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tr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불교 진언과 대순진리회 주문의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antra of Korean Buddhism and the Jumun of Daesoonjinrihoe)

  • 박인규
    • 대순사상논총
    • /
    • 제22권
    • /
    • pp.387-432
    • /
    • 2014
  • In this paper, I want to compare the mantra of Korean Buddhism with the jumun(呪文) of Daesoonjinrihoe in rites and cultivation. Regarding the mantra of Buddhism there are some researches, but there are few studies with regard to the jumun of Daesoonjinrihoe. The mantra of Buddhism and jumun of Daesoonjinrihoe look similar in pronouncing Hangul characters, but the religious and historical context around these seems to be different. The mantra of Korean Buddhism i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process of esoteric Buddhism. In the early period of Buddhism some mantras were allowed by Buddha and the mantras were certified as a educational teaching in the period of Early Buddhist schools. In Mahayana school, the dharani that was abstracted from the vast Mahayana scriptures was developed. As Mahayana Buddhism develops, esoteric Buddhism was born in India. Esoteric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China and was imported into Korea in Silla dynasty. In Koryo dynasty various rituals of esoteric Buddhism flourished and Jineunjong(眞言宗) and Chongjijong(總持宗) school were formed. In Chosun dynasty Buddhism was suppressed by government and the esoteric school was discontinued. But in rituals and cultivation the mantra and dharani were flourished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In modern period several esoteric schools were formed and developed. In present context the mantra was recited by many people in Korea. Main mantras are 'Om mani padme hum', 'Dharani of Avalokitesvara(神妙章句大陀羅尼)', 'neungumju(楞嚴呪)', 'Gwangmyung mantra(光明眞言) etc. The jumun of Daesoonjinrihoe was started by Kang Jeungsan(姜甑山) who was believed to be a God by Daesoonjinrihoe believers. Jeungsan used several existed mantras in creating new heaven and earth and made new jumuns by himself and taught them to his followers. Cho Jungsan(趙鼎山) who succeeded to the doctrines has received the jumuns by Jeungsan. He selected the jumuns to recite and determined the method how to spell these. Park Hankyung(朴漢慶) who opened Daesoonjinrihoe succeeded the rituals and doctrines. Every day ritual of Daesoonjinrihoe is chanting the jumun and the cultivation and gongbu(工夫) is practiced through jumun. Important jumuns of Daesoonjinrihoe are Taeulju(太乙呪) and Kidoju(祈禱呪). In the aspects of ritual, the mantra of Buddhism and the jumun of Daesoonjinrihoe perform a similar function. The mantra of Buddhism has the context of the doctrines of Buddhism and the method of Buddhistic practicing but the jumun of Daesoonjinrihoe is related to Jeungsan's teaching and the doctrines of Daesoonjinrihoe. But it is same that the mantra and jumun are used in communicating or uniting with ultimate reality. So the mantra and jumun are important vehicles for homo religius to meet the sacred and unite with the sacred and is regarded as the sacred word by the faithful which has a lot of symbols and meanings.

고려 후기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의 해석과 의미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Celadon Inlaid with Sanskrit Mantras in the late Goryeo Dynasty)

  • 이준광
    • 미술자료
    • /
    • 제104권
    • /
    • pp.70-100
    • /
    • 2023
  • 불교가 융성했던 고려 사회 속에서 만들어진 청자에는 불교문화의 여러 단면이 담겨 있다. 그중 범자(梵字)가 새겨진 상감청자는 불교 중에서도 밀교와 밀접한 영향 관계에 있을 것이란 점은 익히 알려져 왔으나 판독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는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전하고 있는 자료의 수가 적은 데다 잔존 범자도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강진 사당리 23호 요지에서 이루어진 4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새로운 자료를 발견하게 되었고, 이 자료들을 판독하여 기존 자료들도 몇 가지 유형에 편입시킬 수 있었다. 범자 판독과 해석을 통해 얻은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자에 상감된 범자는 진언(眞言)을 이루는 글자들이었다. 범자 한 자만 남아 있는 경우 해석을 유보해야 했지만, 그 밖의 범자들은 동심원 구조인 자륜진언(字輪眞言) 방식 속에서 '정법계진언', '육자대명진언', '감로수진언', '보루각진언', '구보살원주', '무량수여래심주', '멸악취진언'을 표기하고 있었음을 판독했다. 각 진언은 실담(悉曇, Siddham) 범자로 표기되어 있었다. 둘째, 제작 시기는 범자 배치 방식과 '감로수진언'이 40수 진언에 포함되는 양상을 근거로 13~14세기에 걸친 것으로 보았다. 특히 진언이 있는 동심원 구조의 상감청자 자료들은 제작 특징을 보아 13세기 말~14세기 전반으로 편년했다. 셋째, 상감된 진언들의 해석을 통해 모두 파지옥(破地獄)과 정토왕생(淨土往生)을 의미하고 있음을 알았다. 이를 근거로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 중 일부는 시아귀회(施餓鬼會)와 같은 망자(亡者)를 위한 불교 의례에 사용했으리라 판단했다. 또한 사당리 23호 요지와 '가'구역이 왕실용 자기 생산지로 추정되기 때문에 의례 또한 왕실 혹은 그 영향력 안에 있는 사찰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넷째,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은 원대 자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없었다. 그래서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은 원의 불교문화와 고려가 이미 품고 있던 밀교적 요소가 더해져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은 고려 후기 사회에 퍼져 있던 개인적 밀교 의례의 한 측면을 보여 주는 자료였다. 당장의 불안을 해소해 주길 바라는 데서 촉발된 밀교의 변화는 묘지(墓誌), 관등에서도 찾을 수 있었는데 파지옥과 극락왕생에 대한 염원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여섯째, 다른 공예품과 비교할 때 공통점으로 실담 범자를 사용했다는 점, '육자대명진언'을 중심적으로 활용했다는 점, 기와와 배치 방법이 유사하다는 점, 범종·목관·묘지의 진언과 의미상 상통한다는 점이 있었다. 차이점으로는 '멸악취진언'과 '감로수진언'은 다른 공예품에서 발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상감청자 특유의 경제성과 제작의 용이성은 다른 공예품과 차별되는 장점으로, 바로 이 점 때문에 범자 진언을 새길 기명으로 청자가 채택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 판독하지 못한 자료들은 추후 잔존 상태가 양호한 자료가 보고된다면 새로운 유형을 수립하여 편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

티베트 싱잉볼 차크라 배열과 차크라연꽃 만트라의 상승 구조의 유사성 연구 (A Study on the Similarity of Rising Structure of Tibetan Singing Bowl Chakra Arrangement and Chakra Lotus Mantra)

  • 김현주;이거룡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3-51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nique chakra arrangement of Tibetan singing bowls resembles the mantra of chakra lotus in the tantric tradition and the structure of chakra ascent, The two aim at the liberation of consciousness and confirm that they have a body, mind, and conscious healing mechanism. Methods : Firs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ibetan singing bowls arrangement and chakra lotus mantra arrangement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Next, the healing mechanism of Tibetan singing bowls, which has been learned in Nepal, was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to clarify that the rise of chakra in the two systems has a balance of body, mind, and consciousness and aims at liberation of consciousness. Results : The arrangement of Tibetan chakras is similar to the mantra of chakra lotus. Both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auxiliary sound of the previous chakra is interlocked with the structure of being the main sound of the next chakra to raise the chakra. At this time, the rise of the chakra is the liberation of consciousness by the ultimate purpose. Conclusion : Tibetan chakra are structurally similar to chakra lotus mantras and chakra ascents, as they have a theoretical background to tantric traditions. Chakra is the quality of inner consciousness that is conveyed to the outside and expressed in its own actions. Therefore, chakras should be well coordinated to lead our lives healthily. In this point, the chakra arrangement of Tibetan singing bowls is a system that exposes the inner balance to the outside and heals us more directly. Therefore, Tibetan singing bowls therapy has an integrated medical value in restoring our mind and body balance. Because chakras are dimensions of consciousness, the study of chakras is abstract or lacking, so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study of chakras is needed.

양주 회암사지 출토 범자 진언명(眞言銘) 기와의 특징과 의의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Sanskrit Roof Tiles in the Hoeamsa Temple of Yangju City)

  • 엄기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2호
    • /
    • pp.4-25
    • /
    • 2017
  • 양주 회암사는 고려말기부터 조선초기까지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크게 중창되어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다. 특히 당대의 고승이었던 지공선사, 선각왕사 혜근, 무학대사 등과 인연을 맺으면서 여러 번 지속적으로 중창되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회암사는 조선전기 불교계의 중심으로서 불교문화를 선도하는 사찰이 되었다. 이러한 회암사는 조선후기에 소실된 이후 1997년부터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회암사지에서는 막새기와, 평기와, 특수기와 등 다양한 유형의 기와들이 출토되었는데, 이중에서 막새기와는 시대적인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물이다. 그리고 다양한 범자 진언명 기와들이 출토되었다. 양주 회암사지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수막새와 암막새가 출토되었는데, 이 중에서 우수한 제작기법으로 범자 진언이 새겨진 막새가 상당량 출토되었다. 범자 진언은 1자에서 9자까지 다양한 유형의 범자 진언이 새겨졌는데, 그중에서 정법계진언과 육자진언이 새겨진 기와가 가장 많이 출토되었다. 이 진언은 도량을 청정케 함과 동시에 조선시대 들어와 육자진언 신앙이 본격화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회암사지에서는 편년을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범자 기와가 출토되어 다른 사찰 범자 기와의 편년 설정의 기준이 되고 있다. 이것은 회암사의 범자 기와를 제작한 와공들이 범자 진언에 대한 신앙과 이해가 높았음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조선시대 회암사 이후 대부분의 사찰에서 범자 진언명 기와가 사용된 것으로 보아 회암사가 우리나라 범자 진언명 기와의 제작과 활용에 있어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준 사찰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회암사지 출토 범자 진언명 기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정산 송규의 사상 형성과정에 미친 증산의 영향 (The Influence of Jeungsan on the Thought Formation Process of Jeongsan Song Gyu)

  • 김탁
    • 대순사상논총
    • /
    • 제38집
    • /
    • pp.47-82
    • /
    • 2021
  • 원불교의 제2대 종법사인 정산 송규는 15세 때 증산교인들과 만나 많은 영향을 받는다. 정산은 그들의 권고로 가야산에서 3개월 동안 수행했으며, 가족들에게도 태을주(太乙呪) 수련을 하도록 포교했다. 이후 정산은 18세 무렵에는 여러 이적을 나타내기도 했으며, 그 해 가을에는 증산의 행적을 좇아 멀리 전라도까지 찾아간다. 그곳에서 정산은 증산의 누이동생을 자신의 고향인 경상도 성주에 모셔와 백일치성을 드리는 정성을 보였다. 다시 증산의 생가를 찾아간 정산은 증산의 외동딸로부터 「정심요결」이라는 도교적 수련서를 전수받았고, 증산이 천지대도를 연 장소인 모악산 대원사에서 10개월간 공부를 행하였다. 대원사에서 만났던 증산교인과의 인연으로 그녀의 집에 머물던 정산은 그곳에서 비로소 소태산과 만났다. 소태산과의 만남이 있기 이전의 청년 정산은 증산교인이었음이 분명하다. 정산은 원불교를 선언한 이후로도 제생의세(濟生醫世)라는 증산의 종교적 표어를 사용했고, 증산이 제자들에게 써주었던 글귀를 주문처럼 외웠으며, 증산이 짓거나 인용한 한시(漢詩)를 언급했다. 그리고 정산은 증산이 지은 『현무경(玄武經)』에 나오는 구절들을 독특하게 해석했으며, 증산이 했던 말을 자주 인용했다. 나아가 정산은 증산의 언행록에 나오는 글귀에 대한 제자들의 질문에 나름대로 대답했으며, 증산을 개벽을 주재하는 삼원(三元) 가운데 한 사람으로 적극 인정했다.

Conflict Avoidance in Construction Projects: Six 'C' Rescue Factors

  • Acharya Nirmal Kumar;Lee Young-Dai;Kim Sa-Myeong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6호
    • /
    • pp.193-204
    • /
    • 2005
  • Conflict is aroused when different people having different interest work together for fulfilling same the objectives. As the construction field is large, complex, volatile and requires tremendous capital, there are always greater challenges and possibility of risks of conflicts. Poor management practices in construction site and trying to protect risks and threats by contracting parties are the cited sources of the construction conflicts.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is to resolve the problems before these cultivate as conflicts. This paper has identified six dispute avoidance factors-Convince, Coordination, Consideration, Compromise, Consolation and Coercion. Six 'C' factors described in this paper are the mantra (formula) to execute a conflict free construction project. The conflict avoidance factors have been verified through a successfully executed project called TEVT development project (Technic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during 1993-1998 in Nepal. The results show that the six 'C' factors 'C' consider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construction conflicts would be controlled or minimized effectively.

대순진리회 수행 연구의 경향과 과제 (Research Trends and Problems on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24_1권
    • /
    • pp.315-349
    • /
    • 2014
  •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bring the researches on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which have been at a standstill after analyzing the directions of studies on Cultivation Practice and diagnosing its problems, in addition to that, the paper was also conducted in a way of discussing th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uture. This work enables scholars who have interests in Daesoon Thoughts to easily comprehend over the length and breadth of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as well as help them understand what level of researches regarding Cultivation Practice has been demanded. Furthermore, this paper will be a step-stone for scholars to ponder how and on what perspective they approach a wide variety of studies on Daesoon Thoughts. The problems reflect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on Cultivation Practic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cept a few researches in general, problem recognition, research target, style, method, and content are not diverged from the frame defined by Jang Byeong-Gil, who set it up in Daesoon Religion and Thought (Daesoon Jonggyo Sasang) in 1989. Proliferating overlapped researches without developing problem awareness is of great concern. And such researching climate has gradually set in. Secondly, there are numerous researches intending to reveal the researcher's forceful attitude implying faith. Thirdly,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neglect to focus on defining the range of researches. Fourthly, when defining concepts, more thorough insight is needed. Lastly, the researches on analysing symbols and attempting signification analysis are relatively few, only to find many error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o develop theories which back up Cultivation Practice by researching on the fields of theory of mind-nature(心性), theory of mind-qi(心氣), theory of pain, Religious Ethics, viewpoint of God/gods, and psychology. Secondly, all the symbols and meanings of elements shown in Cultivation Practice need analyzing more elaborately sophisticatedly and more in-depth. In order to fulfil this goal, by adapting the recent trends of historical studies, it is essential to attempt to engraft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on cultural phenomena, to analyze thick layers of meanings beneath its surface, to interpret differently, utilizing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focusing on the gender problems, and to extract true meanings out of Cultivation Practice by analyzing everyday events which can occur in real cultivation practices. Thirdly, the terms and concepts regarding Cultivation Practice base the principle themselves. Fourthly, by utilizing methodology of comparative studies on religions, the comparative researches on cultivation practice of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are also needed. Lastly, the history of aspects on Cultivation Practice such as transition of mantras, processes which have been conducted through proprieties of prayer and training should be collected and classified. In this context, this work is very important since it helps understand the aspects of transition of originality and characteristics in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ta Literacy Competency Building Measures: Focusing on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 김주섭;김선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15-137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소속 연구자를 위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해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RDMRose, RDMLA, DataONE, 캐나다 디지털 연구 연합, NNLM, 파르테노스 그리고 Coursera이다. 또한 해당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연구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 및 분석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종합하여 연구자를 위한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및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에게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