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olactic ferment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7초

말로락틱 발효에 적합한 토착 Lactobacillus plantarum 분리 (Isolation of indigenous Lactobacillus plantarum for malolactic fermentation)

  • 허준;이찬미;박문국;정도연;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69-176
    • /
    • 2015
  • 말로락틱 발효(MLF)은 유산균의 말로락틱 효소(Mle)에 의해 malic acid가 lactic acid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와인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54개의 유산균을 분리한 다음 MLF 특성을 가진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Lactobacillus plantarum mle 유전자 서열의 보존 영역에 대한 primer 쌍을 제작했고, PCR을 통해 이 유전자를 함유한 4 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들의 16S rR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 특성, rec gene 영역의 PCR을 수행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모두 동정되었다. 1,644 bp로 구성된 이들 mle 유전자의 분석 결과 JBE60 균주의 염기 서열은 JBE150, JBE160, JBE171 균주들과 96.7%, 아미노산 서열로는 99.5%가 일치했다. 에탄올 저항성을 확인한 결과 JBE60 균주가 10% 에탄올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았다. MLF 활성을 확인한 결과 이들 균주는 평균 43%의 malic acid 감소를 보였으며 균주 간 분해율은 비슷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JBE60 균주가 와인용 MLF 종균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활성건조효모를 이용한 복분자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spberry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 문영자;이명순;성창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2-308
    • /
    • 2005
  • 복분자주 양조에 있어서 대표적인 활성 건조 효모 5종을 선정하여 효모 균주간의 특성 및 복분자 품종(RCM, RCB)간의 성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창 복분자(RCM)주의 에탄을 함량은 Lanvin Wl5 균주로 발효된 복분자주가 $15.3\%$로 가장 높았고, Prise de Mousse 균주로 발효된 복분자주가 $14.4\%$로 가장 낮았다. 2. RCM주의 pH는 $3.58\~3.63$으로 효모 균주에 따른 차이는 별로 없었고, RCB주의 pH는 3.98로 더 높았다. 3. RCM주의 총산은 Montrachet 균주로 발효된 복분자주가 1.46 g/100 mL로 제일 높았고, 휘발산은Pasteur champagne 균주로 발효된 것이 0.111 g/100 mL로 제일 높았다. 4. Nonflavonoid phenols는 RCM 주중의 Montrachet 균주로 발효된 것이 1,850 mg/L로 가장 높았고, flavonoid phenol과 total phenol은 Epernay II 균주로 발효된 RCM주가 2,820 mg/L, 4,600 mg/L로 가장 높았다. 5. RCM주의 유기산 함량은 구연산>수산>사과산 순으로 많았고, 주석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6. RCM주에 있어서 사과산의 평균 함량은 malo-lactic fermentation후에 거의 $65.5\%$ 감소하였으며, Prise de Mousse 균주로 발효된 RCM주의 ma-lolactic fermentation 후의 사과산의 감소율은 약 $73.3\%$로 가장 높았으며, Epernay II 균주로 발효된 RCM주의 malolactic fermentation 후의 사과산의 감소율은 $59.1\%$로 가장 낮았다.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PCR for Dete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arters During Wine Malolactic Fermentation

  • Cho, Gyu-Sung;KrauB, Sabrina;Huch, Melanie;Toit, Maret Du;Franz, Charles M.A.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12호
    • /
    • pp.1280-1286
    • /
    • 2011
  • A quantitative, real-time PCR method was developed to enumerate Lactobacillus plantarum IWBT B 188 during the malolactic fermentation (MLF) in Grauburgunder wine. The qRT-PCR was strain-specific, as it was based on primers targeting a plasmid DNA sequence, or it was L. plantarum-specific, as it targeted a chromosomally located plantaricin gene sequence. Two 50 l wine fermentations were prepared. One was inoculated with 15 g/hl Saccharomyces cerevisiae, followed by L. plantarum IWBT B 188 at $3.6{\times}10^6$ CFU/ml, whereas the other was not inoculated (control). Viable cell counts were performed for up to 25 days on MRS agar, and the same cells were enumerated by qRT-PCR with both the plasmid or chromosomally encoded gene primers. The L. plantarum strain survived under the harsh conditions in the wine fermentation at levels above $10^5$/ml for approx. 10 days, after which cell numbers decreased to levels of $10^3$ CFU/ml at day 25, and to below the detection limit after day 25. In the control, no lactic acid bacteria could be detected throughout the fermentation, with the exception of two sampling points where ca. $1{\times}10^2$ CFU/ml was detected. The minimum detection level for quantitative PCR in this study was $1{\times}10^2$ to $1{\times}10^3$ CFU/ml. The qRT-PCR results determined generally overestimated the plate count results by about 1 log unit, probably as a result of the presence of DNA from dead cells. Overall, qRT-PCR appeared to be well suited for specifically enumerating Lactobacillus plantarum starter cultures in the MLF in wine.

메주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JBE245 균주의 유전체 서열 분석 (Complete genome sequence of Lactobacillus plantarum JBE245 isolated from Meju)

  • 허준;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44-346
    • /
    • 2017
  • 발효 식품에서 널리 발견되는 Lactobacillus plantarum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표현형 및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사과 주스의 malolactic 발효를 위해 선발한 L. plantarum JBE245 (= KCCM43243) 유전체의 전체 염기서열과 주석을 보고한다. 유전체는 2907개의 암호화 된 영역, 45개의 위유전자, 91개의 RNA 유전자를 포함한 단일 원형 염색체로 구성되었으며 그 크기는 3,262,611 bp였다. 이 유전체는 4개의 malate dehydrogenase 및 3개의 malate permease 유전자들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plantaricins 합성 유전자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전적 특성은 발효 동안 사과 주스의 부패 방지와 사과산(malate)의 젖산(lactate)으로의 효율적 전환이 요구되는 균주의 선발 기준과 잘 부합되었다.

Oenococcus oeni의 접종 시기가 국내 MBA 포도의 와인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Oenococcus oeni Inoculation Time on the Quality of MBA Wine)

  • 이정창;최용근;윤재윤;김형주;이동희;정석태;이원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29-241
    • /
    • 2015
  • 본 연구는 Oenococcus oeni의 동시접종(co-incculation)이 국내 MBA(Muscat Baily A) 와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번 실험을 위해 시료와인이 5가지로 구분되었다. 실험결과는 S+O.Co 와인처럼 Oeococcus oeni의 동시접종이 와인생산 시간의 단축과 고품질의 와인생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른 시료 와인들과 비교해 봤을 때, S+O.Co 와인은 가장 많은 Oeococcus oeni의 생균수를 보유했으며, 사과산 함량은 빠른 속도로 상당량이 감소되었으나, 젖산은 빠른 속도로 매우 많은 양이 증가되었다. Oeococcus oeni와 효모의 동시접종은 알코올 발효와 젖산 발효를 14일에서 16일이면 동시에 끝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Oeococcus oeni가 동시 접종된 와인이 품질 향상, 와인양조 과정의 시간적 단축, 생산성 증대 효과를 보여주었다.

Evaluation of Lysozyme to Control Vinification Process and Histamine Production in Rioja Wines

  • Lopez, Isabel;Santamaria, Pilar;Tenorio, Carmen;Garijo, Patrocinio;Gutierrez, Ana Rosa;Lopez, Ros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9호
    • /
    • pp.1005-1012
    • /
    • 2009
  • Lysozyme and the reduction of metabisulfite addition to red wine were evaluated during a winemaking process and after malolactic fermentation (MLF). Treatment, with lysozyme, of the must from Tempranillo grapes and at the end of alcoholic fermentation (AF) caused the 100% implantation of the inoculated bacterial strain and shortened the duration of MLF by 7 days. At the end of the MLF, wines treated with lysozyme showed lower volatile acidity, color intensity, and biogenic amine content. The differences in color intensity disappeared during wine stabilization. The lysozyme addition after MLF led to lower histamine concentrations in wines. These phenomena occurred irrespective of the lactic acid bacteria (LAB) proliferation control and of the Oenococcus oeni dominant strain identified at this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significance of preventive use of lysozyme in vinification of red wine to maintain low histamine levels and ensure a successful implantation of inoculated O. oeni starters.

Improvement in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Wine by Adding Dual Starter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Oenococcus oeni

  • Yoo, Ki-Seon;Kim, Ji-Eun;Seo, Eun-Young;Kim, Yu-Jin;Choi, Hwa-Young;Yoon, Hyang-Sik;Kim, Myoung-Dong;Han, Nam-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7호
    • /
    • pp.1121-1127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a dual starter on the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ed wine made of Campbell Early grape. The yeast starter,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starter, Oenococcus oeni, were used for inoculation in the winemaking process for alcoholic fermentation and malolactic fermentation (MLF), respectively. After 200 days of incubati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yeast/LAB-added wine (YL-win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o-starter-added wine (control) and yeast-added wine (Y-wine). The results show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H, total sugar, and alcohol content among the wine samples, but the malic acid content in YL-win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various esters and higher alcohols were synthesized. The sensory test revealed that the addition of dual starters resulted in improved overall acceptability in win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O. oeni in addition to yeast in making Campbell Early wine.

Carbonic Maceration처리에 의한 Campbell Early 발효액의 감산 효과: 감산 관련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Deacidification Effect of Campbell Early Must through Carbonic-Maceration Treatment: Isolation and Properties of the Bacteria Associated with Deacidification)

  • 장은하;정석태;정성민;임병선;노정호;박교선;박서준;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73-979
    • /
    • 2011
  • Carbonic maceration 처리는 포도주 제조 시 사과산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사과산 감소의 원인 중 미생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과산을 감소시키고 젖산을 생성시키는 미생물을 분리, 동정한 결과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젖산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들은 대부분 당에서 젖산을 생성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과산을 함유한 배지에서 균의 배양 중 사과산을 이용하지 않고 젖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보아 주로 당을 이용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과산을 이용해 젖산을 생성시키는 대표적인 malo-lactic bacteria인 Oenococcus oeni 균은 본 실험에서는 동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carbonic maceration 처리 시 사과산의 감소는 포도에 자연적으로 생육한다는 malo-lactic bacteria나 감산 관련 미생물의 영향은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젖산 함량의 증가는 당을 이용하는 다양한 젖산균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다래 와인의 최적 malolactic fermentation 조건과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 Wine and Optimum Malolactic Fermentation Conditions)

  • 강상동;고유진;김은정;손용휘;김진용;설희경;김익조;조현국;류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09-51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참다래를 이용하여 국내산 과실 특유의 강한 산미를 감소시켜 고품질 참다래 와인을 제조하기 위하여 MLF 에 의한 산도 및 malic acid 감소 효과를 연구하였다. MLF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실험구에서 당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5^{\circ}C$에서 발효한 참다래 와인의 당도가 5.90 $^{\circ}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산함량은 발효 전 0.96%에서 발효 20일 후 0.75~0.79%로 모든 실험구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총산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발효 온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참다래 와인의 malic acid 함량은 MLF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25^{\circ}C$에서 발효시킬 경우 0.05 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참다래 와인의 초기 pH에 따른 malic acid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 pH 2.5 실험구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pH 4.5에서는 발효 완료 시 0.55 mg/ml로 검출되어 약 85% 감소하였다. 또한 초기 pH 3.5로 조절한 실험구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malic acid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발효 완료시 매우 낮게 나타났다. MLF에 의한 malic acid와 lactic acid 함량을 조사한 결과 O. oeni를 첨가하여 MLF를 실시한 실험구의 malic acid는 급격히 감소하여 14일 후에 0.08 mg/ml로 나타났으며 lactic acid의 함량은 점점 증가하여 발효 16일에 3.15 mg/ml로 나타났다. 초기 pH를 3.5로 조절하고 $25^{\circ}C$에서 15일간 발효시킨 참다래 와인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총산 함량은 0.78%로 대조구의 0.96%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pH는 3.70로 MLF를 실시하지 않은 대조구의 3.45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 함량은 12.75%, 총당 38.72 mg/ml, 총폴리페놀 60.18 mg/ml로 대부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Oxalic acid는 0.69 mg/ml로 대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강한 신맛을 내는 malic acid는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여 0.06 mg/ml로 나타났다. 반면 lactic acid는 대조구보다 4.5배 많은 3.12 mg/ml로 나타났고 citric acid는 대조구와 유사한 0.26 mg/ml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MLF를 실시한 와인이 대조구 와인에 비해 떫은맛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신맛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3.8{\pm}0.5$$3.9{\pm}04$로 대조구의 $3.5{\pm}0.6$$3.5{\pm}0.5$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참다래 와인을 제조하기 위한 MLF의 최적 조건은 초기pH 3.5로 조절한 후 MLF 균주인 O. oeni ($1{\times}10^6$ CFU/ml)를 첨가하여 $25^{\circ}C$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포도주 효모에 의한 중간크기의 지방산 생성 (Formation of Medium Chain Fatty Acid by Wine Yeasts)

  • 이수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32-837
    • /
    • 1989
  • 포도주 발효에 사용되는 호모균주 12종을 Murphy배지에 배양하여 중간크기의 지방산(MCFA)의 생성을 분석하였고 발효조건에 따라 그 생성량을 관찰하였다. 특히 발효력이 강한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속하는 균주들은 발효초기에 decanoic acid를 약 21-26mg/1 생성하였고 발효 후기에는 약 5-10mg/1로 감소하였다. 발효조건에서 볼 때 MCFA의 생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당함량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또한 탄산가스의 존재 하에서도 증가하였다.

  • PDF