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experience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22초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assessment)

  • 권나영;오서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295-312
    • /
    • 2020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에 근무하는 중학교 188명, 고등학교 125명의 수학교사로부터 평가에 관한 6가지 영역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학교급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학교 수학교사들이 고등학교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중요도-높은 수행도, 낮은 중요도-낮은 수행도가 많이 나타나고. 학교규모가 클수록 낮은 중요도-높은 수행도에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강원지역 수학과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 오주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79-3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data collected from 126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data collected include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reliability tes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Most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have had no experience of multiple cultures. But they have shown a high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 their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Furthermore, the female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re much more high than the male preservice teachers'.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sex has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예비 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경험과 신념이 그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Beliefs Related to Technology Use in Mathematics Class on Their Technology-related Knowledge)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59-478
    • /
    • 2016
  • 교육에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으로 인한 혜택과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테크놀로지를 통합한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예비 교사의 기술적 교육학적 내용 지식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그들의 신념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고등 수학 교사들의 수학수업에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경험과 신념이 그들의 TPACK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테크놀로지 사용 경험이 많고 학생 중심적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신념을 가진 예비 교사들이, 경험이 적고 교사 중심의 신념을 가진 예비 교사들 보다 테크놀로지에 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교사들의 TPACK과 신념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예비 교사들이 TPACK을 발전 시키고 테크놀로지 통합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지원 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통찰을 제공한다.

초등학교 수학 교사의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그리고 교사경력간의 관계 분석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Constructivist Beliefs, and Years of Experience)

  • 황성환;주유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5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 교사의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그리고 교사경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99명의 초등학교 수학교사의 자료를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교사경력 및 구성주의적 교육신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경력과 구성주의적 교육신념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교육경력과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사이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실습에서의 수학 수업이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ience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 문효영;권성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87-521
    • /
    • 2010
  • 대개의 수학교실에서 교사는 자신의 수학 신념에 바탕을 두고 학생들에게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교사의 수학 신념은 과거의 다양한 수학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만들어지기에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신념은 교육실습을 통해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에 관한 신념이 교육실습 전?후로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분석해 보고, 나아가 이들의 수학에 관한 신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실습 전과 후의 설문조사 및 소수 대상자들을 교육실습 과정에서 관찰조사 한 결과, 교육실습은 예비교사들의 수학 신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들이 지닌 신념에 따라 수업의 방향이 달라지고, 지도교사나 수업에서의 성공과 실패 요인 등이 신념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과정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신념 변화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담고 있다.

  • PDF

What Distinguishes Mathematical Experience from Other Kinds of Experience?

  • NORTON, Anderso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19
    • /
    • 2016
  • Investigating students' lived mathematical experiences presents dual challenges for the researcher. On the one hand, we must respect that students' experiences are not directly accessible to us and are likely very different from our own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we might not want to rely upon the students' own characterizations of what constitutes mathematics because these characterizations could be limited to the formal products students learn in school. I suggest a characterization of mathematics as objectified action, which would lead the researcher to focus on students' operations-mental actions organized as objects within structures so that they can be acted upon. Teachers' and researchers' models of these operations and structures can be used as a launching point for understanding students' experienc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iments and clinical interviews provide a means for the teacher-researcher to infer students' available operations and structures on the basis of their physical activity (including verbalizations) and to begin harmonizing with their mathematical experience.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Conceptions of Mathematics in China: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

  • Yang, Xinr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79-97
    • /
    • 2013
  • This paper reports findings from a survey of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conceptions of mathematics with the adaption of the instrument of the "Conceptions of Mathematics" - Inventory in China. The survey included a sample of 414 Grade 10 students, 441 Grade 11 students, and 400 Grade 12 students from three province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T-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mainly focused on objectivity and reality of mathematics, without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ity, subjectivity, and creativity of mathematics. In addition, besides gender differences,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mong students from different grades, different areas, taught by teachers with different teach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in using reformed curriculum.

사교육과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ivate Tuto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 박순흥;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49-65
    • /
    • 2013
  •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활용해 사교육 참여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고 있는 KELS 1차년도(2005년)부터 3차년도(2007년)의 자료 중 수학 교과에 대한 사교육 참여 여부, 주당 사교육 시간, 월 사교육비, 영재교육 경험 여부, 성별, 초등학교 6학년 성적 자료, 부모님의 월소득, 내재적 동기 그리고 자아효능감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은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여 연구목적에 포함된 변수들에 결측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4,435명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사교육 참여 경험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수학성취도가 높았으나, 사교육 요인 중 사교육 시간과 사교육 비용의 경우 학년과의 상호작용이 수학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영재교육 참여경험은 수학성취도 향상 정도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사교육 비용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재교육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부정적 사교육 비용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이 수학성취도에 주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사교육 효과에 대한 영재교육경험의 영향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A Perspective on Teaching Mathematics in the School Classroom

  • BECKER, Jerr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1-38
    • /
    • 2016
  • WHAT we teach, and HOW students experience it, are the primary factors that shape students' understanding and beliefs of what mathematics is all about. Further, students pick up their sense of mathematics from their experience with it. We have seen the results of the approach to "break the subject into pieces and make students master it bit by bit. As an alternative, we strive to create a teach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re DOING mathematics and thereby engender selected aspects of "mathematical culture" in the classroom. The vehicle for doing this is the so-called Japanese Open-ended approach to teaching mathematics. We will discuss three aspects of the open-ended approach - process open, end product open, formulating problems open - and the associated approach to assessing learning.

초등수학과 교육과정 변천의 교육학적 배경

  • 박성택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18
    • /
    • 1998
  •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through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into humanistic curriculum, and it's pedagogical background is based on the theory of J. Dewey, J. Bruner and J. Piaget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