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war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8초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악성 소프트웨어 분류 (Malware classification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 원성민;김현주;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6호
    • /
    • pp.851-865
    • /
    • 2017
  • 최근 워너크라이라는 이름의 랜섬웨어가 전 세계적으로 큰 화두에 오르면서, 악성 소프트웨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들이 재조명 되고 있다. 새로운 악성 소프트웨어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해당 소프트웨어가 어떤 공격 유형을 가진 악성 소프트웨어인지 빠르게 분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목적은 다양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악성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는 데 있다. 모형 적합 시 다항 로지스틱, 랜덤 포레스트, 그래디언트 부스팅, 서포트 벡터 기계 등의 기법들을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악성 소프트웨어를 분류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De-cloaking Malicious Activities in Smartphones Using HTTP Flow Mining

  • Su, Xin;Liu, Xuchong;Lin, Jiuchuang;He, Shiming;Fu, Zhangjie;Li, Wenji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6호
    • /
    • pp.3230-3253
    • /
    • 2017
  • Android malware steals users' private information, and embedded unsafe advertisement (ad) libraries, which execute unsafe code causing damage to users. The majority of such traffic is HTTP and is mixed with other normal traffic, which makes the detection of malware and unsafe ad libraries a challenging problem.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work describes a novel HTTP traffic flow mining approach to detect and categorize Android malware and unsafe ad library. This work designed AndroCollector, which can automatically execute the Android application (app) and collect the network traffic traces. From these traces, this work extracts HTTP traffic features along three important dimensions: quantitative, timing, and semantic and use these features for characterizing malware and unsafe ad libraries. Based on these HTTP traffic features, this work describes a supervised classification scheme for detecting malware and unsafe ad libraries. In addition, to help network operators, this work describes a fine-grained categorization method by generating fingerprints from HTTP request methods for each malware family and unsafe ad libraries. This work evaluated the scheme using HTTP traffic traces collected from 10778 Android app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cheme can detect malware with 97% accuracy and unsafe ad libraries with 95% accuracy when tested on the popular third-party Android markets.

Malwares Attack Detection Using Ensemble Deep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 K. Janani;R. Gunasundar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5호
    • /
    • pp.64-72
    • /
    • 2024
  • In recent times cyber attackers can us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boost the sophistication and scope of attacks. On the defense side, AI is used to enhance defense plans, to boost the robustness, 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defense systems, which means adapting to environmental changes to reduce impacts. With increased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various exploits occur as a danger sign to cyber security and these exploitations are changing rapidly. Cyber criminals use new, sophisticated tactics to boost their attack speed and size.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more flexible, adaptable and strong cyber defense systems that can identify a wide range of threats in real-time. In recent years, the adoption of AI approaches has increased and maintained a vital role in the detection and prevention of cyber threats. In this paper, an Ensemble Deep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EDRBM) is developed for the classification of cybersecurity threats in case of a large-scale network environment. The EDRBM acts as a classification model that enables the classification of malicious flowsets from the largescale network. The simulation is conducted to test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EDRBM under various malware attack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higher classification rate in classifying the malware in the flowsets i.e., malicious flowsets than other methods.

SVM 기반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컴파일러 분석 프레임워크 : 특징 및 모델 선택 민감성 (Compiler Analysis Framework Using SVM-Based Genetic Algorithm : Feature and Model Selection Sensitivity)

  • 황철훈;신건윤;김동욱;한명묵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537-544
    • /
    • 2020
  • 악성코드 기술 발전으로 변이, 난독화 등의 탐지 회피 방법이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 악성코드 탐지 기술에 있어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 탐지 기술이 중요하며, 배포된 악성코드를 통해 저자를 식별하여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악성코드 저자 식별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너리 기반 저자 식별 방법에 대해 중요 정보인 컴파일러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간에 특징 선택, 확률 및 비확률 모델, 최적화가 분류 효율성에 미치는 민감성(Sensitive)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에서 정보 이득을 통한 특징 선택 방법과 비확률 모델인 서포트 벡터 머신이 높은 효율성을 보였다. 최적화 연구 간에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를 통한 특징 선택 및 모델 최적화를 통해 높은 분류 정확도를 얻었으며, 최대 48%의 특징 감소 및 51배가량의 빠른 실행 속도라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특징 선택 및 모델 최적화 방법이 분류 효율성에 미치는 민감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API 호출 빈도를 이용한 악성코드 패밀리 탐지 및 분류 방법 (Malware Family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Method Using API Call Frequency)

  • 조우진;김형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605-616
    • /
    • 2021
  • 악성코드는 임의의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하지만, 분류 기법을 이용하는 기존 연구들은 제한된 샘플에만 적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임의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악성코드 패밀리를 탐지하고 분류하기 위해 API 호출 빈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특정 API에 대한 호출 빈도가 임계값을 넘는지 검사하는 규칙을 정의하고, 해당하는 규칙에 의한 비율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패밀리를 식별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결정트리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학습셋으로부터 특정 패밀리를 가장 잘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임계값을 결정하였다. 4,443개의 샘플을 이용해 학습셋과 시험셋을 나눠 성능을 측정한 결과 패밀리 탐지의 경우 85.1%의 정밀도와 91.3%의 재현율을 보이고, 분류의 경우 97.7%의 정밀도와 98.1%의 재현율을 보여 악성코드 패밀리를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열 정렬 기법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사도 분석의 성능 개선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Malware Similarity Analysis by the Sequence Alignment Technique)

  • 조인겸;임을규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63-268
    • /
    • 2015
  • 변종 악성코드는 그 기능에 있어 차이가 없으나 구조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악성코드로, 같은 그룹으로 분류하여 처리하는 것이 유용하다. 변종 악성코드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야에서 사용하는 서열 정렬 기법을 사용하여 악성코드들의 API 호출 정보 간의 공통부분을 찾고자 하였다. 서열 정렬 기법은 API 호출 정보의 길이에 대해 의존적인 성능을 가지며, API 호출 정보의 길이가 커짐에 따라 성능이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열 정렬 기법 적용 이전에 API 호출 정보에서 발견되는 반복 패턴을 제거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성능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서열 정렬 기법을 통한 악성코드 간의 유사도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또한 실제 악성코드 샘플에 대한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Deep Learning in Drebin: Android malware Image Texture Median Filter Analysis and Detection

  • Luo, Shi-qi;Ni, Bo;Jiang, Ping;Tian, Sheng-wei;Yu, Long;Wang, Rui-j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7호
    • /
    • pp.3654-3670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n Image Texture Median Filter (ITMF) to analyze and detect Android malware on Drebin datasets. We design a model of "ITMF" combined with Image Processing of Median Filter (MF) to reflect the similarity of the malware binary file block. At the same time, using the MAEVS (Malware Activity Embedding in Vector Space) to reflect the potential dynamic activity of malware. In order to ensure the improvement of the classification accuracy, the above-mentioned features(ITMF feature and MAEVS feature)are studied to trai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and Back Propagation (BP).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odel has an average accuracy rate of 95.43% with few false alarms. to Android malicious code,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95.2% of without ITMF, 93.8% of shallow machine learning model SVM, 94.8% of KNN, 94.6% of ANN.

악성코드의 이미지 기반 딥러닝을 위한 전처리 방법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e-processing Method for Image-based Deep Learning of Malware)

  • 박지현;김태옥;신유림;김지연;최은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650-657
    • /
    • 2020
  • The rapid growth of internet users and faster network speed are driving the new ICT services. ICT Technology has improved our way of thinking and style of life, but it has created security problems such as malware, ransomware, and so on. Therefore, we should research against the increase of malware and the emergence of malicious cod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and quickly detect and classify malware family. In this paper, we analyzed and classified visualization technology, which is a preprocessing technology used for deep learning-based malware classification. The first method is to convert each byte into one pixel of the image to produce a grayscale image. The second method is to convert 2bytes of the binary to create a pair of coordinates. The third method is the method using LSH. We proposed improving the technique of using the entire existing malicious code file for visualization, extracting only the areas where important information is expected to exist and then visualizing it.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in the method we proposed, it shows that selecting and visualizing important information and then classifying it, rather than containing all the information in malicious code, can produce better learning results.

악성코드 DNA 생성을 통한 유사 악성코드 분류기법 (Generating Malware DNA to Classify the Similar Malwares)

  • 한병진;최영한;배병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679-694
    • /
    • 2013
  • 2013 국가정보보호백서에 따르면, 2012년 민간분야 침해사고 접수 처리 현황 중 해킹사고는 19,570 건으로 2011년에 비해 67.4%가 증가한 수치이며,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의 원인으로는 특히 금전적인 이윤 추구와 감염기법의 다양화 등이 꼽히고 있다. 하지만, 악성코드를 분석 하고 대응하기 위한 전문가 수의 증가 속도보다 악성코드의 발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악성코드로 인한 보안위협에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악성코드 자동분석 도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방법은 악성코드 자동분석의 일환으로 악성코드 DNA 생성을 통한 유사 악성코드 분류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자동 분석도구와는 달리, 악성코드의 특성인자를 추출하여 '악성코드 DNA'를 생성하고, 이를 통한 유사도 계산을 통해 악성코드를 분류한다. 본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전문가의 악성코드 분석 시간 절약 및 정확성을 향상 시켜 줄 수 있고, 신뢰성 있는 사전 지식을 전달할 수 있다.

높은 정확도를 위한 이미지 전처리와 앙상블 기법을 결합한 이미지 기반 악성코드 분류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Based Malware Classification System that Combines Image Preprocessing and Ensemble Techniques for High Accuracy)

  • 김해수;김미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7호
    • /
    • pp.225-232
    • /
    • 2022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이 많은 이에게 이점이 되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새로운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통해 악의적 공격 시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악의적 공격 중 악성코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하며 매번 새로운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유포되고 이러한 악성코드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견된 악성코드를 빠르게 분석하여 방어기법을 제공해야 한다. 새로운 악성코드를 기존 악성코드와 동일한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면 동작의 유사성을 가진 악성코드들의 분석된 특징을 이용해 새로운 악성코드의 방어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악성코드를 정확하고 빠르게 분류하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 또한, 분석된 악성코드들의 패밀리 마다 데이터의 개수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전처리 기법과 앙상블 기법을 결합하여 개수가 균일하지 않은 데이터에서 정확도를 높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