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nitol

검색결과 540건 처리시간 0.037초

버섯의 유리당, 당알콜, 아미노산 및 무기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ree-Sugars, Sugaralcohols, Amino acids and Mineral Contents in Edible Mushrooms.)

  • 허윤행
    • 환경위생공학
    • /
    • 제4권2호
    • /
    • pp.27-32
    • /
    • 1989
  • In orde to investigate free sugar, sugar alcohol, amino acid and mineral contents of edible mushrooms, hentinus edodes, Auricula-Jude and Coriolus Versicolor were analyzed. 1. In each of the three mushrooms, glucose, fructose, xylose, trehalose, mannose and mannitol were identified and in the hentinus edodes and Auricula-jude, the major free sugar was trehalose, respectively and increasing sequence in amount of free sugars were mannitol, mannose, fructose, glucose, on the other hand that lowest amount was Xylose. The relatively richest were glucose, fructose, trehalose, mannose, on the other hand lower amount of sample, Coriolus Versicolor were mannitol and Xylose. 2. In each of the three samples, 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 amounts, especially good taste component, glutamic acid was higher. 3. The mineral p Contents$(925\~115mg)$ were highest and Mg was higher amount, in hentinus edodes and Auricula-jude, K, Na, Ca, Cu, Zn, etc were identified, In Coriolus versicolor, K content was highest, on the other hand, Sequence of mineral amount was Ca, Fe and Na.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RCM201425의 만니톨 생산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Cost-effective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RCM201425)

  • 하광수;신수진;정성엽;양호연;임수아;허주희;양희종;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61-87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 있는 생물학적 만니톨 고생산을 위해 선별균주의 만니톨 생산 최적화 배지조성을 RSM 방법을 이용하여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김치로부터 분리된 10균주의 만니톨 생산량과 과당으로부터 만니톨 전환율 분석을 통하여 SRCM201425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발균주는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과 당 발효 분석을 통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하였다. Plackett-Burman design (PBD)을 이용하여 만니톨 생산에 영향을 주는 배지 인자를 선별하기 위해 총 11개의 탄소원, 질소원, 무기원소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fructose와 sucrose, peptone을 선정하였다. 만니톨 생산을 위한 선별된 각 변수의 최적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central composite design (CCD)과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CCD를 통해 만니톨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최적 농도는 fructose 38.68 g/l, sucrose 30 g/l, peptone 39.67 g/l으로 예측되었으며,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실험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MRS 배지에서의 생산량의 약 20배의 만니톨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100 g/l의 fructose가 포함된 MRS 배지 대비 97.46%의 만니톨을 생산하면서, 산업화시 기존 배지 대비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만니톨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최적화를 확립하였으며, 만니톨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고비용의 촉매환원 방법을 대체할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oduction of Glucooligosaccharides and Mannitol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B-742 Fermentation and its Separation from Byproducts

  • Chung Cha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325-329
    • /
    • 2006
  • Leuconostoc mesenteroides B-742 fermentations with maltose as an acceptor were tested for glucooligosaccharides and mannitol co-production. Leuconostoc oligosaccharides were produced that were oligomers with a size range of DP 2 to 7 and were primarily DP 3, 4, 5, and 6, containing mainly ${\alpha}-1,4$ and ${\alpha}-1,6$ linkages. Maltose was linked to the reducing end of the isomaltosyl residues. The $Ca^{2+}$ form of cation-exchange column could separate glucooligosaccharides from byproducts.

호흡기내과 의사를 위한 천식 리뷰 (Asthma Year in Review)

  • 김상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6호
    • /
    • pp.411-417
    • /
    • 2010
  • This review highlights articles pertaining to the following 5 topics: the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llergic and non-allergic rhinitis; the novel asthma phenotypes using cluster analysis; the diagnostic properties of inhaled dry-powder mannitol for the diagnosis of asthma; the value of mepolizumab therapy in exacerbations of refractory eosinophilic asthma; the role of bronchial thermoplasty in the treatment of severe asthma.

Phytochemical study on randia siamensis

  • Lapikanon, Pattra;Tovivich, Phichai;Woo, Won-Sick;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29-33
    • /
    • 1983
  • From the roots of Pandia siamensis, D-mannitol, a mixture of .betha.-sitosterol and campesterol, oleanolic acid acetate, oleanolic acid-3-.alpha.-L-arabino side and mesembryanthemoidigenic acid as a sapogenin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 PDF

전통방식으로제조한식초로부터 Acetobacter 종들분리및특성조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etobacter Species from a Traditionally Prepared Vinegar)

  • 이강욱;심재민;김경민;신정혜;김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9-226
    • /
    • 2015
  • 경남 남해군에서 전통방식으로 제조한 식초에서 초산균들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들은 그램 음성, 비운동성, 단간균으로 이중 선발된 3 균주는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Acetobacter pasteurianus 혹은 Acetobacter aceti로 동정되었다. A. pasteurianus NH2와 A. pasteurianus NH6는 ethanol, glycerol, D-fructose, D-glucose, D-mannitol, D-sorbitol, L-glutamic acid, 그리고 Na-acetate를이용하였다. A. aceti NH12는 ethanol, n-propanol, glycerol, D-mannitol과 Na-acetate를이용하였다. 이들은 30℃, 초기 pH 3.4에서가장 잘 자랐고 초기 초산농도 3% (v/v)까지는 생육하였다. 초산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은 30℃, pH 3.4, 초기 ethanol 농도 5%로 이 경우 초산을 7.3−7.7% 생성하였다.

패모 인편 배양시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배양 방법과 생장 조절제의 처리 효과 (The Effect of Culture Method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Bulblet Formation and Growth in Scale Segment Culture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

  • 백기엽;유광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2-138
    • /
    • 1996
  • 패모의 기내 주년 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cytokinin이 첨가된 배치에서 배양 방법의 차이가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 배지의 삼투 포텐셜 조절을 위한 mannitol 첨가나 활성 탄소 및 생장 억제제 처리가 기관 형성과 인편 비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mg/L kinetin과 0. 3mg/L NAA가 혼용 처리된 MS 고체 배지에서 액체 배지나 액체 현탁배지에서보다 효과적인 자구 생장과 증식율을 나타냈으며, 액체 배지나 액체 현탁처리 배지에서는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활성 탄소의 농도는 $0.01%{\sim}0.1%$ 처리구에서 형성된 자구의 비대가 양호하였고, 0. 5% 이상 농도에서는 오히려 생장이 억제되었다. $1{\sim}2%$ mannitol이 첨가된 배지에서 인편으로부터의 자구 형성수 및 구비대가 양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생장에 저해적으로 작용하였다. 생장 억제제인 B-9과 Chloromequat 처리구에서는 $10{\sim}100mg/L$ 처리구에서 자구 발생 및 비대가 양호하였으나, 발생 인편의 생육 상태가 억제되었으며, ABA 처리구에서는 배양 중 인편이 모두 고사하였다.

  • PDF

여러가지 보습제가 조미오징어 평형수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Humectants on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and Storage Stability of Seasoned Squid)

  • 이철;강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04-710
    • /
    • 1988
  • 본 실험은 여러 가지 보습제 및 방부제(Sodium lactate, Glycerol, Propylene glycol, sorbitol, Mannitol, Sodium benzoate, Potassium sorbate 및 Calcium propionate)처리를 한 중간수분식품 모델의 보수력을 등온흡습 곡선으로 처리하였다. 중간수분식품의 모델은 오징어를 재료로 사용하였고, 제조된 모델식품의 저장성도 검토하였다. 저장요인으로서는 지질산패, 색깔변화 및 곰팡이 번식을 관찰하였다. 보습제의 보수력은 mannitol

  • PDF

원유로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분리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균주, Pseudoalteromonas sp. HK-3의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of the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HK-3 Isolated from the Crude-Oil Contaminated Areas)

  • 조수희;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6-35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유에 오염된 지역의 토양시료로부터 분리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균주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원유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균주 HK-3의 배양기간 동안, 생장,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 pH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능력이 뛰어난 균주인 HK-3를 선별하여, 이 균주의 배양기간에 따른 생장 변화와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량, 그리고 pH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HK-3는 배양 36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가장 많은 양의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대한 부가탄소원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K-3를 다른 부가탄소원(예, glucose, dextrose, mannitol, citrate, acetate)과 함께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생물계면활성제의 최대생산량은 mannitol을 포함하는 BH 고체평판배지에서 관찰되었으며, 투명대의 면적은 직경은 약 7.64 cm2로 측정되었다. 분리균주의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불규칙한 막대형의 세균으로 관찰되었다. BIOLOG 시스템과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여 Pseudoalteromons 종으로 확인되어 Pseudoalteromons sp. HK-3로 명명하였으며, GenBank에 [FJ477041]로 등록하였다.

해산 녹조류 참홑파래, Monostroma nitidum의 원형질체 분리와 분화 (Protoplast Isol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arine Green Alga Monostroma nitidum)

  • 조용철;공용근;윤장택;선상미;정규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7-120
    • /
    • 1999
  • 해산 녹조류 참흩파래, Monostroma nitidum의 엽체를 효소처리하여 다량의 원형질체를 분리하였다. 최적 효소액의 조합은 $4\%$ R-10+$3\%$ Macerozyme R-10+$3\%$ Abalone acetone power로서 생체조직 300mg 당 $4.41\times10^6$개의 원형질체가 분리되었다. 원형질체의 수율은 효소처리 270분에 최대였다. 분리 직후의 원형질체는 구형으로 직경 $13\~33\mu$m의 크기였다. 분리된 원형질체는 0.4M mannitol을 함유한 f/2배지에서 배양한 후 매주 mannitol이 함유되지 않은 f/2 배지로 절반씩 교환함으로서 분화율을 높일 수 있었다. f/2배지를 사용한 적정 배양조건에서 원형질체는 배양 3일 후 새로운 세포벽을 형성하였으며 10일 후 발아하기 시작하여 엽체로 발달하였다. 항생물질의 배지내 첨가는 배양체의 분화를 저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