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leisure industr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2초

제주도 해양레저장비산업 육성 방안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Jeju Marine Leisure Equipment Industry)

  • 이영진;송영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286-301
    • /
    • 2012
  •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development strategy of Jeju Marine leisure equipment industry for facilitating marine leisure tourism industry. For achieving this goal, the case studies related to domestic & foreign marine leisure equipment industry, interviews of marine leisure equipment company, the contents of specialist consultation meeting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were suggested in progress that step 1 was the expansion of maintenance infrastructure as of a port of call, step 2 was the establishing of marie leisure tourism image, step 3 was the integration of marine leisure equipment industry. More specific suggestions were followed. As an aspect of infrastructure, the expansion of management of marine leisure equipment such as yacht, development of marina having similar image of Jeju were suggested. As an aspect of law/institution,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support system on the marine leisure equipment, promotion of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were suggested. As an aspect of contents/programs, the hosting the exhibition of marine leisure used equipment of international trade,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program associated with cruise were suggested, Finally, as an aspect of promotion/marketing, the promotions linked with drama & movie industry, the strategy of improvement of negative image to the yacht industry were suggested.

수산계고 해양레저산업과 신설에 대한 인식 조사 (Recognize Survey for Founding of the Department of Marine Leisure Industry in Fisheries High School)

  • 박종운;김영훈;강버들;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556-56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founding of the department of marine leisure industry in fisheries high school. Research methods were used a survey district, students and teachers in fisheries high school and industry human are 353 people in the targe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in favor of making the marine leisure industrial department had more than 81%. The second, teachers and industry people selected core factors include oceanography, water leisure, leisure diving, commercial diving, lifeguard, rafting. Finally, subject for the department of marine leisure industry in fisheries high school are fisheries shipping industry basis, understanding of the ocean, marine leisure tourism, underwater technology, navigation, seamanship, maritime laws regulations, heat engines and aquatic organism.

A Competitive Intensification Plan for Marine Leisure Equipment Industry in the Southeast Region

  • Lee, Jae-Hy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1-140
    • /
    • 2012
  • Since 2000, S. Korea is building yachts through government supported localization,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or partnerships with foreign firms but the yacht building has yet only accomplished trial manufactured ships and one-time production. Because of a lack of mass production, the industry assesses the domestic technical skills to an average 50~60% of developed countries and its market share is less than 1% in the world. In addition, domestic marine equipment is heavily depending on imports and the industry is experiencing shortage of technology and experts, small-sized companies, insufficient industry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cooperation networks, inadequate legislation and policies, deficient domestic market vitalization, and scarce international information.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alternative plan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and to cope with problems in the southeast marine leisure equipment industry.

국내 요트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Problem and Status of Yacht Industry in Korea)

  • 박성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7-5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해양레저의 국내외 현황을 소개하고 국내 해양 레저와 요트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해양레저의 해외 우수 사례를 소개한다. 아울러 국내 해양 레저와 요트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해양레저 산업의 전망을 분석하였다.

  • PDF

해양레저스포츠 정책의 발전방향 (A Course Development of the Marine Leisure Sport Policy)

  • 김찬룡;이재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5-423
    • /
    • 2008
  • 이 연구는 해양레저스포츠 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 해양레저스포츠에 관한 선행연구와 실태분석, 해양레저스포츠의 장애요인 및 발전요인을 분석하였다. 해양레저산업의 발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기반의 문제로 해양문화에 대한 홍보 미비로 인한 국민들의 인식개선, 해양레저 산업에 대한 국가정책 반영 강화, 해양산업 해양레저스포츠 복합단지의 국가자원화 개발 중복 투자 방지, 선진국과의 긴밀한 network 구축 강화이다. 둘째, 인적기반의 문제로 해양레저 산업분야의 전문부처 조직신설, 전문지도자 육성 및 기반조성 사업의 TF팀 육성 강화이다. 셋째, 시설기반의 문제로 해양레저 관련 SOC의 확충, 해양레저 시설개발을 위한 법 제도적 규제완화, 지방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체계로 인한 난개발의 방지이다. 넷째, 법 제도적 기반의 문제로 규제 중심의 관련법규 철폐, 정책의 혼선으로 인한 법 제도적 혼선 방지이다. 다섯째, 산업적 기반의 문제로 국내 수요공급 확충과 부품산업의 강화, 선박/엔진 등 정비사 자격제도의 육성이다.

호남지역 해양레저산업 발전을 위한 친환경 해양레저 기반시설 구축방안 (A Plan for Building up Echo-marine Leisure Infrastructure for the Industrial Growth to Marine Leisure at Ho-Nam Area)

  • 박성현;정중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9-85
    • /
    • 2007
  • 세계 각국은 관광과 문화 사업을 21세기 국가 전략 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관광 선진국들의 사례를 비춰볼 때 국민소득이 2만$\sim$3만 달러 이상 증가하면 육상 관광과 레저에서 해양 관광과 레저로 추이가 이동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주 5일 근무제의 시행으로 근로시간 단축에 따라 가족 지향형 가치관의 형성으로 가족단위의 여가활동 및 여행수요 증대의 보편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해양레저를 즐기고자하는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기반시설 부족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 서남해안 해역은 수많은 다도해가 자연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해양레저 산업을 활성화 시키는데 적합한 천혜의 자연조건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반시설 부족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양레저 기반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서남해안 해양레저 산업 활성화에 필요한 친환경 해양레저 기반 시설 구축 방안에 관하여 논한다.

  • PDF

동남권 해양레저시설의 해양디자인기반에 관한 연구 - 해양레저시설 조사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rine Design Base of Marine Leisure Facilities in Southeast Area of Korea - Focusing on the investigation of marine leisure facilities -)

  • 박광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185-212
    • /
    • 2014
  • 본 연구는 해양레저시설의 기반을 조사하고 디자인개발과 동남권역의 특성화를 위한 해양레저제품 카테고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해양산업 발전에 미래상을 연구하였다. 국민소득이 2만 불 시대엔 마이카시대라 하고 3만 불이면 마이보트시대라 한다. 영국에 본부를 둔 마린 사우스이스트(Marine SouthEast)의 보고에 의하면 2010년 세계 소형보트와 개인용 수상장비의 규모가 277조원에 이르고 국내시장 규모도 11조원을 예상하고 있다. 해양레저시설은 국가의 전략, 핵심 산업으로 육성해야하는 신 성장 동력산업이며, 정부는 해양레저장비산업 활성화 방안(2009년 6월, 지식경제부), 해양레저 활성화방안(2010년7월, 국토해양부), 제1차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2010년1월, 국토해양부) 등을 발표하여 해양산업육성에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해양디자인은 바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해양활동에 디자인요소를 기능적, 예술적, 산업적, 문화적 발전을 통해 국가적 위치와 인간 삶의 질적 가치를 추구하는데 있다. 또한 해양과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과 연관된 것으로 물을 중심으로 한 특수한 조건을 포함하고 있는 디자인 영역이다. 3면이 바다인 조건이 국민의 질적 수준의 발전으로 국가 전략 방향이 산업과 문화융합과 지역의 특성화와 유망산업으로서 2010년대에 선진화된 해양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는데 현재 우리의 가치기반이 되는 해양레저시설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지역별 현황 보유장비, 시설유형, 운영현황과 해양레저시설 이용객의의 부문별 이용현황, 해양레저 제품의 향후 전망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동남권 해양레저 제품별 실태조사를 통하여 유망한 해양레저제품 개발 시 디자인역할과 프로세스를 제시하여 시장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기반을 예측하게 될 것이다.

  • PDF

해양레저 산업의 통합 정보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Marine Leisure Industry)

  • 김용섭;김대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24
    • /
    • 2013
  • 해양레저 산업의 후발주자인 국내 해양레저 산업이 국내 시장 및 세계시장에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획, 설계, 계획과 준비 등 제품 개발 및 제조의 각종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켜 높은 수준의 시장 적응력을 확보해야 한다. 위 사항들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해양레저 산업 전반을 관리 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 구축이 절대 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유관 산업 시스템간의 유기적 연결고리를 찾아서 요구되는 통합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단순 순차적 정보의 흐름이 아닌 통합적 정보 흐름과 객체 지향적 정보 분류체계를 확보하는 것이 주요 연구 핵심 사안이다. 이를 위하여 다른 유사 산업에서 실재 정보 체계를 활용한 사례 및 산업생산에 적용된 제품수명주기관리(PLM), 제품 데이터 관리(PDM), 가상 생산(DM)과 같은 방법론을 검토 하고 이를 구성 및 적용하여 실질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정보 체계 및 작업분류체계(WBS)의 사례를 연구하여 비교 한다. 이를 통하여 해양레저산업을 위한 기본적인 작업분류체계 구성을 추진하며 실재 업체에서 현재 활용중인 정보를 입력, 대입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해양 레저 산업의 고유한 영역을 추가하여 해양레저 작업 분류 체계(MLWBS)를 완성한다. 본 해양레저 작업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정보체계 및 제품, 설계, 엔지니어링, 생산, 구매, 영업, 마케팅, AS, 고객지원 등에 다양한 형태의 활용이 가능 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드벤딩 기술을 이용한 레저선박(요트) 가구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Furniture Design for Leisure Boat (Yacht) Using Wood Bending Technology)

  • 백은;류종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6-46
    • /
    • 2017
  • Recently, the demand for marine leisure industry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five-day work week and the per capita income approaching US $ 30,000. In particular, the Republic of Korea is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and is composed of 3,150 islands and coastline. As shipbuilding infrastructure is abundant and the government is expected to actively support policies as a new growth engine, leisure boat furniture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rapidly along with leisure boat manufacturing. Therefore, in this paper, after understanding the leisure boat (yacht) and analyzing the requirements of yacht furniture, we proposed a beautiful yacht furniture design that is lightweight, durable and safe using a 120-foot super yacht that can bes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yacht furniture using wood bending technology and color variation of woods.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마리나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ategy Development of Marina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 강남선;권용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6-97
    • /
    • 2011
  •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및 연안지역 접근성 개선으로 해양관광 활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양레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제반시설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실정이다. 또한 해양레저 활동을 위한 인프라 확충 및 수출지향형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대응을 위한 마리나 육성계획을 추진 중이나, 유휴시설 발생 및 중복개발로 인한 예산낭비가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진 마리나 운영모델 및 프로그램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하여 마리나 이용자의 편의증진 및 시설의 효율성 개선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마리나 시설의 국내 외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한국형 마리나 운영모델 및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