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instruction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초

Comparison of Teaching Geometry Between China and USA-From an Oriental Perspective

  • Wang, Linquan;Wu, Yuezh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2호
    • /
    • pp.107-116
    • /
    • 2002
  • Geometry is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Chinese school mathematics.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eaching and contents (standards, curriculum) between the US and China. Many mathematics educators in both countries are trying to reform the instruction of geometry and have made some progress. Clos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2000), in which we have found many good ideas. In this paper, we introduce new developments of school geometry in China and have made some comparisons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new technology is becoming popular step by step in Chinese high schools. We believe we should learn from each other and exchange the ideas. In doing this mathematics teaching will be improved.

  • PDF

대칭성' 관점에서 본 '문제해결' 및 '군' 개념지도 (Problem solving and teaching 'group concept' from the point of symmetry)

  • 남진영;박선용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509-52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circleda}$ to disclose the essence of symmetry $^{\circledb}$ to propose the desirable strategy of problem-solving as to symmetry $^{\circledc}$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ymmetry and group $^{\circledd}$ to propose a way of introduction of 'group' in school mathematics according to its fundamental characteristic, symmetry. This study shows that the nature of symmetry is 'invariance under a transformation' and symmetry is the main idea of 'group'. In mathematics textbooks and mathematics education literature, we find out that the logic of symmetry is widespread. We illustrate two paradigmatic problem related to symmetrical logic and exemplify a desirable instruction of Pascal's triangle. This study also suggests a possibility of developing students' unformal and unconscious conception of group with sym metry idea from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실행과 반성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Questions and Practice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Reflection)

  • 김상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251-270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what questions posed, and for arranging the matters, what decisions made, what practices put into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his or her enacting and reflecting mathematics teaching. Analysis of the study focused on the mathematics instructions practiced by four participants in practicum for senior students. Their own questions raised by each one in the instructional designs, performances, and reflections were picked out and categorized by five dimens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the nature of classroom tasks, the role of the teacher, the social culture of the classroom, mathematical tools as learning supports, and equity and accessibility. Their instructional decision-makings and action-takings for answering to these questions were analised.

현장에 적합한 초등 수학 수업 모형 탐색 (A Search for Mathematics Teaching Models for Elementary Schools)

  • 서동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407-4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행 2011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수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학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현장 교원들의 만족도와 활용 정도,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현행 수업 모형에 대한 만족도는 약 80%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활용 빈도는 학기 당 또는 단원 당 1회 정도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교과 중에서는 사회와 과학 수업 모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 수업에 활용하기 편리하다는 점을 들었다. 수학 수업 모형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수학의 다양한 내용 영역을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 수준별 차이를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 직접 교수법 등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을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산 수학 제7차 교육과정의 구현 방안 연구 (Implementing Discrete Mathematics in the 7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Republic of Korea)

  • 이준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127-137
    • /
    • 2002
  • Discrete Mathematics is newly introduced into the 7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Republic of Korea. Every high school can choose Discrete Mathematics as an optional course from year 2002, but mostly from year 2003.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we should know how to implement Discrete mathematics. But it is hard to predict whether Discrete Mathematics will be successful or not, sinc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lack of readiness for the cours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Discrete Mathematics text book developed recently in 2002. Then we see how Discrete Mathematics can be implemented. First, we suggest how the contents in the Discrete Mathematics text book are related to the mathematical values. This will clarify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s in Discrete Mathematics classrooms. Secondly, rich and various discrete contents should be taught. Students should appreciate the realistic merits of discrete mathematics. Thirdly, evaluation methods and their examples will be presented based upon the contents of she text. The evaluation that distinguishes individual achievement levels is closely related with implementation of Discrete mathematics in schools. Finally, we point out the weakness of Discrete Mathematics contents in the 7th curriculum to prepare ourselves for the 8th curriculum.

  • PDF

협동학습 전략의 교수효과: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 STAD 모델의 적용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Applying the STAD Model to High School Chemistry Course)

  • 노태희;차정호;임희준;노석구;권은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1-260
    • /
    • 1997
  •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which emphasize mutual interdependency of learners, group goal, and individual accountability, upon students' achievement, the attitude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the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Before instruction, the prior knowledge test about atoms and molecules, the tes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the perception questionnaire of learning environment were administered, and the grade in the previous mathematics course was obtained. These scores were used as covariates. Mid-term examination score was used as blocking variable. For instruction, three different strategies-traditional individual learning, small group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were used and teaching materials for the units of mole and stoichiometry were also prepared. After instruction, the researcher-made achievement test, the tes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the perception questionnaire of learning environment were administered. The perception questionnaire of group activities was also administered to the two treatment groups. In the quantitative subtest, the scores of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small group lear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raditional individual learning group. However,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s scores in the achievement test and the qualitative sub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mall group learning group and traditional individual learning group. The students i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were found to have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but to have similar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No interaction between the treatment and the level of the previous achievement was found in any of the analyses. In the perception questionnaire of group activities, students in both small group learning group and cooperative learning group exhibited positive perception of group activities. However, students i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tended to think that their activities were related with their group's succes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아동 문학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thematics Instruction Using Children's Literature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 김은하;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7-124
    • /
    • 2012
  • 이 연구는 아동문학을 활용하여 수학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6-나 단계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아동문학을 활용한 세 가지 유형의 수업방식을 10주간 20회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측면과 수학적 태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개방형 문항 검사를 실시하여 t-test로 검증하였으며, 수학적 태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설문검사를 실시하여 t-test와 공변량분석으로 결과를 각각 검증하였다. 또한 학습 상황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과정 및 수학적 태도의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아동문학을 활용한 수업 과정을 캠코더로 촬영하여 그 중 각 유형별 수업을 임의로 선택하여 프로코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학생들의 활동 모습을 관찰하고 인터뷰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아동문학을 수학 수업에 적용하면, 교과서 중심의 일반적인 수학 수업을 진행했을 때보다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학년, 성별, 학교 소재지에 따른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학교와 사회 환경적 측면의 요인 탐색 (Exploring factors in terms of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attitude on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student's academic level, grade, gender, and school location)

  • 정혜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151-1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학교 수학 수업, 학교 수학 평가, 수학 교과서, 수학 사교육, 진학과 진로, 사회 분위기의 측면에서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학년과 전공, 학업성취도, 성별, 학교 소재지에 따른 고등학생 1,0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해 SPSS ver 29.0을 이용한 기술통계량, t 검정과 ANOVA,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 전체적으로 진학과 진로 및 학교 수학 수업이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성별에 따라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 변수에 따라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각 요인의 세부항목에 대한 학생 반응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 개선을 위해 수학 수업 방식의 다양화, 수학 교과서 개선, 수학 사교육에의 올바른 참여, 진학과 진로에서 수학의 활용성 및 사회에서 수학의 중요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개선,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수학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과제와 수업 방향 탐색 (Review on Instrumental Task and Program Characteristics for Measuring and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

  • 성창근;박성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3-267
    • /
    • 2012
  • 본 연구는 창의성이 발현되는 인지적 과정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이를 토대로 수학적 창의성을 계발하고 측정하는데 바람직한 과제와 수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창의성에 대한 영역-특수적 관점과 영역-일반적 관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창의성 발현에 대한 이 두 관점은 이론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수학적 창의성을 계발하고 신장시키기 위해 고안된 과제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친다. 창의성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에서는 수학적 창의성을 검사하고 계발하기 위한 과제와 수업 프로그램이 구비해야할 조건을 이론적으로 탐색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학 수업에서 활용가능한 과제와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결론은 창의성의 발현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수학적 창의성 연구의 핵심이 되어야 하며, 아울러 확산적 사고는 수학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될 수 없으므로, 수학적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일반화, 추상화 등 다양한 수학적 추론과 수학적 지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수학학습장애 연구 동향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 전윤희;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543-563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와 국외의 수학학습장애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들의 전체적인 흐름을 분석하고, 수학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중재 연구의 효과를 메타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대상 논문 201편은 크게 4가지의 주제로서 수학학습장애 학생의 특성, 수학학습장애 학생의 선별, 수학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중재 교수, 기타(메타분석, 교사인식 및 교육과정)로 구분되었다. 또한 수학학습장애 중재 연구는 집단 대상 연구의 전체 평균 효과 크기가 .958로 나타나 수학학습장애 학생의 중재는 효과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교수방법의 효과크기는 전략교수와 직접교수를 혼합한 교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중재횟수는 16회 이상 20회 이하일 때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횟수가 증가할수록 효과크기가 작아졌다. 이러한 메타분석 결과는 후속 수학학습장애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