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l kit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초

간편조리세트 원재료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Raw Materials of Meal Kits)

  • 이현경;도영숙;박민정;임경숙;오서인;임정화;김현수;함현경;김여정;이명진;박용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9-11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유통 중인 간편조리세트 55건 내 농·축·수산물 원재료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55건의 간편조리세트 중 농산물이 원재료로 들어가는 제품은 48건, 축산물이 원재료로 들어가는 제품은 43건, 수산물이 원재료로 들어가는 제품은 16건이었다. 농·축·수산물에서 일반세균은 100%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일반세균 평균 검출량은 농산물 6.57 log CFU/g, 축산물 4.60 log CFU/g, 수산물 5.47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에서 대장균군은 각각 81.25%, 69.77%, 43.75%의 검출률을 보였고, 대장균군 평균 검출량은 농산물 2.83 log CFU/g, 축산물 1.34 log CFU/g, 수산물 1.12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대장균은 13건(30.23%)의 축산물에서 0.70-2.36 log CFU/g 범위로 검출된 반면, 수산물에서는 1건(6.25%)만 검출되었고, 농산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농·축·수산물에서 진균은 각각 97.92%, 93.02%, 93.75%의 검출률을 보였고, 진균 평균 검출량은 농산물 3.82 log CFU/g, 축산물 2.92 log CFU/g, 수산물 2.82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에서 식중독균은 각각 35.42%, 37.21%, 31.25%의 분리율을 보였고, 바실루스 세레우스, 살모넬라균 등 7종의 45개 식중독균을 분리하였다. 간편조리세트로 인한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하여 세척, 충분한 가열 섭취 및 조리과정 중 교차오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Quality Evaluation of Five Commercial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s for Detecting Aflatoxin B1 in Feedstuffs

  • Sun, Dan-Dan;Gu, Xu;Li, Jun-Guo;Yao, Ting;Dong, Ying-Ch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5호
    • /
    • pp.691-696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five commercial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s (A, B, C, D, and E) from different suppliers for detecting aflatoxin $B_1$ ($AFB_1$). $AFB_1$-free corn sample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evels of $AFB_1$ (5, 10, and $20{\mu}g/kg$)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and 6 replicates of each control sample were tested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se kits. In addition, we also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se ELISA kits for $AFB_1$ in 30 feed samples, including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 wheat samples, soybean meal, and poultry feed, which were verifi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showed that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ranged from 1.18% to 16.22% in intra-plate and 2.85% to 18.04% in inter-plate for the determination of $AFB_1$.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for five kits ranged from 3.72 to $7.22{\mu}g/kg$. The quantitation limits of $AFB_1$ were all under the legal limit in China but somewhat inconsistent with kit instructions. Although the recovery rate of four of the five kits were either less than 90% or more than 110%, all these values were acceptable in practice. Two kits had high false positive rates (C and E). In conclusion,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qualities of five tested ELISA ki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밀키트(가정간편식) 중 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afety Survey for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in Meal-kits)

  • 송성민;선유정;서현정;한현호;이가혜;김정임;김명희;허명제;권문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57-463
    • /
    • 2023
  • 밀키트 중 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내 대형마트, 밀키트 전문점 및 온라인 스토어에서 밀키트 27개 제품을 수거하여 원재료 중 채소류 76품목, 버섯류 37품목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339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채소류 76품목 중 23품목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버섯류 37품목은 검출되지 않았다. 잔류농약 검출률은 20.4%(23건/113건)를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인천광역시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률이 8.0%인것과 비교해 보면 2배 이상 높게 검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결과 23건의 잔류농약이 검출된 시료에서 총 45 항목이 검출되었으며, 잔류농약 종류는 29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살충제 17 항목(37.8%), 살균제 16 항목(35.5%), 살응애제(살비제) 9 항목(20%), 식물생장조절제 3 항목(6.7%)이었다. 검출된 잔류농약 중 청경채에서 2건이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초과된 농약은 famoxadone 0.034 mg/kg(기준: 0.01 mg/kg 이하, PLS), fenpyroximate 0.302 mg/kg(기준: 0.01 mg/kg 이하, PLS)이었다. 부적합률은 1.8%(2건/113건)이며, 평균적인 부적합률 1.2%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통해 밀키트 중 농산물에 다양한 종류의 농약이 잔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밀키트 제품의 특성상 농산물에 대한 잔류농약 기준이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잔류농약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충남 일부지역 젊은 성인의 밀키트 구매행태 및 영양지수와의 관련성 (Meal kit purchasing behavior and relationship with the nutrition quotient of young adults in Chungnam)

  • 이은영;김유미;최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5호
    • /
    • pp.534-546
    • /
    • 2021
  • 밀키트 수요와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소비자의 밀키트 구매의도를 파악하고 식품 산업 및 소비자의 올바른 제품 선택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충남 일부지역의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2021년 2월부터 3월까지 밀키트 구매 경험과 만족도, 인식도, 구매 의도를 분석하고 밀키트 구매 경험과 영양지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 404명 중 남자는 153명 (37.9%)이었으며, 20-24세 181명 (44.8%), 25-29세 109명 (27.0%), 30-39세 114명 (28.2%)이었고, 밀키트 구매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94명 (48.0%)이었다. 밀키트 구매 경험은 남자보다 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밀키트 구매 금액은 1회 10,000-20,000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1달에 1회 미만과 식사용으로 구매하는 비율이 높았다. 밀키트 구매 장소는 대형할인마트가 가장 높았고, 조리의 편리성이 밀키트 섭취의 주된 이유로 나타났으며, 저녁에, 가족과 함께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밀키트의 구매 경험자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남녀 각각 3.6점, 3.7점이었으며, 재료의 신선함, 포장디자인, 적당한 양에서 여자의 만족도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밀키트 구매 경험자의 밀키트에 대한 인식도는 5점 만점에 남녀 각각 3.5점, 3.7점이었다. 밀키트 구매 의도는 5점 만점에 구매 경험자와 비경험자가 각각 3.8점과 3.2점이었으며 (p < 0.001), 남녀 각각 3.3점, 3.6점이었다 (p < 0.001). 성인 영양지수는 여자의 경우 식행동 항목에서 밀키트 구매 경험자 (45.7점)가 비경험자 (40.7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성별과 연령 분포가 고르지 못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HMR 유형의 밀키트의 구매행태를 살펴보고 밀키트 구매 경험이 여성의 식행동 영양지수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소비자의 밀키트 구매 행태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궁극적으로 건강지향적인 밀키트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TP(Ready to Prepare) 가정편의식(HMR) 제품의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밀키드(Meal kit)를 중심으로 (Study on Repurchase Intention of RTP HMR Products : Focused on Meal kit)

  • 박민희;권만우;나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48-557
    • /
    • 2019
  • 1인 가구와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생활 패턴의 변화, 편리성 추구 등과 '집밥' 트렌드가 맞물려, HMR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밀키트(Meal Kit)'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RTP(Ready-to-Prepare) HMR 제품 재구매의도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이용용이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혁신성이 높을수록 이용용이성은 낮아졌으나, 유용성과 재구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영향이 높을수록 재구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편의성이 높을수록 신뢰는 낮아졌으나, 재구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성이 높을수록 신뢰와 재구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격민감도는 신뢰와 재구매의도 간에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세분화된 HMR 연구의 이론적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제품 개발 및 판매를 위한 마케팅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온라인에서 구매한 밀키트 제품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meal kit products purchased via online shopping)

  • 이승훈;남수진;김동우;김기련;박선정;이은지;제현지;구옥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35-240
    • /
    • 2022
  • 본 연구는 온라인 유통 중인 밀푀유나베 5종과 월남쌈 3종의 밀키트의 배송상태와 식재료 122개의 시료 대상으로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에 대한 정량분석과,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의 정성분석을 진행하였다. 배송형태는 하나의 제품을 제외하고 일반택배로 배송 되었고 제품 표면 온도 평균은 14.4℃이었다. 일반세균 정량분석 결과, 밀푀유나베 채소류에서 평균 6.66 log CFU/g, 육류에서 평균 3.27 log CFU/g, 땅콩소스에서 일반세균이 평균 1.81 log CFU/g로 나타났다. 월남쌈 채소류에서 평균 5.62 log CFU/g, 육류에서 평균 3.82 log CFU/g, 라이스페이퍼에서 평균 2.11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대장균의 정량 분석 결과, 밀푀유나베의 경우 채소류에서 평균 2.94 log CFU/g, 육류에서 1.27 log CFU/g이 검출되었다. 월남쌈 채소류에서 3.31 log CFU/g, 육류에서 1.93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밀푀유나베 식재료 중 청경채와 깻잎에서 검출되었으며, 평균 0.86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육류에 비해 채소류의 오염도가 높았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Salmonella spp., E. coli O157:H7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는 소고기 3개(3.75%)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일부 시료에서 대장균 최대 허용한계치 값을 초과하였고, L. monocytogenes가 검출된 만큼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 세척 과정을 거친 후 섭취 및 조리하는 것이 권장된다.

MZ세대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밀키트 구매 행태 연구 (A study on the buying behavior of meal kits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the MZ generation)

  • 안도경;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67-373
    • /
    • 2022
  • 본 연구는 밀키트를 구매하는 20대에서 30대의 밀키트 구매 요인을 도출하고, 각 라이프스타일 유형에서 어떤 요인에서 밀키트를 구매하길 원하는지 구매 행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1차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밀키트 구매 요인을 7가지로 설정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2차로 구매 기준이 명확한 설문 참여자 남녀 각각 3명, 총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법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20-30대 밀키트 구매자는 설문 조사에서 밀키트 구매 시 평균적으로 품질, 편리, 맛 순서로 구매 요소의 중요도를 평가하였고, 심층 인터뷰에서는 절반 이상의 피험자가 최소한 신선도가 충족되면 밀키트 사용 경험에 만족할 수 있다고 답하였다. 결론적으로, MZ세대 밀키트 소비자는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MZ세대의 밀키트 구매 속성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생활양식 유형의 구매 행태를 알아보는 데에 가치가 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HMR 제품 구매행동과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rchasing Behavior and Choice Attributes of HMR Products by the Middle-Aged and Elderly Based on the Types of Food-Related Life Style: Focusing on Seoul and Gyeonggi Areas)

  • 정유빈;황희원;정효재;오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770-781
    • /
    • 2022
  • 우리나라의 고령인구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고령친화식품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고령자와 향후 고령친화식품 구매 가능성이 큰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 및 분석하여 고령 친화 Home Meal Replacement(HMR) 식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HMR 구매 경험은 중장년층이 높았으며, 간단 조리 후 먹는 음식을 선호하는 응답자가 많았고, 오프라인을 통한 구매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HMR 선택속성 요인은 5개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4개로 나뉘었으며, 군집분석 결과 고관여, 중관여, 저관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Napping® 분석 결과, 제품을 HMR과 밀키트, 국물이 맑은 제품과 진한 제품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고령친화 HMR 식품개발 시 차별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Effects of protein content and the inclusion of protein sources with different amino acid release dynamics on the nitrogen utilization of weaned piglets

  • Hu, Nianzhi;Shen, Zhiwen;Pan, Li;Qin, Guixin;Zhao, Yuan;Bao, Na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호
    • /
    • pp.260-271
    • /
    • 2022
  • Objectiv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ing amino acid (AA) release dynamics of two protein sources on the growth performance, nitrogen deposition, plasma biochemical parameters, and muscle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piglets when included in their diets at normal and low concentrations. Methods: Forty-eight piglets (Duroc×Landrace×Large White) with initial body weight of 7.45±0.58 kg were assigned to six groups and fed one of 6 diets. The 6 dietary treatments were arranged by 3×2 factorial with 3 protein sources and 2 dietary protein levels. They are NCAS (a normal protein content with casein), NBlend (a normal protein content with blend of casein and corn gluten meal), NCGM (a normal protein content with corn gluten meal), LCAS (a low protein content with casein), LBlend (a low protein content with blend of casein and corn gluten meal), LCGM (a low protein content with corn gluten meal). The release dynamics of AA in these diets were determined by in vitro digestion. The digestibility, utilization and biological value of nitrogen in piglets were determined by micro Kjeldahl method. Plasma insulin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s. The protein expression of mediators of muscle synthesis and degradation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Although the consumption of a low-protein diet supplemented with crystalline AA was associated with greater nitrogen digestion and utilization (p<0.05), the final body weight, growth performance, nitrogen deposition, and phosphorylation of ribosomal protein S6 kinase 1 and eIF4E binding protein 1 in the muscle of pigs in the low-protein diet-fed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protein diet-fed groups (p<0.05) because of the absence of non-essential AA. Because of the more balanced release of AA, the casein (CAS) and Blend-fed groups showed superior growth performance, final body weight and nitrogen deposition, and lower expression of muscle ring finger 1 and muscle atrophy F-box than the CGM-fed groups (p<0.05).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balanced release of AA from CAS containing diets and mixed diets could reduce muscle degradation, favor nitrogen retention, % intake and improve growth performance in pigs consuming either a normal- or low-protein diet.

Performance of Suckling Rabbits Fed a Low Fibre Concentrate

  • Piccolo, Giovanni;Bovera, Fulvia;Meo, Carmelo Di;Gazaneo, Maria Pia;Nizza, Antonin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21-1424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wo diets different in crude fibre content and ingredients on performance and on caecal characteristics of rabbits around weaning. Thirty litters from thirty New Zealand White does were divided at Day 18 in two groups fed, respectively, a low fibre concentrate (LFC, consisting mainly of soybean meal, delactated whey, barley) from Day 18-28 followed by a creep feed (CF, consisting mainly in alfalfa meal, barley and wheat bran) from Day 29-32, and a CF from Day 18-32. After weaning (32 days) both groups were fed the CF ad libitum for two weeks.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mortality, milk intake and solid feed intake (from Day 20) were recorded daily, while the live weight of kits was recorded twice, at 18 and 32 days. At day 28, one rabbit/litter was slaughtered in order to obtain data on caecal content characteristics. After weaning, the rabbits were located in collective cages, feeding ad libitum CF; feed intake, live weight and mortality were recorded weekly for two weeks.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milk and solid feed intake and, by consequence, in live weight at weaning; instead, the mortality was higher (12.5 vs 4.5%) for the group (A) that changed diet at 28 days. Group A showed also a higher caecal pH (6.12 vs. 5.72), propionate to butyrate ratio (0.73 vs. 0.46), ammonia content (9.3 vs. 7.1 mmol/l), but a lower total volatile fatty acid content (66.8 vs. 82.1 mmol/l) than B Group, probably due to the dried milk whey in the concentrate. After wean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 use of a low fibre concentrate for suckling rabbits is not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