}$1.1 mm,5.6${\pm}$1.6 mm, 6.9${\pm}$1.5 mm였고, 5.5${\pm}$1.7 mm, 1.9${\pm}$0.9 mm, 5.1${\pm}$1 9 mm, 5.7${\pm}$1.6 mm였으며, 검사자1의 전방 전위 좌우 차는 근육 이완 상태에서 0.9${\pm}$1.0 mm였다.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방 전위는 평균 11${\pm}$2.93 mm쳐고, 건측과의 차이는 평균 6.5${\pm}$2.31 mm였다 좌우 슬관절의 비교에서 검사자 1과 2는 30${\pm}$굴곡, 근육 이완시 통계학적으로 좌우차는 있었으나 각각 25례(83%), 21례(70%)에서 좌우 차이가 2mm미만이었고 3 mm이상은 모두 1예에 불과하였으며 근육 이완시 정상인과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의 전방 전위 좌우차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0.05) 결론: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d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슬관절 주변 근육의 이완, 슬관절의 굴곡 각도, 경골의 회전. 전위력의 강도, 적용시점, 그리고 키, 체중등의 신체적 요인 등이 있으나 능숙한 기계사용과 정확한 슬관절 위치에서 검사할 때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대한 진단에 유용한 기구이다.

  • PDF

Plasma를 이용한 세정액의 활성화와 시료 표면의 탄성계수 및 강도 변화에 대한 연구 (Activation of Stripper Solution by Plasma and Hardness/Modulus of Elasticity Change of the Surface)

  • 김수인;김현우;노성철;윤덕진;장홍준;이종림;이창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7-101
    • /
    • 2009
  • 현대의 반도체 산업에서 공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가장 많은 자본과 인력을 소비하는 것이 바로 세정 공정이다. 세정공정은 소자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고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이물질 입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소자를 식각하기 위한 Photoresist(PR) 과정이 끝날 때마다 항상 세정 과정이 포함되어야 했다. 또한, Photoresist(PR) 공정 중 생성된 HDI-PR(high dose implanted photoresist)은 세정 과정에서 제거가 힘들기 때문에 현대의 고밀도 집적회로 세정 공정에서는 건식 세정과 습식 세정을 혼용하여 여러 단계의 세정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플라즈마 방식으로 대표되는 건식 세정과 약액으로 대표되는 습식 세정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약액활성화 방법(Plasma Liquid-Vapor Activation; PLVA)을 제안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HDI-PR을 활성화된 용액에 담근 후 Nano-Indenter를 이용하여 표면강도와 탄성계수를 측정했다. Nano-indenter는 특정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지는 Tip을 표면에 압입한 후 압입하중과 압입깊이를 측정함으로서 시료의 표면강도와 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lasma로 활성화된 PR stripper 용액으로 strip한 후의 시료의 표면 강도가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후 물리적 표면 세정 공정을 후 공정으로 사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HDI-PR을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법랑모세포종과 치성각화낭의 방사선학적 감별진단 : CT를 중심으로 (Radiographic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ameloblastoma and odontogenic keratocyst: with emphasis on CT)

  • 소병천;허민석;안창현;최미;이삼선;최순철;박태원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2권3호
    • /
    • pp.167-173
    • /
    • 2002
  • Purpose : To evaluate clinical and radiographic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ameloblastoma and odontogenic keratocyst (OKC) using clinical data, plain radiographs, and CT. Materials and Methods: 25 cases of ameloblastoma and 44 cases of OKC diagnosed in biopsy, were selected from the files stored in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1999 to 2001, and evaluated using following criteria: sex and age, location, shape, border to normal bone tissue, effect to adjacent tissues, homogeneity in the lumen of the lesion, response of the cortical bone, long-to-short length (LIS) ratio of the lesion, and expansion angle of the cortex. Results: Ameloblastoma and OKC were seen most frequently in third decades an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 between both sexes. Ameloblastoma occurred most frequently in mandibular angle and ramus area (68%) and OKC at the maxillary molar (34.1 %), and mandibular angle and ramus area (43.2%). The root resorption of the adjacent teeth, mandibular canal displacement, and the impaction of teeth were seen more frequently in ameloblastoma than in OKC. The LIS ratio measured in CT was largest in maxillary OKC cases, followed by mandibular ameloblastoma, and mandibular OKC (1.2, 1.8 and 2.4 respectively). The expansion angle of the cortex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meloblastoma (48.8°) and OKC (31.5°). Conclusion : The numeric morphology (LIS ratio) and expansion angle of the cortical bone of the lesion measured in computed tomography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the ameloblastoma and odontogenic keratocyst.

  • PDF

파형강판 구조물의 내공변위를 활용한 개선된 안전도 평가 절차 제안 (A Proposal for Improved Safety Assessment Proced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Using Measured Displacements)

  • 전세진;이병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1호
    • /
    • pp.13-24
    • /
    • 2020
  • 파형강판 구조물의 안전도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은 아직까지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뒤채움 흙의 고정하중이 지배적이고 활하중 효과는 매우 작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선된 안전도 평가 절차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절차는 Soil-Culvert Interaction (SCI) 방법에 기초하여 축력과 휨모멘트의 복합작용이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있고, 산정된 소성지수에 따라 유지관리 방안을 차별화할 수 있으며, 내공변위 계측값을 활용하여 평가의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안된 평가 절차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여 개선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절차를 적용하여 실구조물 및 실대형 실험체의 안전도를 평가하였다. 기존의 교량 내하력 평가 방법은 내하력을 크게 과대평가한 반면 제안된 방법은 합리적인 수준의 안전도를 산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절차는 파형강판 구조물의 정량화된 상태 평가 및 보강 등 적절한 유지관리 방안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콘크리트 삼점휨 시험편의 동적 파괴거동 (Dynamic Fracture Behaviors of Concrete Three-Point Bend Specimens)

  • 연정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689-697
    • /
    • 2002
  • 콘크리트 삼점휨 시험편의 변위제어에 의한 동적 파괴실험으로 하중과 하중점-변위가 측정되었다. 변형률 게이지를 사용하여 균열의 성장길이가 측정되었으며, 균열이 성장되는 동안의 평균속도는 0.16 ~ 66 m/sec이었다. 균열성장에 대한 파괴에너지는 측정된 외부일에 대한 하중점-변위에 대한 운동에너지와 영구변형이 고려되지 않은 탄성에너지의 차이로부터 계산되었다. 모든 균열속도에 대해 23mm의 균열성장 동안 미소균열이 성장되며, 51 mm의 최대 탄성0에너지까지 안정 균열성장과 이후의 불안정 균열성장을 보였다. 균열속도가 66msec인 경우를 제외하고 80mm의 균열성장에서 균열성장의 구속이 관측되었다. 균열속도에 대한 파괴에너지와 파괴에너지율의 분석은 13mm/sec보다 느린 경우에 정적 거동을 그리고 1.9m/sec보다 빠른 속도에서 동적 거동을 보였다. 동적 실험에서 측정된 하중과 하중점-변위 관계의 큰 차이에도 불구하고 관성력과 균열성장길이 그리고 탄성에너지의 차이로 불안정 균열성장 이전의 균열속도에 대한 파괴저항은 균열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안정 균열성장 동안의 최대 파괴저항은 최대하중 이후 최대 탄성에너지에서 발생되며, 동적 실험이 정적 실험보다 147% 큰 값이었다.

고리 봉합법을 이용한 심부 수지 굴건 종지부에서의 건봉합 (Loop Suture Technique for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Repair in the Insertion Site)

  • 이규철;이동철;김진수;기세휘;노시영;양재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650-658
    • /
    • 2010
  • Purpose: In the case of repair for far distal parts of FDP (Flexor digitorum profundus) division, the method of either pull-out suture or fixation of tendon to the distal phalanx is preferred.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a modified loop suture technique used for the complete division of FDP from both zone 1a and distal parts of zone 1b in Moiemen classification are presented. Methods: From July 2006 to July 2009, the modified loop suture technique was used for the 10 cases of FDP in complete division from zone 1a and distal parts of zone 1b, especially where insertion sites were less than 1 cm apart from a tendon of a stump. In a suture technique, a loop is applied to each distal and proximal parts of tendon respectively. Core suture of 2-strand and epitendinous suture are done with PDS 4-0. Out of 10 patients, the study was done on 6 patients who were available for the followup.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9.1 years (in the range from 26 to 67). 5 males and 1 female pati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re were 3 cases with zone 1a and distal parts of zone 1b. The average distance to the distal tendon end was 0.6 cm. There were 5 cases underwent microsurgical repair where both artery and nerve divided. One case of only tendon displacement was presented. The dorsal protective splint was kept for 5 weeks on average.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tests were measured: active & passive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test, key pinch and pulp pinch test. Results: The follow-up period on average was 11 months, in the range from 2 to 20 months. There was no case of re-rupture, but tenolysis was performed in 1 cases. In all 6 cases, the average active range of motion of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was 50.8 degree. The grip strength (ipsilateral/contralateral) was measured as 88.7% and the pulp pinch test was 79.2% as those of contralateral side. Flexion contracture was presented in 2 cases (15 degree on average) and there was no quadrigia effect found. Conclusion: Despite short length of tendon from the insertion site in FDS rupture in zone 1a and distal parts of zone 1b, sufficient functional recovery could be expected with the tendon to tendon repair using the modified loop suture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