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riage support polic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생의 개인적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 인식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values and fertility promotion policy perception on Childbearing willngness)

  • 장현정;이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83-90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으로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출산장려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교육자료를 구성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대학생 195명의 자료를 SPSS/WIN 22.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하였으며, 결혼관이 보수적일수록(r=.142, p<.05),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r=.258, p<.01) 출산의지와 유의했다.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결혼관 중 보수적 결혼관, 출산장려정책 중 청년일자리 대책, 일가정 양립지원 대책의 인식 정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출산의지를 9.2% 설명하였다.

가족가치관과 돌봄노동지원정책 욕구의 관련성 연구 (A Relation between Family Values and Needs for Care-Support Family Policy)

  • 변주수;진미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259-277
    • /
    • 2008
  • Traditional familism and family value is known as the value that most Koreans share with. Strong family solidarity and family-centered perception among Koreans influences other social values and ideology. Under the family value, caring for family members is family responsibility instead of government responsibility. Previous studies argued that the family value played a role to impede the development of family policy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relation between the family value and the needs for care-support family polic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family value were related to the specific needs for care-support family policy.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Seoul Families Survey conducted on 2006 by Seoul Women and Family Foundation. The survey data consisted of 2,500 married males and females living in Seoul.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t-test, ANOVA, crosstabs, multiple regression models, and multinomial logit model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while the traditional familism appeared to be held at a certain level, the general attitudes towards cohabitation, divorce, and single-parent family seemed to be less traditional. Second, the familism was found to be partly associated with the needs for the care-support family policy. The respondents who had less traditional value on arriage and child-rearing showed the higher level of needs for daycare center. This finding implied that nontraditional attitudes were related to the needs for an alternative care service such as caring through facilities rather than to the needs for supportive or complementary services. Lastly, the respondents who had higher level of traditional familism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direct economic service (supportive service) than for other types of service in child care. And the less traditional their attitudes towards marriage and child-rearing, the more likely they are to prefer flexible child care services and programs to other types of child care servic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family value was partly influential to family policy. However, 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family value was related to family policy preference rather than to family policy needs. In other words, traditional family value appeared to influence the types of family policy rather than the level of needs for family policy.

결혼이민여성의 직업교육훈련 및 취업관련 시행계획의 비판적 검토 (Critical reviews of job training and employment support trial plans for immigrant wome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86-619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결혼이민여성의 직업교육훈련과 취업지원에 관한 시행계획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함으로서 차기에 수립될 관련 계획과 시행계획의 수립과정과 내용에 반영되어야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강가정기본계획,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에 제시된 직업교육훈련 시행계획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닐 길버트와 폴테릴의 정책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분석결과는 첫째, 내일배움카드 취업성공패키지 특화과정의 미성숙 둘째,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의 미흡 셋째, 정부 부처간 거버넌스의 미흡을 밝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였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최나야;우현경;정현심;박혜준;이순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2호
    • /
    • pp.255-26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about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6 mothers from Mongolia, Philippines, and Japan who were living in Seou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d difficulties of giving birth and child rearing, especially in the earliest years of their children. They were not fully adapted to the ways of living in Korea with little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Second, they were worried about their children's development, particularly language development due to their lack of understanding and fluency in Korean. Third,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cultural and ra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ir children. They expected their children to be treated and respected equally like ordinary Korean children. Fourth, they were anxious about the fact that their children might not acquire the basic academic skills before they enter the elementary schools. Furthermore, they were worried that their children might not get as much educational support as they want. Fifth, despite the burden of mother's role in Korea, they wished to get a job to support their children for better education. In conclusion, the marriage immigrant mothers experienced the stress due to the lack of social support, the discrimination against immigrants, the possibilities of their children's delays in development, the disparity in the level of support for educating their children and the high expectations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in Korean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olicy makers to consider more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for the marriage immigrant mothers to build up self-confidence in child rearing and educating their children.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분쟁해결방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베트남·캄보디아 출신여성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Dispute Resolution Pattern of Vietnamese and Cambodian Marriage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 정용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7-138
    • /
    • 2020
  •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과 캄보디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분쟁해결 대처방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두 번의 세부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폐쇄형 설문지를 통하여 12명의 베트남과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두 번째 연구는 5명의 베트남과 캄보디아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에 대한 응답과 면접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상당수 결혼이주 여성들은 분쟁이 발생할 때 주로 모국인과 상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부부 자체적으로 분쟁을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들은 분쟁이 발생할 때 주로 갈등회피 형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 센터가 분쟁해결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노년기 남편을 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인적지지와 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Effe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to marriage immigrant wives whose spouse of in an old age : Focusing on Social service and Human support)

  • 이명화;이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47-62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의 인구 고령화현상과 다문화가족 증가추세에 주목하여 남편이 노년기에 진입한 '노년기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인적 지지와 사회 서비스의 결혼만족도 영향력 검증을 위해 시행되었다. 분석에는 2009년 실시된 '전국 다문화 가족 실태조사' 자료에서 2009년 현재 남편의 나이가 만 65세 이상인 여성결혼이민자 236케이스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노년기 남편을 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는 5점 만점에 3.9점이며, 어려울 때 의논상대는 모국인형이 36.6%로 가장 많으며, 모국가족과는 '주 1~2회 이상' 연락하는 경우가 44%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어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 영향변인으로는 차별경험이 없을 때, 건강상태가 좋을 때, 어려울 때 의논상대가 한국인 일 경우, 모국가족과 '년 1~3회' 연락할 경우, 사회적응교육을 받았을 때 결혼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베트남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감 영향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among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 김연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427-434
    • /
    • 2016
  • 본 연구는 베트남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감에 관한 연구로서,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한국인 남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여성의 긍정적 내적자질로서의 자아효능감, 남편과 지인으로부터 받는 사회적지지, 그리고 문화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중심으로 결혼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증하였다. 표집방법으로는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베트남출신 여성결혼이민자 201명이었다. 4단계로 이루어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최종모델에서 결혼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의 연령(${\beta}=-.18$, p<.01), 사회적지지(${\beta}=.61$, p<.001), 문화적응 스트레스(${\beta}=-.24$, p<.001)로 나타나 남편의 연령이 젊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할수록 결혼만족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변인들의 결혼만족감에 대한 설명력은 58.6%로 높게 나타났으며, 베트남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감 증진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에 관해 제언하였다.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결혼 및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of a College Student on Marriage and Childbirth Intention -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Mediating Effect)

  • 이연숙;이경희;오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253-26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과 결혼 및 출산의도와의 관계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일개 대학의 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SPSS 22.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Fisher's exact 검정,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위하여 Sobel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정폭력 경험 학생이 미경험 학생에 비하여 출산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044),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도 낮았다(p≦.000, p=.001). 자기효능감은 가정폭력을 경험한 학생과 경험하지 않은 학생 모두의 결혼의도와 출산의도와 관련이 있었다(p=.001, p≦.000). 결혼 및 출산의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발견하기 어려웠다. 대학생의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가정폭력을 낮추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culturation Type and Life's Satisfaction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 전리상;조홍중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77-284
    • /
    • 2019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문화적응 유형을 파악하고, 이 유형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적응유형을 동화 요인, 변화 요인, 주변화 요인, 분리 요인 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적응유형들 중 통합 요인, 동화 요인 등이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분리 요인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결혼이주여성들이 우리나라에 잘 적응하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결혼이주여성의 본국 가족, 친구 등과의 교류장치 개발, 또한 한국 사람들과 어울릴 기회 확대, 한국 사람들의 친근한 처우와 교류 촉진 등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에서의 거시적 정부정책도 동화주의 정책 보다는 다문화주의를 지향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는 표본의 지역적 한계,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 변수의 한계, 횡단적 연구로의 한계 등으로 앞으로는 더 폭넓고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고령군의 다문화가정 지원현황과 과제 (The Phenomena and Problems of the Supporting Activities to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Goryeong-gun)

  • 조현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7-366
    • /
    • 2008
  • 본격적인 글로벌시대를 맞이하여, 지역수준에서에서의 자본, 상품, 문화의 초국가적 이동과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동과 교류의 직접적인 장이 되고 있는 지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야기되고 있는 다문화담론의 주요 대상인 결혼이주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령군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 시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했다. 그 결과, 고령군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원은 고령군청과 교육청이 주축이 되어 실시하고 있었으나, 유사한 지원내용이 중점적으로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기관간의 연계가 부족하여 지원내용을 개선하고 향상시키고자하는 노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지역에서의 다문화현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내용과 지원을 하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원의 중심이 되어 지역 내의 자원과 인재를 적지적소에 활용하는 통합정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