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hers' Parenting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 Choi, Na-Ya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 Woo, Hyun-Ky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l Univ.) ;
  • Jung, Hyun-Sim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l Univ.) ;
  • Park, Hye-Jun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l Univ.) ;
  • Yi, Soon-Hy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l Univ.)
  • 최나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아동학) ;
  • 우현경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정현심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박혜준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about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6 mothers from Mongolia, Philippines, and Japan who were living in Seou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d difficulties of giving birth and child rearing, especially in the earliest years of their children. They were not fully adapted to the ways of living in Korea with little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Second, they were worried about their children's development, particularly language development due to their lack of understanding and fluency in Korean. Third,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cultural and ra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ir children. They expected their children to be treated and respected equally like ordinary Korean children. Fourth, they were anxious about the fact that their children might not acquire the basic academic skills before they enter the elementary schools. Furthermore, they were worried that their children might not get as much educational support as they want. Fifth, despite the burden of mother's role in Korea, they wished to get a job to support their children for better education. In conclusion, the marriage immigrant mothers experienced the stress due to the lack of social support, the discrimination against immigrants, the possibilities of their children's delays in development, the disparity in the level of support for educating their children and the high expectations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in Korean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olicy makers to consider more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for the marriage immigrant mothers to build up self-confidence in child rearing and educating their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1999).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2-79
  2. 강희경(2003).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31-37
  3. 구효진.최진선(2007).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43-67
  4. 김상임(2004). 상담사례를 통해 본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 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창립3주년 심포지엄 자료집,17-48. 이주여성인권센터
  5. 김승권.장경섭.현송.정기선.조애저.송인주(2000). 한국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오남(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18, 33-76
  7. 김현미.김민정.김정선(2008). 안전한 결혼 이주?-몽골 여성들의 한국으로의 이주 과정과 경험. 한국여성학, 24(1),121-155
  8. 김현희(2007). 현대의 다문화가족: 한국의 결혼이민 배경과 현황. 민족연구, 31, 6-45
  9. 김희태(2001).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다문화의 의미. 영유아보육연구, 7, 1-18
  10. 노영주(1998).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박미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서현.이승은(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13. 설동훈(2006). 한국의 결혼이민자가족: 현황과 정책. 결혼이민자 가족: 다양성과 공존을 향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4. 설동훈.김윤태.김현미.윤홍식.이혜경.임경택.정기선.주영수.한건수(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15. 양옥경.김연수(2007). 서울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8),79-110
  16. 양정화(2005). 이주여성의 차별과 폭력경험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오성배(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18. 오성배(2007). 국제결혼 가정의 교육환경과 문제. 교육비평, 22, 186-213
  19. 왕한석(2007). 또 다른 한국어: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언어적응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서울: 교문사
  20. 유우영.최진아.이숙(199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51-61
  21. 윤기영(1997).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학부모됨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7(2), 161-181
  22. 이순형.문무경.최연실.이숙정.정하나.우현경(2006). 농촌여성결혼이민자 정착지원 방안. 농림부 연구용역과제보고서
  23. 이순형(2007). 결혼이민자의 생활적응문제와 지원방안.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다문화생활교육센터 개원심포지엄자료집
  24. 이순형.권영례.박찬옥.박혜준.안경화.염명순.이강이.진미정.우현경.정현심.최나야(2008). 다문화가정 부모자녀 통합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연구용역 보고서
  25. 이승은.서현(2008).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들의 교육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9(4), 147-166
  26. 이은해(1997).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자녀양육에 관한 난이도 지각과 아동의 발달. 대한가정학회지, 35(3), 31-45
  27. 이진숙(2007). 국제결혼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21-42
  28. 이혜경(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29. 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9(3), 161-186
  30. 정미라.허혜경.박은혜.권정윤(2007). 생애초기 기본학습능력보장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CR2007-2
  31. 정은희(2002).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32. 조영달.윤희원.박상철(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부 정책연구 과제 2006-이슈-3
  33. 채옥희.홍달아기(2007).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 적응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6(1), 61-73
  34. 최연실(2007). 결혼이민여성의 일상 및 발달과 적응 - 농촌거주 결혼이민여성의 결혼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인간 발달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추계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115-141
  35. 최연실.이순형.문무경(2008). 농촌거주 결혼이민여성의 발달과 적응. 인간발달연구, 15(3), 225-248
  36. 최영신(1999). 질적자료수집: 생애사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2), 1-22
  37.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38. 행정안전부(2008). 200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실태조사결과. 행정안전부 지방행정국 자치행정과
  39. 허미화(2008).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변화와 국제결혼가정 유아의교육환경 고찰. 유아교육연구, 28(1), 265-281
  40. 홍달아기.채옥희(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41. 황상심.정옥란(2008).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관련 상관 연구. 언어치료연구, 17(1), 81-102
  42. Ataca, B. & Berry, W. J. (2002).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7(1), 13-26 https://doi.org/10.1080/00207590143000135
  43. Berg, B. L. (2001).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4th). MA: Allyn & Bacon
  44. Berry, J. W. (1998). Cross-cultural psychology: Research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Diaz, J. O. P. (1999). Acculturation and disaster-induced stress in migrant populations: Special needs and recommendations for interventions. Migration World Magazine, 27(1/2)
  46. Goldman, M. (1999). The violence against Women Act: Meeting its goals in protecting battered immigrant women. Family and Conciliation Courts Review, 37, 375-392 https://doi.org/10.1111/j.174-1617.1999.tb01311.x
  47. Homles, T. H.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11, 213-218 https://doi.org/10.1016/0022-3999(67)90010-4
  48. Secco, M. L. & Moffatt, M. E. (2003). Situational, maternal, and infant influences on parenting stress among adolescent mothers.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26, 103-122 https://doi.org/10.1080/01460860390197862
  49. Silver, E. J., Heneghan, A. M., Bauman, L. J., & Stein, R. E. K. (2006).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s to parenting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in inner-city mothers of young children.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10(1), 105-112 https://doi.org/10.1007/s10995-005-0024-4
  50. Stewart, D. W. & Shamdasani, P. M. (1990). Focus Groups:Theory and practice. Newbury Park, CA: Sage
  51.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Groun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2nd ed.).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