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ing tool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3초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평가 요소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Context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97-413
    • /
    • 2010
  • 교사가 자기평가를 통해 많은 평가 요소를 일일이 측정하기는 쉽지 않으며, 또한 평가기준 요소가 방대하거나 해당 내용이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것이라면 그 기준의 달성 여부를 판가름하기란 쉽지 않을 것 같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분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 및 의미가 높은 수업평가를 위한 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부문에 초점을 두어 수학 수업평가 요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의 기대는 합리적이고 효과성을 거둘 수 있는 평가기준이 마련되어 이를 토대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 보다 적극적으로 고무됨으로서 교실 수업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 PDF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도형수 과제의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절차와 방법에 관한 연 (A Study o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evel in the Figurate Number Tasks for Elementary Math Gifted Students)

  • 김양권;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45-768
    • /
    • 2010
  • 본 연구는 수준이 다른 여러 영재 집단의 소속 학생들이 도형수와 관련된 과제를 해결하고 창의적 산출물을 도출하는 가운데 그들의 수학적 사고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 있도록 수준별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절차와 방법을 탐구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의 준거와 절차 모형에 따라 도형수 과제의 교수 학습 자료의 원형과 실제적인 자료를 개발하고 그것을 현장 수업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다양한 해결과정을 분석하면서 그 자료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집단의 수준별로 산출물 탐구가 가능한 도형수의 내용 범위를 설정해 보면서 차후 유사한 다른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 개발할 때 고려한 네 가지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메타연구 (Meta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performance by the teaching method for underachievers of learning mathematics)

  • 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31-45
    • /
    • 2020
  • 시대적 흐름과 정부의 정책 시행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수학교육에서 수학학습부진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수학학습부진아의 원인을 밝혀내거나 교수학적 처치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49편을 메타분석하여 수학학습부진에 대한 교수학적 처치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얼마나 큰 효과크기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수학학습부진아에게 교수학적 처치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여러 중재요인을 분석하여 어떠한 환경에서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점도 얻을 수 있었다.

수학 교사의 수업실천역량 향상을 위한 수업관찰도구의 역할 (The Role of Classroom Observation Instruments in Supporting Mathematics Teachers' Instructional Change)

  • 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83-198
    • /
    • 2023
  • Classroom observation instruments are often used to evaluate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s and provide feedback to inform interventions or research studies, or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While designed as research tools, many classroom observation instruments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support teachers' learning and instructional change by providing a focus for formative assessment or self-evaluation of practice. In this paper, we review two classroom observation tools and the protocols for their use with an implementation example for one of the tools. These tools are more foreign to the field compared to others but have features that might serve as affordances in relation to the purposes of a specific investigati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s Teachers' Implementation of UDL-Based Practices and Technology in Mathematics Classes

  • Shin, Mikyung;Kang, Eunyoung;Lee, Ok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7권2호
    • /
    • pp.9-1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urvey-based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s teachers' implement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based practices and technology in their mathematics classes in 2017. A total of 303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online survey on teachers' use of technology for instructional practices, the frequency of technology tool use, and the meeting of UDL guidelines in mathema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their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as somewhat positive in providing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action and expression, and engagement. However, mathematics teachers'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tools in their mathematics classes was generally limited. This study indicated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regarding the use of technology tools and teachers' efforts to follow the UDL guidelines. Applying the Chi-squared test, we further examined how each survey result differed according to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grade levels.

Excel Grapher: 역동적 함수 그래프 도구 (Excel Grapher: Dynamical Graphing Tool)

  • 김경원;이상구;이재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309-32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함수 그래프를 직관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개발한 역동적 Excel Grapher를 소개한다. 더 나아가 개발된 그래프 도구가 대학 및 중 고등학교의 수학교육에 활용 가능한 공학적 도구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http://maxtrix.skku.ac.kr/2010-ExcelGrapher/index.htm)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vised 2022 Korea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mathematics: Applications and interpretation standard level - focusing on high school statistics area

  • Soo Bin Lee;Ah Ra Cho;Oh Nam Kwo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49-73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high school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vised 2022 Korea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IBDP Mathematics: Application & Interpretation Standard Level (IBDP AI SL)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Statistics unit of the two curricula, compare chapter structures and content elements of textbooks, and explore exercises on modeling and utilization of technology to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BDP AI SL statistics covered a broader range of topics. Second, exercises in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typically inquire about one or two questions in each topic, whereas the IBDP AI SL textbook's exercises present a real-life scenario on all relevant topics through sub-questions. Third, the Korean textbook guides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tools only in exercises presented after completing the entire chapter or where the calculation is complex. Also, there were only a handful of modeling exercises in the Korean textbook in contrast to most of the lessons and exercises were modeling exercises in the IBDP AI SL textbook. If these findings can be integrated into teaching practices in Korea, it will provide a direction for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s.

금강비 측정 교구 개발 및 체험수학활동

  • 김기원;도혜경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281-299
    • /
    • 2010
  • In this study we develop mathematical tools for measuring the Geumgang Ratio and we call them Geumgang Ratio Calipers. Also we show a teaching method for ratio through experimental mathematics. With Geumgang Ratio Calipers students measure the Geumgang Ratio in their bodies, materials for everyday life and the Sukgulam. Through this activity, students obtained an interest in mathematics and gained a positive attitude for mathematics.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향상과 Sage 도구를 이용한 수학교육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ies Through the Teaching of Mathematics with Sage)

  • 박경은;이상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19-33
    • /
    • 2015
  • 최근 주요 산업 분야에서 인간 사고와 컴퓨터 능력의 통합을 의미하는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해 왔다. 이에 따라 선진국은 지난 20여년간 수학교과의 수학적 추론,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 CAS(Computation Algebra System)를 활용하여 수학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켜왔다. 이러한 변화에 발을 맞추어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교과서들도 다양한 CAS 도구에 대한 활용을 담아 '컴퓨팅 사고력'의 향상에 발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컴퓨팅 사고력' 기반 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CAS 도구 특히 PC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Sage 도구를 이용한 수학교육 및 수학교과목 구성에 대하여 논한다. 또 구체적인 '컴퓨팅 사고력' 기반 수학교육 모델을 설계하여 대학 수학교육현장에 활용한 내용의 보고를 통하여, 향후 수학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연결큐브 수업을 위한 거북표현체계의 활용 (Educational Application of Turtle Representation System for Linking Cube Mathematics Class)

  • 정혜림;이승주;조한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2호
    • /
    • pp.323-348
    • /
    • 2016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공간 감각의 향상을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교과서에 '연결큐브'를 사용한 활동을 새롭게 도입하고 의사소통과 구체적 조작을 통한 교수 학습 방법을 강조하였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면담 분석 결과 공간 대상에 대한 표현 체계의 부재로 연결큐브 수업의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측면에서 교사가 지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거북표현체계'를 제시하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측면에서 거북표현체계의 효과와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